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사람들로 하여금 사실대로 털어놓게 만드는 방법을 알면 유용하다. 가정과 직장 등 다양한 상황에서 도움이 된다. 연습과 인내심, 그리고 자신감이 요구되기는 하지만 습득 가능한 기술이며 사물의 본질을 뜷어볼 수 있다. 상대방의 역성을 들어주고, 적절한 방법으로 대화를 시작하고, 거짓말의 징후를 알아챈다면 진실을 알게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방법 1
방법 1 의 3:

상대방 편들어주기

PDF 다운로드
  1. 비난을 하면 상대가 사실대로 말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침착함을 유지하고 감정 실린 보디랭귀지를 삼가한다. 고함을 지르고, 주먹으로 테이블을 내리치고, 팔짱을 끼고 있으면 위협적으로 보인다. 사람은 자신을 이해해준다고 느낄수록 더 흔쾌히 정보를 공유한다.
    • 가급적이면 자리에 앉아서 상대방의 눈을 바라보며 부드럽고 상냥하게 말한다. 손은 무릎에 놓거나 양 옆에 붙이거나 테이블 위에 놓고 얼굴에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1]
  2. 상대를 이해하고 그들의 처지에 공감한다는 것을 보여주어 신뢰를 얻는다. 화를 내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사실대로 이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왜 그런 짓을 저질렀는지 이해한다는 듯이 행동한다.
    • 예컨데 아들이 친구들과 함께 담배를 피우는 것을 발견했다고 치자. "너, 담배 안 피운다고 그랬지. 하지만 설령 담배를 피웠더라도 난 이해한다. 친구들의 압력에 못 이겨 평소에 안 하던 짓을 하기도 하지"라고 말한다.
    • 상대에게 누구라도 똑같은 일을 저질렀을 것이라는 인상을 주면 사실대로 말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2]
  3. 보통 사람들은 파장이 두려워 사실대로 말하지 못 한다. 하지만 상황의 심각성을 최소화하면 사실대로 말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 "진짜 별 거 아니야. 그냥 사실을 알고 싶어서 그래"라고 말한다. 심각한 잘못을 저지는 게 아니라고 상대를 안심시키면 사실대로 털어놓을 가능성이 높다. [3]
    • 하지만 진짜 별 일 아닌 경우에만 이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법적 책임을 져야 하거나 감옥살이를 해야 하는 일에는 해당사항이 없다.
  4. 상대에게 혼자서 책임질 일이 아니라고 말해준다. 다른 사람들도 함께 책임져야 하는 일이라는 생각을 심어주면 사실대로 말할 가능성이 높다. 혼자서 모든 책임을 지게 된다고 생각하면 입을 꾹 다물게 된다.
    • "혼자 한 일 아니잖아. 잘못한 사람들이 너 말고도 많은데"라고 말한다. [4]
  5. 상대를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한다. 나는 같은 편이고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겠다고 말한다. 사람은 두려움이 누그러지면 마음을 터놓는다. [5]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3:

상황 의논하기

PDF 다운로드
  1. 상대의 과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가 얼마나 있냐에 따라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강한 의심을 갖고 있는 경우와 명확한 증거가 있는 경우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이 다르다.
    •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내 생각을 말해주면서 다그치지 말고 대화 중에 사실대로 털어놓게 유도하는 것이 가장 좋다.
    • 증거가 있는 경우에는 내 생각을 말해주고 가지고 있는 증거를 제시한다. 이렇게 하면 상대가 책임을 피할 도리가 없다.
  2. 상대의 이야기를 내가 이해한대로 설명한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상대가 끼어들어 정정할 것이다. 이렇게 해서 부분적으로 자백을 얻어낸다.
    • 일부러 틀리게 말해서 상대로 하여금 내 이야기를 정정하게 유도한다. 예를 들면 상대가 다른 곳에서 잘못을 저지른 것 같아도 "그래서 어젯밤 술집에 갔군"이라고 말한다. 그러면 상대가 정정하려고 들다가 사실을 털어놓을 것이다. [6]
  3. 방법을 달리해서 같은 질문을 계속 물어본다. 상대가 토시 하나 틀리지 않고 똑같은 답을 하면 질문 받을 것을 대비하여 미리 연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대의 대답에 일관성이 없으면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상대에게 이야기를 끝에서부터 시작해서 처음까지 거꾸로 해보라고 한다. 아니면 이야기를 중간부터 해보라고 한다. 같은 이야기를 여러 번 시켜봐서 모순점이 발견되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7]
  4. 상대가 사실대로 털어놓게 만드는 데는 사용하는 언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네 잘못이라고 암시하는 말을 사용하면 상대가 움추러든다. 완곡한 말을 사용해서 상대가 사실을 털어놓을 수 있게 용기를 북돋아준다.
    • 예를 들면 "훔쳤다" 대신 "가져왔다"라고 말한다. "바람 피웠다" 대신 "누군가와 시간을 보냈다"라고 말한다. 완곡하게 말할수록 상대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 가능성이 크다. [8]
  5. 엄포 놓기는 위험하지만 효과적인 전술이다. 진짜로 위협할 의도가 없고 확실한 증거가 없더라도 위협을 하거나 증거를가 있다고 말한다. 엄포를 놓으면 예상되는 파장에 상대가 겁을 집어먹고 사실대로 털어놓을 수도 있다.
    • 예를 들면 "당신이 범행 현장에 있는 것을 본 목격자가 있다 "고 말한다. 그러면 상대가 겁을 먹고 사실을 털어 놓을 수도 있다. 계속 거짓말을 하면 관련 당국이나 책임자에게 알리겠다고 위협할 수도 있다. [9]
    • 엄포 놓기 같은 언어적 위협은 상대의 연관성이나 유죄를 확신할 때만 해야 한다. 위협을 했을 경우, 상대가 방어적으로 나오고 사실대로 말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면 어떤 종류의 위협도 하지 말아야 한다.
  6. 누군가 나를 똑바로 쳐다보며 거짓말을 하면 참기가 힘들다. 화를 가라앉힐 시간이 필요하다면 그렇게 한다. 하지만 실토하게 만드려고 상대를 공격하거나 완력을 사용하면 안 된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3:

거짓말의 징후 알아채기

PDF 다운로드
  1. 보통 답변을 회피하는 것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제를 바꾸거나 그냥 아무런 대꾸를 안 하는 것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보통 사람들은 숨기는 것이 없을 때 무슨 말이든 하게 마련이다. [10]
  2. 보통 사람들은 거짓말을 할 때 목소리의 톤과 높낮이가 바뀐다. 목소리가 높아지고 말이 빠르며 말을 할 때 목소리가 떨린다. 목소리에 변화가 생기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신호이다.
    •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알아채려면 상대의 목소리를 알고 있어야 한다. 먼저 이미 답을 알고 있는 질문을 던져 상대가 답을 할 때 목소리가 어떤지 파악한다. 일단 목소리를 파악한 다음에 답을 모르는 질문을 던진다. 상대의 목소리에 변화가 있으면 거짓말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11] 하지만 병적인 거짓말쟁이나 소시오패스는 예외이다.
  3. 사람은 거짓말을 할 때 모습이 크게 달라진다. 거짓말을 하면 불안해하고 보통 몸도 그에 따라 반응한다. 아무리 작은 행동의 변화라도 거짓말임을 알아낼 수 있는 단서가 된다.
    • 예를 들면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은 입이나 눈을 가린다. 가만히 있지 못하고 자주 침을 삼키며 심하게 헛기침을 한다. 눈을 마주치지 않고 신경질적으로 웃는다. [12]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4,918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