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당신이 예비 부모일 수도 있고 또는 지나가던 택시 운전사일지도 모르지만, 갑자기 어느 순간에 전문가의 도움 없이 조산사 역할을 해야 하는 상황이 닥칠 수 있습니다. 예상외로 자주 일어나는 상황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사실 해야 하는 일의 대부분은 산모가 긴장을 풀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 자연스럽게 아기를 낳을 수 있도록 옆에서 지켜보는 것입니다. 누군가 도움을 요청할 때 할 수 있는 것을 알아봅시다.

파트 1
파트 1 의 5:

출산 준비하기

PDF 다운로드
  1. 혼자서 아이 낳는 것을 돕다가도 문제가 생기면 도와줄 수 있는 사람들이 올 것입니다. 119 상담원이 아이를 받는 것을 도와주거나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을 바꿔줄 것입니다.
    • 만약에 산모에게 주치의 또는 조산사가 있다면 그 사람에게도 전화하세요. 전문가가 전화로 무엇을 해야 할지 알려줄 수 있습니다. [1]
  2. 진통 1기의 첫 단계인 잠복기에서 자궁경부가 출산할 준비를 하며 열리기 시작합니다. 사람에 따라 기간은 “길게” 느껴질 수 있어요. 특히 첫 출산인 경우 더욱 심할 수 있습니다. [2] 1기 두 번째 단계는 활성기는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면서 시작합니다. [3]
    • 여성들이 다른 단계에 비해서 이 단계에서 고통이나 불편함을 상대적으로 덜 느낄 수 있습니다.
    • 만약에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렸고 아기의 머리가 보이기 시작한다면 진통 2기입니다. 손을 깨끗이 닦고 다음 부분으로 넘어가서 아기 받을 준비를 하세요.
    • 훈련을 따로 받지 않은 이상 자궁경관을 살펴보지 마세요. 아기의 머리가 나타나는지만 잘 살펴보세요.
  3. 진통이 끝나고 시작하는 사이의 시간, 그리고 진통이 얼마나 지속하는지 재세요. 분만이 진행될수록 진통이 더 규칙적으로, 강하게, 그리고 가깝게 나타납니다. [4] 진통에 대해서 알아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진통 간격이 10분 이내이면 분만이 시작된다는 신호입니다. [5] 의사들은 보통 진통이 1시간 이상 동안 5분 간격으로 60초 지속할 때 병원에 연락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6] 이런 경우에는 병원 근처에 살 경우 아직 병원으로 갈 시간이 있습니다.
    • 초산인 경우 진통이 최소 1시간 이상, 3~5분 간격으로 40~90초 지속할 때 아이를 낳을 확률이 높습니다. [7]
    • 만약에 진통 간격이 2분 이내면 아이를 받을 준비 하세요. 특히 초산이 아니고 기존에도 분만이 빨랐다면 더더욱 준비를 해야합니다. 만약 산모가 변의를 느낀다면 아기가 산도를 내려오면서 직장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 만약에 아기가 미숙아라면 진통이 증상이 보이면 바로 산모의 주치의와 119에 연락하세요.
  4. 항균 비누와 따듯한 물로 팔꿈치까지 깨끗하게 닦아야 합니다. 만약에 시간 여유가 있다면 5분 동안, 시간 여유가 없다면 최소 1분 동안 꼼꼼하게 닦아야 합니다. [8]
    • 손가락 사이와 손톱 밑을 닦는 것을 잊지 마세요. 필요하다면 칫솔이나 솔을 이용해서 손톱 밑을 닦으세요. [9]
    • 가능하면 일회용 멸균 장갑을 끼세요. 기존에 사용하던 고무장갑을 끼면 안됩니다.
    • 마무리 지을 때 비누와 물이 없다면 알코올성 손소독제 또는 소독용 알코올은 손에 문질러서 소독하세요. 그렇게 함으로써 산모와 아기를 감염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5. 필요한 모든 것이 쉽게 손에 닿게 준비하고 산모가 최대한 편안하게 있을 수 있게 준비하세요. 끝나고 나면 매우 지저분할 테니 청소하기 쉽거나 지저분해져도 되는 곳으로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10]
    • 깨끗한 수건과 시트를 준비하세요. 만약에 깨끗한 방수 식탁보나 깨끗한 비닐 샤워 커튼이 있으면 피와 기타 액체가 여기저기 튀는 것을 막아줄 수 있습니다. 급하면 신문을 사용할 수 있지만 위생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아기를 싸맬 수 있는 담요나 포대기를 준비하세요. 분만 후에 아기를 따뜻하게 유지시켜줘야 합니다.
