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어떤 사람들에게는 임신을 피하는 것이 어렵지만 또 어떤 사람들에게는 임신을 하는 것이 마음대로 되지 않아 곤혹스러울 수 있다. 시중에 그렇게 많은 임신 보조 약품와 제품들이 있지만 실제로 보고 나면 자신과 맞는 제품을 솎아내기가 쉽지만은 않다. 하지만 일단 임신에 어떤 요소들이 영향을 주는지를 알고 나면 아이를 비교적 빨리 얻게 될 수도 있다.

파트 1
파트 1 의 4:

임신의 기본

PDF 다운로드
  1. 일부 피임약은 적응 기간이 다른 약에 비해 길기 때문에 약을 멈춘다고 해서 바로 임신이 가능해지지 않을 수도 있다. 피임약 복용을 중단한 후 다시 임신이 가능해지기까지는 사용한 약품과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호르몬 피임약 - 경구 피임약, 호르몬 주사, 누바링 등의 피임 도구는 더 오랜 적응 기간을 필요로 한다(제품 사용 중단 이후).
    • 자궁 내 장치를 사용한 경우 의사의 도움을 받아 이를 제거해야 한다.
    • 콘돔, 자궁경부캡, 피임용 격막, 경부스폰지와 같은 물리적 피임 기구를 사용했다면 적응 기간이 따로 필요하지 않다. 즉, 피임 기구만 사용하지 않는다면 언제라도 임신이 가능하다는 뜻이다(다만 성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피임 기구를 사용했다면 성관계시 이를 주의하도록 한다).
  2. 시간만 잘 맞춘다면 임신 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아래 요령을 참고해 배란기를 특정해보자:
    • 마지막으로 월경을 했을 때부터 거꾸로 세어본다. 대부분의 여성은 월경을 시작한 이후 평균 14일 정도가 배란기가 된다(그러면 월경 2주 후부터 임신을 시도해야 하는가? 이게 또 꼭 그렇다고는 할 수 없다. 단계 3을 읽고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자).
      • 월경 주기가 일정하다면 주기를 반으로 나눠 배란일을 추정해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월경 주기가 28일이라면 14일 부근(월경 예정일로부터 14일이 지난 뒤)에 배란을 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주기가 더 길다면 월경을 시작한 뒤 20일이 지나야 배란을 시작하게 될 수도 있다. [1]
    • 배란일을 계산해주는 앱을 다운받아보자. 월경 주기를 대신 기록해주는 앱이 있으면 더 편할 것이다. 앱스토어에서 배란과 관련된 앱을 찾아보고 자신과 맞는 것을 골라 설치하도록 하자.
    • 기초 체온을 측정해보자. 여성의 몸은 배란을 할 때 체온이 살짝 올라가게 된다. 기초 체온이 평상시보다 높아졌다면 배란기일 가능성이 높다. [2] 항상 체온계를 침대 옆에 두고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체온을 기록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자(같은 시간에 측정해야 결과가 더 정확하게 나온다). 온도가 0.3~0.6도 정도 높아진 상태가 하루 이상 지속되었다면 배란기에 들어섰을 가능성이 높다. [1]
      • 기초 체온이 높아지기 2~3일 정도가 가장 임신 확률이 높다. [1] 따라서 매달 체온을 기록하며 체온이 높아지기 2~3일 전부터 임신을 시도하는 것이 확률을 높이는 방법이 될 것이다.
    • 자궁경관 점액의 상태를 확인해보자. 별로 하고 싶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효과를 볼 수 있으니 시도해서 나쁠 것은 없을 것이다. 질 분비물이 계란 흰자처럼 투명하고 늘어질 때가 배란기일 가능성이 높으며 질 분비물의 농도가 바뀌었을 때부터 3~5일간이 임신을 할 확률이 높으니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질 분비물이 다시 흐릿하고 건조해졌다면 임신할 확률이 낮다고 봐도 무방하다.
    • 수정 예측 키트를 사용해볼 수도 있다. 임신 테스트기를 사는 것처럼 약국이나 인터넷을 통해 구매하면 된다. 비용 자체는 더 비쌀 수 있지만 배란일자를 비교적 정확히 측정하고자 한다면 이 방법이 도움이 될 수 있다.
  3. 가임기에 들어섰다면 이제 열심히 임신을 위해 노력하기만 하면 된다. 언제, 어떻게 성관계를 가지느냐에 따라 임신 확률이 달라질 수 있으니 아래 요령들을 참고해 임신 확률을 높여보도록 한다:
    • 배란 조금 전부터 주기적으로 성관계를 가지도록 한다. 난자는 대략 24시간 동안만 정자를 받아들일 수 있지만 정자는 수란관 내부에서 최대 1주까지 생존할 수 있다. 따라서 아슬아슬하게 때를 놓칠 위험을 감수하는 대신 배란 며칠 전부터 성관계를 가져 임신 확률을 높이는 것이 좋다.
    • 정자가 건강할수록 임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다. 즉, 정자가 수란관 안에서 일주일 동안 생존할 수는 있어도 건강한 상태가 유지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란기에 들어선 이후에도 최소 이틀에 한 번은 성관계를 가지는 것이 좋다(물론 더 자주해도 좋다).
    • 살정제, 윤활제 또는 화학적 자극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쾌감을 높이거나 임신을 방지하는 약품은 임신을 위해 성관계를 가질 때는 피해주는 것이 좋다. [3]
    • 이제 즐겨라. 배우자가 질내사정을 한 이후 오르가즘에 도달하면 정자가 자궁 경관으로 빨려들어가 정자의 수정 확률이 올라간다.
    • 사정 이후에는 잠시 누워있도록 하자. 중력이 정자를 방해하지 못하게 사정 후 바로 일어서지 말고 몇 분 정도는 누워서 편하게 있는 것이 좋다. 인공 수정의 효능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성관계 이후 15분 동안 누워있는 것이 임신 확률을 50%까지나 높여줄 수 있다고 한다. [4]
  4. 배란기가 지났다면 이제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다음 월경 예정일까지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도록 하자. 예정일이 지나도 월경이 시작하지 않았다면 임신 테스트기를 사서 확인해보자! 인내심이 부족하다면 아래 방법을 사용해 조금 더 일찍 임신 사실을 확인해볼 수도 있다:
    • 기초 체온을 계속해서 측정하도록 한다. 배란 이후에도 14일 이상 연속해서 기초 체온이 높게 유지되었다면 임신했을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 착상했을 때의 증상에 주의를 기울이자. 어떤 여성은 접합체가 자궁벽에 착상을 할 때 출혈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는 착상 후 6~12일쯤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니 점상 출혈이 발생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해주는 것이 좋다. 이외에는 가벼운 근육 경련을 겪을 수도 있다.
파트 2
파트 2 의 4:

