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전 애인과 함께 일해야하는 환경은 감당하기에 벅차고 골치아플 수 있다. 현재 애인과 함께 근무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직장에서 전 애인을 자주 마주치지 않더라도 헤어짐을 결심하는 것이 어렵겠지만,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전 애인과 예의 바른 관계를 유지하며 지낼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하니 참고해보자. 단순명쾌함과 분명함에 초점을 맞추고, 긴장감의 느낌을 업무의 원동력으로 활용해 자기 개발과 커리어 목표 달성도 이뤄보자.


파트 1
파트 1 의 3:

이별을 이겨내는(유지하는) 방법

PDF 다운로드
  1. 자신의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전 애인이 있는 직장이라 하더라도 커리어를 목표를 향해 열심히 일하고자 하는 원동력을 잃지 않도록 한다. [1] 자신에게 주어진 선택권에 대해 잘 생각해보고, 전 애인과 한 직장에서 근무해야하는 환경이 꼭 견뎌야만 하는 상황이 아닌 당신의 결정에 달려있다는 것을 명심하자.
    • 직장을 쉽게 대체할 수 있는지, 자신의 직책이 임시직인지 생각해보고, 자신의 우선순위를 따져본 결과 전 애인과 함께 근무하는 환경이 큰 고통과 혼란의 원인이 된다면 직장을 유지할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2. 생각하지 않기 위해 매우 노력하는 것들에 대한 생각을 멈출 수 없는 상황들이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백곰효과(white bear effect)"라고 불리우는데, 유혹을 떨쳐낼 수 없는 현상을 설명해주기도 한다. [2] 그렇기 때문에 전 애인이 머리 속에 떠오르더라도 이런 생각을 무리하게 떨쳐내려고 하지 않도록 한다. 예전 관계에 대한 생각에 빠져 일에 집중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감정을 솔직하게 받아들여보자. 또한 전 애인에 대한 생각들을 인정하면 예전 관계를 더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생각들이 떠올라 마음의 매듭 짓기가 더 쉬워질 수 있다
    • 전 애인이 여전히 당신 삶에 남아있다는 사실을 저항하지 않을 수록 더 좋다. 같은 직장에서 일한다면 전 애인의 존재와 직장에서 그를 마주쳤을 때 들 수 있는 감정들을 받아들여야만 한다. 이런 생각과 감정들이 단번에 사라지도록 강요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사라질 수 있도록 여유를 가져보자. 감정 제어를 강요하다보면 오히려 수동적인 공격성, 감정 기복, 그리고 전 애인에게 복수하고만 싶어지는 감정들이 들 수 있다.
    • 전 애인에 대한 감정을 인정하고 받아들인다고 해서 당신의 감정들을 직장에서 표출해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감정 공유가 필요할 경우 일기를 써보거나, 직장과 관련이 없는 친구나 가족들과 대화를 나눠보자.
  3. 일기를 쓸 때 커리어 목표도 구체화해보자. ‘매일 효율적으로 일하기’처럼 작은 목표로 시작해서 점차적으로 월간 목표, 혹은 직장 내의 목표로 확장시켜 나가보자. [3] 커리어상의 목표가 당신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도록 하자(예를 들어 개인의 행복, 신체적 웰빙, 스트레스로부터 해방감). 커리어 목표와 연관된 개인적인 부분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면 커리어 목표가 이전과는 다르게 느껴지고, 목표 달성을 위해 더 열심히 일하고자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4. [4] 전 애인과 가끔 이야기를 하더라도 극한 상황일 때 찾게되는 사람이 전 애인이 되지는 않도록 한다. 전 애인이 가까이 있기 때문에 나쁜 일, 혹은 좋은 기회나 성취감에 대한 감정을 나누고 싶은 유혹이 들 수 있겠지만, 당신과 더 깊은 관계를 나누고 있는 사람들과 나누는 것이 좋다.
    • 당신의 삶을 계속 전 애인과 공유하다보면 직장 관계 이상의 감정이 들 수 있고, 직장에서나 혹은 직장 밖에서 전 애인의 존재에 의지하게 될 수 있다. 사귈 때의 전 애인의 역할이 더 이상 필요없다고 생각하면 이 과정을 더 쉽게 극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가날 때나 도움이 필요할 때 얘기할 수 있는 친구나 가족들을 선정하여 스트레스받거나 즐거운 일이 있을 때 주변인들의 후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보자.