    • 베개를 준비하세요. 산모가 힘을 주는 동안 기댈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깨끗한 시트나 수건으로 덮어두세요.
    • 따뜻한 물이 담긴 깨끗한 대야, 가위, 실, 소독용 알코올, 솜, 그리고 고무 흡인기를 준비하세요. 나중에 지혈을 하기 위해서 생리대 혹은 키친타올을 준비하면 좋습니다.
    • 혹시 산모가 속이 울렁거리거나 토할 경우를 대비해서 양동이를 준비하세요. 분만하면 힘이 드니 물을 한 잔 준비해도 좋습니다.
  6. 산모가 당황하고 급하고 창피해할 수 있으니 산모가 최대한 침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산모에게 하의 탈의하라고 하세요. 만약에 필요하다면 깨끗한 수건이나 시트로 덮어주세요.
    • 숨을 쉬는 것을 도와주세요. 산모가 과호흡하지 않도록 차분한 목소리로 숨을 고르게 코로 들이쉬고 입으로 내쉴 수 있게 숨쉬는 것을 지도해주세요. 만약에 산모가 따라하는 것을 힘들어하면 손을 잡고 함께 숨을 천천히 들이쉬면서 지도해 주세요. [11]
    • 산모를 달래세요. 아마 이것이 산모가 생각하던 분만 상황이 아닐 테니 걱정이 심할 것입니다. 곧 사람이 올 것이며 그 동안 당신이 최선을 다해 도와줄 것이라고 말하세요. 몇 천년 동안 사람들은 병원이 아닌 곳에서 분만을 했으며 당신도 문제없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안심 시키세요.
    • 말을 잘 들어주세요. 산모는 아마 두렵고, 화나고, 흥분 되어있거나 앞서 이야기한 감정을 모두 복합적으로 느끼고 있을 수 있습니다. 무슨 말을 하든지 들어주고 말을 고치거나 타박하지 마세요. [12]
  7. 특히 진통이 시작하는 단계에서 걸어 다니거나 쪼그려 앉고 싶어 할 수 있습니다. 진통 2기로 넘어가면서 분만을 위해 한가지 자세를 취하거나 다른 여러 자세를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자세를 바꾸는 것이 분만 과정을 더 수월하게 할 수 있으나 어느 게 편한지는 산모가 결정하게 놔두세요. [13] 여기 몇 가지 기본자세와 자세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14] [15] [16]
    • 쪼그리기. 이것은 중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며 다른 자세보다 산도를 20%~30% 더 개방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아이가 역아여서 발부터 나온다 싶으면 아이가 돌 수 있게 이 자세를 추천하세요. 뒤에서 무릎을 꿇고 산모의 등을 받혀주면 산모가 더 편하게 자세를 잡을 수 있습니다. [17]
    • 엎드리기: 이 자세는 중력의 힘을 받지도 중력의 힘에 저항하지도 않습니다. 요통을 덜해줄 수 있으며 산모가 본능적으로 이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만일 산모가 치질이 있다면 이 자세가 통증을 덜해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산모 뒤에 자리를 잡으세요. [18]
    • 옆으로 눕기: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아이가 조금 더 천천히 산도를 내려오며 회음부를 조금 더 부드럽게 늘려서 찢어지는 것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19] 산모를 옆으로 눕히고 무릎을 굽혀서 위로 다리를 들어올리세요. 산모가 한쪽 팔꿈치로 몸을 지탱해야 할 수 있습니다.
    • 뒤로 눕기. 병원에서 가장 자주 사용 하는 자세입니다. 산모가 뒤로 반듯하게 누워 있고 무릎을 구부리고 있습니다. 조산사가 가장 정확하게 상황 판단을 할 수 있는 자세이지만 산모의 허리에 많은 압력을 줘서 불편할 수 있습니다. [20] 또한 진통을 더 느리게 그리고 더 고통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21] 만약에 산모가 이 자세를 선호한다면 등 뒤에 베개를 몇 개 받쳐서 통증을 줄여주세요.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5:

아기 받기

PDF 다운로드
  1. 견딜 수 없을 정도의 압력이 있을 때까지 힘주라고 하지 마세요. 산모가 아기를 낳을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력을 소진시킬 수 있습니다. 힘을 줄 준비가 되어있을 때 허리, 회음부, 또는 직장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변의로 오인 할 수 있습니다. [22] 산모가 준비 된 후에 힘주는 것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 산모에게 앞으로 몸을 말고 턱을 넣으라고 하세요. 이렇게 구부러진 자세는 아이가 골반을 통과하는 것을 더 수월하게 만들어줍니다. [23] 힘을 주고 있을 때 산모가 다리나 무릎을 잡고 당기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아이의 정수리가 보이기 전에 질 주변부가 불룩 튀어 나올 것입니다. 아이의 머리가 보이면 산모가 힘을 많이 줘야 할 시간입니다.
    • 화장실에 갈 때처럼 복근을 이용해서 힘을 주라고 하세요. 복근을 이용하면 힘이 목이나 얼굴로 향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24]
    • 진통 1회당 3~4번 6~8초간 힘을 주는 것이 적절하지만 산모가 가장 자연스럽게 느끼는 것을 장려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25]
    • 숨을 천천히 고르게 쉬는 것을 독려해주세요. 주변 상황에 휘둘리지 않고 긴장을 풀고 숨을 고르게 쉬는 것에 집중하는 것만으로도 통증을 상당히 완화할 수 있습니다. 개개인에 따라 효과는 다른 수 있지만 천천히 숨을 크게 들이 쉬고 내쉬는 것만으로도 분만 시 큰 도움이 됩니다. [26]
    • 산모가 분만 중에 소변이나 대변을 볼 수 있습니다. 지극히 정상적이며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산모에게 이야기 해서 굳이 창피하게 만들 필요 없습니다. [27]
  2. 이 단계는 복잡하지는 않지만 중요합니다. 다음 단계에 집중하세요.
    • 아이의 머리나 탯줄을 잡아당기지 마세요. 신경에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28]
    • 만약 탯줄이 아기의 목에 감겨있으면 조심스럽게 아이의 머리 위로 들어올리거나 조금 느슨하게 만들어서 아이가 빠져나올 수 있게 해주세요. 흔한 일이니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절대로” 탯줄을 잡아당기지 마세요.
    • 아기의 얼굴이 골반 반대 방향으로 나오는 것은 정상적이고 오히려 이상적 현상입니다. 만약 아기의 얼굴이 산모의 등을 향해있다면 걱정하지 마세요, 분만하기 제일 좋은 자세입니다. [29]
    • 만약에 머리 대신에 발이나 엉덩이가 먼저 나오면 역아입니다.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3. 아마 이 시점에서 아기가 머리를 돌려야 합니다. 아이의 머리가 한쪽으로 돌면, 다음에 힘 줄 때 아기의 몸을 받아줄 준비를 하세요.
    • 만약에 아기가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지 않으면 산모에게 한 번 더 힘을 주라고 하세요. 아기가 갑자기 돌 것입니다.
    • 만약에 아기가 도움 없이 머리를 돌리지 않으면 조심스럽게 한쪽으로 눕히세요. 이렇게 하면 다음에 힘 줄 때 어깨가 나올 것입니다. 만약에 조금이라도 저항이 느껴지면 돌리지 마세요.
    • 반대쪽 어깨를 받으세요. 아이의 몸을 산모의 배를 향해 들어서 반대쪽 어깨가 나올 수 있게 도와주세요, 몸통이 곧 나올 것 입니다.
    • 머리를 계속 지지해주세요. 아기의 몸이 아직 미끄러울 것입니다. 아직 아기의 목 힘으로 머리를 가눌 수 없으므로 목을 계속 받쳐주세요. [30]