생식력 높이기

PDF 다운로드
  1. 실제로 대부분의 커플들이 한 번에 임신을 성공하지 못한다. 매달 임신을 시도하는 커플이 100명이 있다면 겨우 15~20 커플만이 임신을 성공한다. 하지만 꾸준히 노력하면 100 커플 중 95%가 2년 내로 임신을 성공할 수 있다고 한다. 임신과 직결된 요소인 생식력과 관련된 각종 요인들을 일일히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임신 확률을 높여줄 수 있는 몇 가지 간단한 변화를 시도해볼 수는 있다. 아래를 읽어보도록 하자.
  2. 임신을 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기본적인 임산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다양한 측면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일부 기저 질환은 임신 확률을 크게 떨어뜨리거나 임신 자체를 방해할 수도 있다. 임산부 검사를 하게 되면 의사가 골반 검사를 하거나 기본적인 혈액 검사를 실시할 것이다. 이제 임신 전에 확인해야 할 몇 가지 질환 및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는 배란을 방해할 수 있다.
    • 자궁내막증은 전반적으로 임신에 지장을 준다.
    • 당뇨병: 임신 전에 당뇨병 여부를 확인하고 관리해야 당뇨병과 관련된 흔한 선천적 결손증을 방지할 수 있다.
    • 갑상선 질환: 당뇨병과 마찬가지로 진단과 관리만 잘 하면 이 질환이 임신에 위협을 끼치는 일은 없을 것이다. [5]
  3. 지금 당장 임신을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 기회를 살려 육체적으로 건강해지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자. 건강하면 할수록 임신할 확률이 높아진다. 게다가 건강해지는 것은 언제라도 시작할 수 있으며 임신에 다양하게 도움을 준다.
    • 체중을 감량하자 . 연구에 의하면 임상적으로 비만인 여성일수록 임신이 더 어려우며 임신 이후에도 더 많은 문제를 겪는다고 한다. [6] 만약 BMI 지수가 평균보다 높다면 식단 조절과 운동에 더 신경을 쓰는 것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 건강한 식단과 관련해서는 다음 사이트(영어) http://www.choosemyplate.gov/ 를 참고해볼 수 있다.
      • 건강한 몸을 만들어보자. 뱃살을 빼고 , 달리기나 요가를 해보자.
      • 하지만 과도한 운동은 또 좋지 않다. 임상적으로 저체중인 여성(BMI가 18.5 미만인 여성)은 아예 월경이 오지 않아 임신에 난항을 겪을 수 있다. [7] 건강하면서 저체중이 되지 않도록 체중을 조절해보자.
  4. 미리 임신 전부터 배아/태아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보충하도록 하자. 예를 들어 임신 전부터 엽산 보충제를 복용해놓으면 척추갈림증과 기타 신경관 결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복용하는 비타민에 엽산, 칼슘, 철분이 들어있는지를 꼭 확인하도록 한다. [8]
  5. 일부 성분들은 임신 확률에 악영향을 준다. 그리고 또 일부는 신생아에 해를 끼치기도 한다.
    • 살충제의 복용은 임신에 지장을 초래한다. 즉, 임신을 결정했다면 식재료를 유기농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는 뜻이다.
    • 단 음식과 가공된 제과류 등에 흔히 함유되어 있는 트랜스 지방을 피하도록 한다. 트랜스 지방 함량이 높은 식단을 유지하면(특히 단일불포화지방과 섭취와 관련된) 불임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9]
    • 확실하게 조리되었는지 확인하기 힘든 생선, 살균처리되지 않은 치즈, 새싹, 신선하지 않은 포장식품, 질산염을 함유한 육류 등을 모두 피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제대로 조리되지 않은 식품이나 세척을 제대로 하지 않은 식품을 섭취하면 질병과 식중독을 앓아 임신 확률이 떨어지거나 건강한 임신을 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6. 전통 한방 의학과 구전에 의하면 일부 식품들이 생식력과 성욕을 증진 및 감퇴시킬 수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일부 식품에 과학적인 연구가 진행되면서 생식력에 잠재적인 영향을 끼치는 일부 식품의 원리가 분석되기도 했다.
    • 곡물, 견과류, 과일, 채소가 들어간 유기농의 식물 기반 식단을 섭취하도록 하자. 이 식품들을 통해 섭취하는 항산화 물질, 비타민, 미네랄은 세포 건강을 증진시키며 건강한 자궁내막을 유지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고 한다.