  5. 특히 힘겨운 날들에는 전 애인을 보고 서로 행복했던 과거의 날들을 이상화하기 쉽다. 당신이 전 애인에 대한 감정을 완전히 잊었다 하더라도 우리의 본능적인 마음은 단기간의 안정과 희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최선책을 찾고자 하는 법이다. [5] 명상기법 을 배우면 현재에 집중하고, 과거의 날들에 대한 몽상에 연연해하지 않는데 도움이 된다.
    • 즉각적인 반응에 집중하고, 당신과 전 애인 관계가 더 이상 예전같지 않다는 사실을 지속적으로 상기시켜보자. 회의 도중 전 애인이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을 때 당신이 업무 사항에 집중하기 보다는 전 애인의 눈에 빠져들거나 예전 기억들이 떠오르는지 살펴보자. 생각이 다른 곳으로 흘러갔다고 해서 자책하지 말고, 다시 현재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보자. 업무 생산력이 높은 동료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여 동료의 주의력으로 인해 당신의 업무 집중력도 높아질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아보자.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효율적으로 전 애인과 대화하기

PDF 다운로드
  1. [6] 직장 내 상황에 대해 솔직하게 빠짐없이 생각해보고 이별 후 서로의 입장이 어떤지도 생각해보자. 호기심 많은 직장 동료들로부터 최대한 떨어져 대화하거나, 직장 외부의 공간에서 이야기를 나눠보자. 예전 관계를 둘러싼 감정적인 일들이 직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면 한다는 당신의 의사를 전 애인에게 전달해보자. 어렵더라도 예의바른 직장 내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당신의 행복과 업무를 위해 중요하다는 사실을 언급한다. 정중하고 예의바른 태도로 이 대화를 이끌어 나가면 전 애인도 당신의 요청에 따라줄 것이다. 다음과 같은 사안들에 서로 동의할 수 있도록 해보자:
    • 다른 동료들과 함께 대화하기
    • 긴밀하게 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혹은 이와 같은 상황을 피하도록 노력하기).
    • 개인적인 감정과 직장 사이의 거리 유지하기.
    • 심각한 문제가 도래했을 때 직장 밖에서 이야기하도록 하기.
      • 하지만 직장 내에서는 예측하지 못한 곳에서 전 애인을 마주할 수 있으니 어느 정도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전 애인과 당신이 동의한 조건들처럼 통제가 가능한 사안들도 있지만, 통제가 불가능한 상황들도 발생하기 마련이다. 전 애인과 직장 내에서 마주치는 빈번도는 통제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2. 전 애인과 직장에서 유지하는 거리마저도 이로부터 벗어나고 싶다면 그렇게 해보고, 어려운 상황을 극복해 나가고 있는 자신을 존중해보자. 전 애인과 거리감 유지에 대해 서로 이야기를 마친 상태라 하더라도, 당신의 희망사항을 숨김없이 전달하는 것은 당신의 몫이다. 전 애인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도 당신의 의사를 분명하게 전달하도록 하자. 거리감에 대한 분명한 대화를 통해 다른 사람들이 당신에 대한 뒷담화를 나누거나 당신의 상황을 짐작하는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 예를 들어 동료들로부터 전 애인도 참여하는 술자리에 초청을 받았다면, 전 애인과 가깝게 있는 것을 원치 않아 참석하고 싶지 않다고 말해서 모두가 당신의 상황에 대해 알게되도록 하기보다는, 다른 선약이 있어 참석할 수 없다고 말해보자. 그리고 다른 사람과 어울리고 싶지 않은 감정이 영원히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스스로에게 상기시켜주는 것도 잊지 않는다.
  3. [7] 당신이 다른 동료들과 전 애인에게 어떤 인상을 주는지 확실치 않을 수 있다. 서 있는 자세, 타인을 대할 때의 자세 및 제스처에서 불편함이나 어색함이 어느 정도 들어날 수 있다. 자신의 바디 랭귀지를 이해하여 타인이 바라보고 있는 자신의 모습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보자.
    • 전 애인과 업무와 관련된 사항에 대해 논의 중일 때, 눈을 마주치려고 하지 않거나 손을 가만히 두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했을 수 있다. 이 두가지 행동은 불편함을 드러내는 행동들이니, 바디 랭귀지를 수정해 당신과 전 애인 모두가 편안한 상태에서 대화를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보자.