  4. 예정대로라면 이 시점에서 건강한 아기가 태어났어야 합니다. 만약에 분만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보세요.
    • 아기의 머리가 나왔지만 산모가 세 번 힘을 줬는데 나머지 몸통이 나오지 않는다면 산모를 뒤로 눕히세요. 그리고 무릎을 잡고 허벅지를 배와 가슴 쪽으로 당기라고 하세요. 이것은 멕로버츠 자세라고 하며, 아이를 밀어내는데 아주 효과적입니다. [31] 진통이 올 때마다 힘을 주라고 하세요.
    • 아이가 움직이지 않는다고 절대로 산모의 배를 누르면 안됩니다.
    • 만약에 발부터 나온다면 아래에 역아에 대해서 설명한 부분을 참고하세요.
    • 만약에 아기가 아직 걸려있고 구급요원 역시 올 기미가 안 보이면 아이의 머리를 산모의 직장 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시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다른 방법이 없을 때에'만' 시도해야 하며 구급요원이 곧 도착하는 경우에는 절대로 시도해서는 안됩니다.
  5. 한 손으로 아기의 목과 머리를 받치며 양 손으로 들어주세요. 머리를 45도 각도로 기울여서 액체를 분비할 수 있게 도와주고 발이 머리보다 약간 올라가게 들어주세요. 이때 발로 아기를 들어올리면 안됩니다.
    • 깨끗한 소독된 거즈로 코와 입 주변의 점액이나 양수를 닦아줘도 됩니다. [32]
  6. 살이 맞닿을 수 있게 아기의 자세를 잡아주고 깨끗한 수건 또는 이불로 덮어주세요. 신체접촉만으로도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은 분비시켜 산모가 태반을 분만 하는 것을 도와 줄 수 있습니다. [28]
    • 기타 점액이 계속해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아기의 머리를 몸보다 조금 낮은 위치에 가게 자세를 잡아주세요. 만약 산모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아기의 머리가 산모의 어깨 위에 있고 몸이 산모의 가슴 위에 있다면 자연스럽게 그런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33]
  7. 만약 숨을 잘 쉬고 있다면 조그맣게 울고 있을 것입니다. 만약에 숨을 쉬고 있지 않다면 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몸을 문질러주세요. 신체적 접촉이 아기가 숨을 쉴 수 있게 도와줍니다. 산모의 가슴 위에 올려둔 채로 담요로 등을 힘주어 문질러 주세요. 만약에 그래도 변화가 없다면 아기가 천장을 바라보도록 뒤집고, 기도가 펴질 수 있게 아기의 머리를 젖힌 후 몸을 계속 문질러주세요. 아직 울음소리가 안 들릴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아기가 숨을 쉴 수 있게 됩니다. [34]
    • 깨끗한 수건으로 힘주어 문지는 것도 아기가 숨 쉬는 것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 손으로 점액과 액체를 제거하세요. 만약에 아기가 구역질을 하거나 안색이 파랗게 질리면 깨끗한 수건이나 천으로 코와 입에서 점액을 닦아주세요. 만약에 그래도 변화가 없다면 고무 흡인기에서 공기를 제거한 후 끝을 아기의 코나 입에 넣고 점액을 빨아내세요. 중간 중간에 흡인기를 비우며 점액이 모두 빠질 때까지 반복하세요. 흡인기가 없다면 빨대를 사용하세요.
    • 만약에 모든 방법이 통하지 않았다면 아기의 발바닥을 손가락으로 튕기거나 엉덩이를 두드려주세요. 아기를 때리지는 마세요. [28]
    • 만약 지금까지 한 모든 게 효과가 없다면 아기용 인공호흡을 하세요.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5:

역아 분만하기

PDF 다운로드
  1. 일어날 확률은 적지만 역아는 아기의 머리 대신 발이나 엉덩이가 먼저 골반을 통과하는 것을 말합니다. [35]
  2. 침대의 끝이나 다른 지면 위에 앉혀서 다리를 가슴까지 끌어당기라 하세요. 혹시 모르니 아기가 떨어질만한 장소에 베개나 이불을 깔아두세요.
  3. 엉덩이와 등이 걸려 있는 것을 보면 잡고 싶어지겠지만, 그러면 안됩니다. 아기를 만지면 아기가 아직 산모의 몸 속에 있는 상태에서 숨을 들이쉬어서 양수를 들이마실 수도 있습니다. [28]
    • 방 안이 따듯할 수 있도록 온도를 조절해 주세요. 갑자기 추워지면 아기가 갑자기 숨을 들이쉴 수 있습니다. [28]
  4. 머리가 나오면 아기를 겨드랑이 아래로 잡고 산모에게 전달해주세요. 만약에 팔이 나온 후에도 산모가 힘 줄 때 나오지 않는다면 산모를 쪼그려 앉혀서 힘을 주게 하세요.
    광고
파트 4
파트 4 의 5:

태반 분만하기

PDF 다운로드
  1. 태반을 분만하는 것은 진통 3기 입니다. 보통 아기를 출산하고 몇 분 혹은 한 시간 내로 나옵니다. [36] 아마 산모가 몇 분 후에 힘을 주고 싶어할 것이고 이것은 좋은 현상입니다. [37]
    • 질 근처에 우묵한 그릇을 하나 받쳐주세요. 태반이 나오기 직전에 질에서 피가 나오고 탯줄이 길어질 것입니다.
    • 산모를 앉히고 힘 주어 그릇 안으로 태반을 밀어내라 하세요.
    • 지혈을 할 수 있도록 산모의 배꼽 아랫배를 힘주어 문지르세요. 산모가 통증을 느낄 수 있지만 필요한 과정입니다. 아랫배에 아래로 느껴지는 자궁이 어른 주먹 두 개 정도를 합친 정도의 크기로 느껴질 때까지 문질러주세요. [38] [39]
  2. 만약에 탯줄이 너무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는다면 산모가 최대한 빨리 모유수유를 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진통을 촉진 시켜서 태반을 빨리 분만 할 수 있고 지혈을 도와줍니다. [40]
    • 만약 모유수유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젖꼭지를 자극하는 것도 태반을 분만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8]
  3. 태반을 분만하는 과정을 서두르기 위해 탯줄을 잡아당기면 안됩니다. 개신 산모가 힘을 주어 밀어 낼 수 있게 도와주세요. 잡아당기면 아기와 산모에게 큰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41] [28]
  4. 태반이 나왔으면 비닐 봉지 혹은 뚜껑이 있는 통에 담아두세요. 나중에 산모가 병원에 갈 때 의사가 혹시 모를 이상을 위해 태반을 살펴야 할 수 있습니다.
  5. 구급요원이 도착하려면 몇 시간이 남았을 경우에만 잘라야 합니다. [42] 그렇지 않다면 탯줄이 당겨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놔두세요. [43] [7]
    • 만약에 탯줄을 잘라야 한다면, 먼저 탯줄에 맥박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약 10분이 지나면 태반이 분리되어 탯줄에 더 이상 맥박이 느껴지지 않을 것입니다. 맥박이 멈추기 전에는 자르지 마세요. [44]
    • 통증에 대해서 걱정하지 마세요. 탯줄에는 신경이 없기 때문에 잘려도 아기와 산모 모두 느끼지 못합니다. 다만, 탯줄이 미끌미끌해서 다루기 힘들 것입니다. [45]
    • 야기의 배꼽에서 약 10센치 떨어진 곳에 탯줄을 끈으로 묶어주세요. 매듭을 두 번 지어 꽉 묶으세요.
    • 처음 매듭지은 자리에서 약 8센치 떨어진 자리에 한번 더 묶어주세요. 이번에도 매듭을 두 번 지어 꽉 묶어주세요.
    • 20분 이상 끓는 물에 소독되거나 소독용 알코올로 깨끗하게 닦아서 소독한 칼이나 가위로 매듭 사이를 잘라주세요. 질겨서 잘 잘리지 않아도 걱정하지 말고 천천히 자르세요.
    • 탯줄을 자르고 다시 아기를 감싸주세요.
    광고
파트 5
파트 5 의 5:

산모와 아기 돌보기

PDF 다운로드
  1. 두 명 모두 담요로 덮어주고 산모가 아기를 가슴 위에 올려둘 수 있게 도와주세요. 분만 중에 젖거나 지저분해진 침대보를 갈고 깨끗하고 젖지 않은 곳으로 두 사람을 옮겨 주세요.
    • 통증완화를 도와주세요. 출산 후 첫 24시간 동안 산모의 질에 얼음 팩을 둬서 통증을 완화해 주세요. 만약에 알레르기가 없다면 이부프로펜과 같은 진통제를 주세요.
    • 산모에게 부담되지 않을만한 식음료를 주세요. 지방과 설탕이 많이 들어있거나 탄산이 들어간 제품은 구역질을 일으킬 수 있으니 피하세요. 토스트, 크래커, 또는 흰 죽 정도가 적당합니다. 산모에게 이온음료를 줘도 좋습니다. [46]
    • 탯줄 밑에 오도록 조심하며 아기에게 기저귀를 채우세요. 만약에 잘린 자리에서 안 좋은 냄새가 난다면 냄새가 더 이상 나지 않을 때까지 소독용 알코올로 닦아주세요. 만약에 조그마한 모자가 있다면 아기가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아기의 머리 위에 씌워주세요.
  2. 가끔 예상치 못하게 분만을 하면 장기 내 출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약 18%의 분만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예방하기 위해 자궁을 힘주어 마사지해 줄 수 있습니다. 만약에 태반을 분만 한 후 출혈이 심하면 다음과 같은 행동을 취하세요. [47]
    • 깨끗하게 손을 소독하고 한쪽 손을 자궁 안으로 삽입하고 반대쪽 손을 산모의 아랫배에 올려두세요. 아랫배에 올려둔 손을 아래로 지그시 누르면서 자궁 안에 있는 손을 지긋이 밀어 올리세요. [48]
    • 이 방법 말고도 자궁 안으로 손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산모의 아랫배를 쥐었다 폈다 해도 됩니다. [49]
  3. 산모에게 화장실에 갈 때마다 질을 따듯한 물로 씻어내라고 하고, 필요하다면 도와주세요. 깨끗한 짤 주머니로 이 과정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50]
    • 만약에 대변을 봐야 한다면, 질 입구에 깨끗한 패드나 수건을 대고 힘을 주라고 하세요.
    • 산모가 소변보는 것을 도와주세요. 방광을 비우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혈액 손실량이 많기 때문에 일어날 필요가 없도록 제거 가능한 소변통이나 패드 위에 소변을 누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분만을 한 후에 가장 가까운 병원 혹은 부른 구급차를 기다리세요.
    광고

  • 아기의 안색이 파리하거나 바로 울지 않아도 당황하지 마세요. 한번 울기 시작하면 산모와 혈색이 비슷해지지만, 손과 발은 아직 파리할 수 있습니다. 젖은 수건을 갈아주고 아기의 머리에 모자를 씌워주세요.
  • 만약에 수중에 아무것도 없다면 셔츠나 수건을 이용해서 산모와 아기를 따뜻하게 유지해주세요.
  • 만약에 출산 예정중인 부모라면 분만일 근처에 일정이나 여행 계획을 잡을 때 갑작스럽게 진통이 올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그리고 비상용 비누, 거즈, 소독된 가위, 깨끗한 시트 등을 차에 넣어두는 것을 잊지 마세요. 아래에 필요한 물건 목록이 있습니다.
  • 탯줄을 자를 도구를 소독하려면 소독용 알코올로 닦아내거나 오랫동안 달궈주세요.
  • 만약에 산모가 진통 중이면, 대변을 보기 위해 화장실에 가지 못하게 하십시오. 변의가 느껴질지 모르지만 아기가 움직이면서 직장을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느낌이 들 확률이 높습니다. 아기가 산도를 움직이면서 이런 기분이 드는 것은 정상입니다.
광고

경고

  • 비누와 물이 없고 외상이 없는 이상 산모와 아기를 살균제품으로 닦지 마세요.
  • 여기 쓰여있는 방법은 훈련 받은 전문의를 대체할 목적으로 쓰여진 것이 아니며 가정 분만할 때 사용할 예시도 아닙니다.
  • 산모와 아기 모두 감염 확률이 높으니 본인과 산모, 그리고 분만 장소를 최대한 청결하게 유지하게요. 분만장소 근처에서 재채기나 기침하지 마세요.
광고

필요한 것

  • 아기용 고무 흡인기. 망울 주입기라고도 불린다.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어야 하며 아기의 코에 들어가지 않는 비강용 꼭지가 달려있으면 안 된다.
  • 소독용 알코올 1 작은 병
  • 일회용 라텍스 또는 비닐장갑 1 상자
  • 탯줄을 묶을 깨끗한 신발끈
  • 탯줄을 자를 날카로운 가위
  • 흔들어서 사용하는 얼음 팩
  • 일회용 기저귀 6개
  • 타이레놀 또는 애드빌과 같은 소염진통제
  • 살균용 비누, 또는 손 소독제
  • 아기용 면 포대기 또는 담요 4개
  • 신생아용 모자
  • 목욕수건 4개
  • 행주
  • 태반 받을 우묵한 그릇
  • 산모를 위한 담요
  • 베개
  • 세탁물 보관용 비닐봉지 5개 (대)
  • 태반 보관용 비닐봉지 2개 (중)
  • 아기와 어른을 위한 인공호흡법
  • 비상 연락망