    • 올바른 종류의 단백질이 생식력을 증진시켜줄 수도 있다: 두부, 닭고기, 계란, 그리고 일부 해산물은 오메가-3 지방산, 철분, 셀레늄 및 기타 생식력 증진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 유제품은 전유 제품을 섭취하도록 하자. 지방이 제거되지 않은 우유, 전유 요거트 등은 저지방과 무지방 유제품에 비해 생식력을 잠재적으로 높여줄 수 있다고 한다. [10]
  7. 남성의 경우 비타민 E와 C가 들어간 멀티비타민을 섭취해야 한다. 이외에도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고, 과도한 음주를 피하고, 카페인과 지방, 설탕 섭취량을 낮춰야 한다. [11]
    • 이외에도 하루 55mcg 정도의 충분한 셀레늄 섭취가 필요하다. 셀레늄은 남성의 생식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8. 오락성 약물로 불리는 담배, 알코올, 카페인 및 기타약물은 수정을 늦출 수 있다. 또한 임신 중에도 반드시 이를 피해줘야 한다. 지금부터 끊으면 더 쉬울 것이다. 아래를 참고하도록 하자:
    • 금연을 하자 . 임신했을 때 흡연을 하는 것은 매우 좋지 않으며, 흡연으로 인해 수정이 안될 수도 있다. [13] 게다가 임신중에 금연을 시작하면 크게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으니 임신 계획이 있다면 미리 금연을 시작하도록 하자.
      • 이는 배우자에게도 똑같이 적용되는 사항이다. 주기적으로 담배를 피는 남성은 정자수도 적을 뿐더러 비정상적인 정자수가 늘어나게 된다. [14] 간접흡연이 임신 확률을 떨어뜨린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두도록 하자.
    • 술도 마시지 않도록 한다. 임신 계획이 있는 여성은 임신을 시도하기 최소 2개월 전부터 음주를 피해야 한다. 특히 임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커플은 금주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 과도한 카페인 섭취 피하기. 이는 음식(초콜릿 등)과 음료(커피 등)를 모두 포함한다. 하루에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를 세 잔 이상 마시는 여성은 두 잔 미만으로 섭취하는 여성에 비해 임신할 확률이 크게 낮다고 한다. [15]
    • 약물은 반드시 피하도록 하자. 코카인과 대마 등의 불법 약물 사용은 신체 기능을 저하시켜 임신을 어렵게 만들고 건강한 아이를 낳을 확률을 떨어뜨린다.
  9. 당신이나 배우자가 성관계에 관심이 없는 편이라면 임신할 확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커플의 경우 성적 문제 해결을 위해 의료 전문가에게 검증된 생식력 증가 약물을 처방받아볼 수 있다.
    • 불임이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하지 말자. 임신의 압박은 사적인 공간을 침투하며 정서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성기능 이상으로 이어져 임신 자체를 더 어렵게 만든다. [16] 배우자에게 무언가를 심하게 강요하지 말고 서로 긴장이 완화된, 편안한 분위기에서 아이 걱정 없이 성적으로 즐거운 시간을 가지는 것에만 집중해보도록 하자.
  10. 많은 사람들이 마음의 힘을 믿는다. 임신하기로 마음을 강하게 먹으면 임신에 대한 사고방식이 바뀌고 배우자와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이 가 임신 성공률이 높아지게 된다. 스트레스는 아무리 주변 환경이 좋아도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대한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유지하면서 몸과 정신을 건강하게 유지하자(당신뿐만이 아니라 배우자도 신경써야 한다).
    •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기회에 최대한 집중하도록 한다. 배우자와 있을 때 사고의 흐름이 부정적으로 흘러가기 시작하면 당신이 낳을 아름다운 아기의 모습을 상상해 임신에 대한 욕구에 다시 집중하도록 한다. 배우자와 임신에 집중하는 것은 다른 스트레스 요인들을 잊게 도와줄 것이다. 그리고 만약 임신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심한 스트레스로 작용하기 시작했다면 의사와 만나 상의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파트 3
파트 3 의 4:

언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지 알기

PDF 다운로드
  1. 임신을 하는 것이 목적일 때는 인내심이 부족하게 느껴지는 순간이 올 수도 있다. 하지만 그래도 조금만 더 시간을 가지고 기다려보자. 기한을 정하고 그 기한 안에 임신이 되지 않는다면 병원에 가서 불안감을 다스리고 전문적인 소견을 들어보도록 하자. 아래는 언제 도움을 받아야 할지를 정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요령이다: [17]
    • 만 35세 미만의 건강한 커플들은 일주일에 2회 정도 성관계를 가지면 12개월 내로 아이를 가질 수 있다(피임약 중단 이후 몸이 적응하는 시간까지 더해줘야 한다).
    • 만 35세 이상은 경우에는 먼저 6개월 정도 시도를 해본 뒤에 실패했을 시 병원에 가보도록 한다. 만 35세 이상인 여성과 폐경기에 들어서기 전의 여성은 생식력이 자연스럽게 저하되는 단계이기 때문에 임신을 하기가 더 어렵다. 물론 임신을 할 수는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더 오래 걸릴 수 있으며, 성관계 역시 다양한 조건을 적용해가면서 더 많이 시도를 해야 한다. 생활 습관에도 변화가 필요할 수 있다.
    • 특수한 경우에는 바로 전문가를 찾아가는 것이 좋다. 자궁내막증, 골반염, 암치료 병력이 있거나, 만 40세가 넘은 경우, 유산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아이를 가지기 위해 먼저 전문가와 상의해볼 필요가 있다.
  2. 생식력을 저하시킬 수 요소들에는 질병, 스트레스, 격렬한 운동, 약물 등 다양한 것들이 있다.
    • 특정 약이 착상을 방해하거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먼저 의사를 만나 현재 복용 중인 약과 보조제, 허브, 특수한 음식이나 음료 등을 모두 검토해 생식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없는지 확인해보도록 한다.
    • 성 매개 질병에 걸렸는지 검사받아보자. 일부 감염 질환이 임신 확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질병을 방치하면 영구적인 불임으로 이어질 수도 있음을 알자.
    • 산부인과에 가서 전반적인 검사를 받아보자. 어쩌면 정자가 난자에 도달하지 못하게 막는 제거 가능한 막이 있을 수도 있다. 아니면 월경 주기에 영향을 주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과 같은 특정 증상을 앓고 있을 수도 있다. [18] 일반적으로 건강 확인을 위해 일년에 1회 정도는 산부인과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3. 당신과 배우자의 건강 검진 결과가 좋게 나왔다면 정자 건강 확인 및 생식력 진단을 받아보도록 하자.
    • 남성은 정자 검사를 통해 사정시 정자의 건강과 정자수를 확인해야 한다. 이외에는 혈액 검사를 통한 호르몬 수치 검사와 초음파를 통한 사정 과정시 문제 확인 및 정소관 이상 확인을 해볼 수 있다. [19]
    • 여성은 보통 갑상선, 뇌하수체 등 배란기 때나 월경 때 호르몬에 영향을 주는 기관을 검사받게 된다. 이외에는 자궁난관조영술, 복강경검사, 골반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자궁, 자궁내막, 수란관의 폐색, 질병, 반흔 조직 등을 확인하게 된다. 이외에도 유전자 검사나 난임 검사를 통해 유전적인 불임 문제를 확인해볼 수 있다. [20]
파트 4
파트 4 의 4:

임신 촉진 치료 받아보기

PDF 다운로드
  1. 임신 촉진 치료는 비용이 상당히 나가며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시작하기 전에 어떤 것들이 필요하고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 배우자와 상의해보도록 하자. 당신과 배우자가 경제적, 정서적으로 아이를 가지는 과정을 끝까지 수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도록 한다. 얼마나 오래 아이를 가지기 위해 노력할 것인지, 어느 정도의 비용을 투자할 것인지, 입양 등 다른 선택지는 고려해볼 것인지를 모두 상의해본다.
    • 따로 병원에 가기 전에 먼저 신뢰할 수 있는 의료 전문가와 상의해보도록 한다. 특정 시술이나 진료를 광고하거나 추천과는 무관한 제삼자인 의료 전문가는 당신과 당신의 배우자가 생식력을 증진시켜주는 각종 시술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 병력(진료 기록)을 확인해보자. 일부 시술은 위험이 뒤따른다. 그리고 또 일부 시술이나 진료 과정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여성에게만 권장되기도 한다. 의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현재 상황에 맞지 않는 시술을 받지 않도록 하자.
    • 비용을 살펴보자. 대부분의 의사들은 진료 과정을 설명하면서 어느 정도의 비용이 드는지를 설명해줄 수 있다. 시술의 성공률과 기간, 비용 세 가지를 현실적으로 편견 없이 배우자와 함께 따져본 뒤에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도록 하자.
    • 자신과 맞는 의사를 찾는 것도 중요하다. 인터넷을 살피면서 특히 사람들이 추천하는 임신 클리닉이나 산부인과를 찾아가보도록 하자.
  2. 예약을 잡은 뒤 상황을 설명하고 언제, 어떻게 아이를 가지고 싶은지를 얘기하도록 하자.
    • 예약에 앞서 물어볼 질문들을 정리하도록 하자. 배우자와 함께 질문들을 살펴보면서 모든 질문을 다 적어놨는지 확인하자. 비용, 부작용, 치료 성공률 등을 모두 물어보도록 하자.
    • 처음 방문했다면 바로 검사나 치료를 시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단 현재 어떤 진료 방식을 고를 수 있는지 살펴보고 비용을 따져보도록 하자.
    • 처음 방문한 뒤에 바로 의사가 권장하는 치료나 흔히 사람들이 받는 치료를 시작해야 된다는 의무는 없다. 여러 번 방문하고 상담을 받아보자. 여러 병원을 다녀보면서 어디가 자신과 가장 잘 맞는지를 확인해보자.
  3. [21] 나프로 기술은 불임인 환자를 대상으로 개인적인 생식력 이상 원인을 진단해 수술을 통해 치료를 하는 방법이다. 특히 이 임신법은 일반적인 난임 치료법인 인공 수정이나 시험관 아기 시술을 하지 않으며 여성 자궁 경부에서 분비되는 점액을 관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나프로 임신법이 보험 적용이 되는지는 따로 알아보도록 하자.
  4. 시험관 아기 시술은 다양한 기술을 동원해 임신을 시도하는 흔한 방법 중 하나다. [22]
    • 시험관 아기 시술은 체내에서 또는 기증자의 신체에서 성숙한 난자를 제거한 뒤 배우자의(또는 기증자의) 정자와 수정시킨 뒤에 수정된 난자를 자궁에 넣어 착상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 각 과정이 2주 이상 소요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보험 회사들은 시험관 아기 시술을 일부만 보험 적용시키거나 보험에서 제외한다. 이 시술은 침투적이며 난자를 추출하고 수정된 난자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23]
    • 시험관 아기 시술은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이나 출산 경험이 없는 여성, 냉동 수정란을 사용한 여성의 경우 성공률이 낮아진다. 빠라서 만 40세 이상의 여성은 저조한 성공률(5% 미만)을 극복하기 위해 기증자의 난자를 제공받아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4]
  5. 정자에 결함이 있거나, 정자가 난자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인공 수정 또는 공여자 정액 주입법이 도움이 될 수 있다. [25]
    • 인공 수정은 남성의 정자에 문제가 있는 경우 여성의 체내에 정자를 직접 주입해 수정을 돕는다. 만약 배우자의 정자가 생식력이 없는 경우에는 기증자의 정자를 체내에 넣어 수정 및 착상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 과정은 보통 난소 호르몬 수치가 높아진 다음날 시도된다. 또한 수술적 개입이나 통증 없이 진행이 가능하다. [26]
    • 인공 수정은 다른 더 비싸고 침투적인 방법을 시도하기 전 먼저 6개월 동안 시도해보는 것이 좋다. 일부 경우에는 생식력을 보조해주는 약과 함께 인공 수정을 진행하면서 건강한 정자 주입에 초점을 맞추기도 한다.
  6. 일부 경우에는 임신 보조 치료제가 생식 호르몬 수치를 충분히 높여 자연적인 임신을 가능하게 해주기도 한다. 이외에는 배우자 난관 내 이식을 고려하거나 [27] 대리모 출산을 고려해볼 수도 있다.