    • 당신의 바디 랭귀지가 불안감이나 불편함을 자주 드러내는 것 같다면, 감정 표출법을 꼼꼼히 되돌아볼 필요가 있자. [8] 타인과 대화 중 나타나는 바디 랭귀지를 수정하면 직장 내 생활이 더 수월해질 수 있으나, 수정해야할 바디 랭귀지가 많다는 것은 직장 밖에서 해결해야할 더 큰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4. 예의바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당신과 전 애인 모두가 바란다고 하더라도 예전 관계에서 비롯된 불편한 상황들이 도래될 수도 있다. 이런 일이 발생되면 전 애인과 대화하길 두려워하지 않고, 어떤 점들이 당신을 힘겹게 하는지 전 애인에게 이야기해보자. 대화할 때 전 애인을 비판하기 보다는 당신의 감정에 집중하도록 한다. [9] 문제의 범위와 급한 정도에 따라 사무실 밖에서 이야기를 나누어보거나, 직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서로 계획해보자.
    • 대화를 나누기 전에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지 깊히 생각해본다. 전 애인에게 꼭 물어보고 싶은 요청 이 있을 때만 대화를 시도해보는 것이 좋다. [10] 전 애인이 당신의 영역을 존중하였으면 하지만 예기치 않을 상황에 당신의 사무실에 들어오곤 한다면, 당신의 의사가 존중되고 있지 않은 것이므로 대화를 통해 당신의 요청 사항을 분명히 전달해보자. 이처럼 요청할만한 사안들이 없다면(당신에게 머저리처럼 굴지 말아달라는 요청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단지 당신의 불편함을 누군가에게 털어놀 기회를 찾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 전 애인과 대화를 하기로 결심했다면 프로다운 자세를 유지하고, 현실성있고 목적이 분명한 대화를 나누도록 하자.
  5. 전 애인이 의도적으로 직장에서 당신에 대한 불편한 정보를 뿌리고 다니거나 중요한 마감일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 등 방해 행동을 하는 것처럼 느껴지는가? 그렇다면 적극적으로 나서서 전 애인과의 관계의 매듭을 짓고 현재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정할 수 있도록 해보자.
    •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문제의 근본에 대해 전 애인과 얘기하면, 전 애인이 억울한 감정을 못된 행동으로 표출하는 것보다 더 좋은 해결 방법들이 있다는 사실을 자각할 수도 있다. 전 애인이 해결해야하는 문제이기 떄문에 평상시와는 다른 접근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전 애인의 괴롭힘을 중단하는 것이 대화의 목적이므로 당신의 깊은 감정들은 언급하지 않도록 한다.
    • 직장에서 나누는 돈에 대한 대화는 항상 불편하기 마련이다. 전 애인이 당신에게 직접적으로 혹은 당신에게 들리도록 연봉 인상이나 보너스에 대해 이야기 한다면, 대화에 참여하지 않거나 얘기하기 불편한 주제임을 알려주도록 한다. 당신을 앞서려고 하는 전 애인의 시도에 말려들지 않도록 하자.
  6. 매우 언짢아하는 전 애인에 대처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믿을 수 있는 상임 직원에게 전 애인의 직장 괴롭힘의 증거를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임시적으로 당신의 평판에 흠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프로다운 자세 유지하기

PDF 다운로드
  1. 전 애인과 함께 근무한다면 또 다른 직장 내 연애에 대해 더 조심스럽게 생각해보아야 한다. [11] 다른 동료와 짙은 농담을 주고 받기 전에 이런 행동이 전 애인과 함께 근무하는 현재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보자.
    • 당신과 전 애인 사이에 매우 부정적인 에너지가 생기지는 않을지 판단해보고자 한다면 전 애인의 입장에서 한번 생각해보자. 전 애인이 항상 좋게 생각했던 다른 동료와 퇴근하는 모습을 보면 아마도 당신의 기분이 그리 좋지는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은 현재의 상황을 고려해보고 전 애인과의 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실수하지 않도록 하자.
    • 전 애인과 우연히 엘리베이터를 같이 타게된 날, 친근하게 행동하기 위해 굳이 직장 밖 최근 연애사에 대해 늘어놓을 필요는 없다. 서로 마찰없이 공유할 수 있는 업무에 대한 어려움이나 동료들 사이에서 오고갔던 농담에 대해 이야기를 대신 나눠보자.