Related wikiHows

  • 아기에게 인공호흡하는 방법
  • 아기를 위해 준비하는 방법
  • 출산 계획 세우는 방법
  • 아빠가 신생아를 맞을 준비하는 방법
  • 신생아 엄마가 첫 달을 살아남는 방법
  • 진통 혹은 분만 중 아기가 사망 시 대처하는 방법
광고
  1. http://www.nct.org.uk/birth/what-do-i-need-home-birth#Items you might need
  2. http://www.babycentre.co.uk/a546717/natural-pain-relief-in-labour
  3. http://www.clinicaladvisor.com/the-waiting-room/7-tips-to-help-pregnant-women-through-labor/article/288196/
  4. http://www.babycentre.co.uk/a546717/natural-pain-relief-in-labour
  5. http://evidencebasedbirth.com/what-is-the-evidence-for-pushing-positions/
  6. http://www.takingcharge.csh.umn.edu/activities/effective-birthing-positions
  7. http://www.babies.sutterhealth.org/laboranddelivery/labor/ld_labr-pos.html
  8.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labor-and-delivery/multimedia/labor/sls-20077009?s=8
  9. http://www.babies.sutterhealth.org/laboranddelivery/labor/ld_labr-pos.html
  10. http://www.takingcharge.csh.umn.edu/activities/effective-birthing-positions
  11. http://evidencebasedbirth.com/what-is-the-evidence-for-pushing-positions/
  12. http://www.babycentre.co.uk/a546717/natural-pain-relief-in-labour
  13. http://www.babies.sutterhealth.org/laboranddelivery/labor/ld_push.html
  14. http://www.takingcharge.csh.umn.edu/activities/effective-birthing-positions
  15. http://www.allinahealth.org/Health-Conditions-and-Treatments/Health-library/Patient-education/Beginnings/Giving-birth/Birth-and-afterbirth/Techniques-for-pushing-and-birth/
  16.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804305/
  17. http://www.babies.sutterhealth.org/laboranddelivery/labor/ld_breathe.html
  18. http://www.clinicaladvisor.com/the-waiting-room/7-tips-to-help-pregnant-women-through-labor/article/288196/
  1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Complete Preparation for Childbirth: A Self-help Manual for Expectant Parents. ISBN 9622092209
  20.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patientinstructions/000621.htm
  21.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1395.htm
  22. http://www.ncbi.nlm.nih.gov/pubmed/11513914
  23. http://www.birth.com.au/routine-procedures-and-possible-interventions/suctioning-the-babys-nose-and-mouth?view=full
  24. http://www.birth.com.au/routine-procedures-and-possible-interventions/suctioning-the-babys-nose-and-mouth?view=full
  25. http://www.aboutkidshealth.ca/en/resourcecentres/pregnancybabies/newbornbabies/yournewbornbabysbody/pages/babys-first-breath.aspx
  26.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patientinstructions/000623.htm
  27. http://pregnancy.familyeducation.com/delivery/third-stage---delivering-the-placenta/66203.html
  28. http://www.nct.org.uk/birth/third-stage-labour
  29.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275304-overview#aw2aab6b4
  30. http://en.hesperian.org/hhg/A_Book_for_Midwives:Check_the_mother%E2%80%99s_physical_signs
  31. http://www.nct.org.uk/birth/third-stage-labour
  32. http://en.hesperian.org/hhg/A_Book_for_Midwives:Check_the_mother%E2%80%99s_physical_signs
  33. http://www.babycentre.co.uk/a557710/emergency-home-birth
  34. http://www.serenitybirth.com/2013/05/08/6-things-to-do-if-your-baby-is-accidentally-born-at-home/
  35. http://www.birth.com.au/an-overview-of-a-natural-3rd-stage-of-labour/clamping-and-cutting-of-the-cord
  36. http://www.nct.org.uk/birth/third-stage-labour
  37. http://www.babycentre.co.uk/a544481/eating-and-drinking-in-labour
  38. http://www.aafp.org/afp/2007/0315/p875.html
  39. http://www.aafp.org/afp/2007/0315/p875.html
  40. http://apps.who.int/rhl/pregnancy_childbirth/childbirth/3rd_stage/Cd006431_soltanih_com/en/
  41.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labor-and-delivery/in-depth/postpartum-care/art-20047233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3,994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