  • 완전히 월경을 멈춘 폐경기에 들어섰거나 자궁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거나 수란관을 묶는 수술을 받았다면 임신이 불가능하다.
  • 방법이 통하지 않았을 때 배우자 탓을 하지 말자. 가끔은 시간만이 답일 수도 있다.
  • 브리프는 정자수 감소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뜨거운 물로 목욕을 하거나, 꽉 끼는 체육복을 입거나, 자전거를 많이 타거나, 오랜 시간 골반 위에 뜨거운 노트북을 올려놓는 등의 행위는 정자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28]
  • 양쪽 배우자의 비만이 착상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건강한 체중을 유지해 더 쉽고 건강하게 임신을 하도록 하자. [29] [30]

경고

  • 임신을 하기 위해 온갖 빠듯한 일정을 따르는 것은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배우자와의 관계에 정서적, 육체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 부모가 되는 것은 가볍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매우 큰 결정이다. 당신과 당신의 배우자가 아기를 가지기 전에 충분히 상의를 할 필요가 있다.
  • 피임약 등을 멈추기 전에 먼저 당신과 당신 배우자가 질병에 감염되지 않았는지, 기저 질환은 없는지를 확인하도록 하자.
  • 아기를 가질 준비가 되었는지 다시 확인하도록 하자. 부모님 및 배우자와 같이 상의하도록 하자.
  1. http://humrep.oxfordjournals.org/content/22/5/1340.long
  2.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getting-pregnant/in-depth/fertility/art-20047584?pg=2
  3.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2414.htm
  4. http://www.asrm.org/uploadedFiles/ASRM_Content/Resources/Patient_Resources/Fact_Sheets_and_Info_Booklets/smoking.pdf
  5. http://www.asrm.org/uploadedFiles/ASRM_Content/Resources/Patient_Resources/Fact_Sheets_and_Info_Booklets/smoking.pdf
  6.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infertility/basics/prevention/con-20034770
  7. http://www.asrm.org/uploadedFiles/ASRM_Content/Resources/Patient_Resources/Fact_Sheets_and_Info_Booklets/Sexual_Dysfunction-Fact.pdf
  8.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female-infertility/basics/symptoms/con-20033618
  9.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pcos/basics/symptoms/con-20028841
  10.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infertility/basics/tests-diagnosis/con-20034770
  11.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infertility/basics/tests-diagnosis/con-20034770
  12. http://www.naprotechnology.com/infertility.htm
  13. http://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in-vitro-fertilization/basics/definition/prc-20018905
  14. http://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intrauterine-insemination/basics/what-you-can-expect/prc-20018920
  15. http://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in-vitro-fertilization/details/results/rsc-20207024
  16. http://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intrauterine-insemination/basics/how-you-prepare/prc-20018920
  17. http://www.mayoclinic.com/health/intrauterine-insemination/MY00104/DSECTION=what%2Dyou%2Dcan%2Dexpect
  18. http://www.americanpregnancy.org/infertility/gift.html
  19. MayoClinic.com on low sperm count
  20.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07/12/071211233947.htm
  21.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924918/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02,98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