  2. 전 애인과 프로젝트에 함께 임하게 되었다면 사귈 때 쌓였던 죄책감이나 비난의 감정이 업무에 섞이지 않도록 한다. [12] 행동과 결정을 내리기에 앞서 특히 더 유념하고, 남아있는 예전 감정들의 영향을 받아 행동하는 것은 아닌지 점검해보자. 남아있는 감정보다는 커리어에 대한 목표가 당신을 이끌 수 있도록 하면 더 수월하게 커리어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 예를 들어 전 애인이 동료 직원들에게 커피를 가져다 줄 때, 당신이 좋아하는 취향대로 당신의 커피를 맞추어 가지고 왔다면, 정중하게 감사하다고 말한 후 특별대우는 원치 않는다고 말해보자. 전 애인의 좋은 제스처이긴 하지만, 예전에 서로 행동하고 했던 방식을 재현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
  3. 전 애인에게 많이 의존하지 않으려면 직장에서 당신을 후원해주는 사람들과 함께하도록 해보자. 그렇다고 해서 전 애인과 불편함이 생길 때마다 감정을 터뜨릴 수 있는 동료를 만들라는 의미는 아니다. 서로 통하고 자주 마주치는 동료가 생기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전 애인으로부터 더 멀어질수록 더 좋다. 당신과 비슷한 유머감각을 가졌거나, 비슷한 커리어 열망이 있는 사람을 찾아보자. 일반 직장인들이 직장 내에서 만들어가는 인연들을 만들어가보자.
  4. [13] 불행은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사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변 동료들이 당신과 전 애인 사이의 일들을 논의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심할 경우 동료들이 편을 들어 예전의 복잡했던 상황들이 재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갈등 상황에 연루되어길 원치 않는 동료들이나, 당신의 행동에 부끄러움을 느낀 동료들이 당신을 피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전 애인과의 일들이 다른 사람들의 수다거리가 되지 않도록 하며, 직장 외부 사람들의 후원을 얻어보자.
    • 그렇다고해서 자신의 과거을 과하게 숨길 필요는 없다. 다만 과거에 대해 드러내놓고 이야기하지 않도록 해보자. 예전에 누군가를 사귄적이 있다는 얘기를 꼭 해야만하는 상황이라면 누가봐도 분명하게 예전 관계가 끝이 났고, 자세하게 얘기하고싶지 않다고 얘기해보자. 사생활에 대해 얘기하고 싶지 않으며, 사생활을 존중받고자 하는 의사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해보자.
  5. 애인과 함께 근무하는 환경의 가장 큰 장점은 모든 에너지를 일에 쏟을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전 애인과 함께했던 기억들이나 그리운 점들이 생각나면, 이러한 생각들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따로 마련해보자. 전 애인에 대한 생각을 계속 억누를 필요는 없지만, 과거를 존중하고 당신의 감정을 인정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할 필요는 있다.
    • 대화하기에 민감한 주제들은 피하는 것이 가장 최선이다. 이별을 둘러싼 여러 감정들이 되살아날 수 있기 때문에 민감한 주제들은 피해보자. 최소한 처음에는 서로 공유했던 경험들, 그리고 로맨스와 이별에 대한 주제는 건들이지 않도록 하자.
  6. [14] 새로운 스트레스가 전 애인과 근무하는 환경에서 비롯되었다면, 직장 밖의 활동과 관계들에을 늘려나가보자. 자주 보지 못했던 친구들과 다시 시간을 함께해보거나, 새로운 맛집들을 찾아다녀보자. 전반적으로 사회 생활을 즐기게 된다면, 직장 내 골치아픈 일들에 연루되고싶지 않아지거나 직장이 의미있는 시간을 보내는 장소로 여겨질 수 있다.
    광고

  • 시간을 충분히 가져보자. 한 때 소중했던 사람에 대한 감정이 변하기 위해서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자신의 감정이 어떻게 변화해나가는지 잘 살펴보고, 직장에서 자신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주변 사람들의 팁들을 잘 참고해보자.
광고
  1. Rosenberg, Marshall B. Nonviolent communication: A language of compassion. Encinitas, CA: PuddleDancer Press, 1999.
  2. Hazan, Cindy, and Phillip R. Shaver. "Love and work: An attachment-theoretical perspecti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2 (1990): 270.
  3. http://www.umkc.edu/starr/Workplace_Professionalism.pdf
  4. http://www.umkc.edu/starr/Workplace_Professionalism.pdf
  5. Adams, Gary A., Lynda A. King, and Daniel W. King. "Relationships of job and family involvement, family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with job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4 (1996): 411.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42,607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