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이런! 무언가를 만져 손가락에 화상을 입고 수포가 생겼는가? 수포와 붉은 피부는 2도 화상을 의미한다. 통증이 매우 심하고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합병증이 생긴다. 손가락에 화상을 입고 수포가 생긴 경우, 응급 처치, 화상 세척 및 관리, 회복 촉진을 통해 치료한다.

파트 1
파트 1 의 3:

신속히 응급 처치하기

PDF 다운로드
  1. 손가락을 화상을 입힌 물체로부터 뗀 후 흐르는 시원한 물에 갖다댄다. 손가락을 물에 갖다댄 채 10-15분 동안 그대로 있는다. 또는 시원한 물에 적신 수건으로 10-15분 동안 감싸고 있거나 수돗물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물을 용기에 받아 손가락을 담근다. [1] 이렇게 하면 통증이 최소화되고, 부기가 가라앉고, 조직 손상을 막을 수 있다. [2]
    • 손가락을 찬물이나 따뜻한 물에 갖다대거나 얼음에 담그는 것을 피해야 한다. 화상과 수포가 더 악화되기 때문이다. [3]
    • 시원한 물로 화상을 씻어내면 부기가 가라앉고, 회복 속도가 빨라지며, 흉터가 덜 진다.
  2. 냉기는 부기를 가라앉히는 데 도움이 된다. 물이나 젖은 수건으로 손가락을 식히면서 반지 등 손가락에 끼고 있는 것을 뺀다. 화상 부위가 부어오르기 전에 가급적 빠르고 부드럽게 뺀다. 이렇게 빼면 물기가 말랐을 때 통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을 입고 물집이 생긴 손가락을 더 잘 치료할 수 있다. [4]
  3. 즉시 손톱만한 크기의 작은 수포가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 세균 번식과 감염을 막기 위해 수포를 그대로 놓아둔다. 수포가 터지면 순한 비누와 물로 부드럽게 씻어낸다. 그 다음에 항생제 연고를 바르고 달라붙지 않는 거즈 붕대를 감는다. [5]
    • 수포가 큰 경우에는 신속히 치료를 받는다. 수포가 저절로 터지거나 감염이 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사가 수포를 터트려야 할 수도 있다.
  4. 화상과 수포가 즉각적인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가장 가까운 응급실이나 응급치료 센터에 간다. [6]
    • 심한 수포
    • 극심한 통증 또는 무통
    • 손가락 전체에 입은 화상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화상을 세척하고 붕대로 감기

PDF 다운로드
  1. 순한 비누와 물로 다친 손가락을 부드럽게 씻는다. 화상 부위를 부드럽게 문지르고 수포가 터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렇게 하면 감염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7]
    • 화상을 입고 수포가 생긴 손가락을 각각 따로 치료한다.
  2. 접촉 후 24-48시간 동안 화상이 심해진다. 화상을 수건으로 톡톡 두드리면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손가락의 물기를 공기 중에 말린 후 연고를 바르고 붕대를 감는다. 이렇게 하면 화상의 열기를 식히고, 수포가 터질 위험이 줄어들며,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8]
  3. 연고를 바르기 전에 화상을 식힌다. 수포에 성긴 멸균 붕대를 대면 화상 부위가 식고 균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진물이 흐르거나 수포가 터지면 거즈를 새것으로 교환한다. 화상 부위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면 감염도 예방할 수 있다.
  4. 24-28시간 후에 치료 및 보호용 연고를 바른다. 수포가 터지지 않고 피부가 찢어지지 않은 경우에만 연고를 바른다. [9] 화상과 수포 위에 다음 중 하나를 얇게 펴바른다. [10]
    • 항생제 연고
    • 무향, 무알콜 보습제
    • 실버 설파다이아진(Silver sulfadiazine) 크림
    • 알로에 젤 또는 크림
  5. 민간요법에 따르면 화상에 버터를 사용한다. 하지만 버터에는 열을 유지하고 감염을 야기할 수 있다. 화상의 열기가 유지되는 것을 막고 감염을 예방하려면 버터를 비롯해 다음과 같은 민간요법에서 말하는 치료제를 화상에 바르지 않는다. [11]
    • 치약
    • 오일
    • 소똥
    • 밀랍
    • 곰의 지방
    • 달걀
    • 라드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수포와 화상으로부터 회복하기

PDF 다운로드
  1. 수포가 생긴 화상은 통증과 부기가 매우 심하다.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나트륨, 아세트아미노펜 등을 복용하면 통증과 부기가 가라앉는다. 의사나 제품 라벨을 통해 주의사항과 복용량을 숙지한다. [12]
  2. 붕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매일 한 번 이상 새것으로 교환한다. 진물이 흘러내리거나 붕대가 축축하면 붕대를 새것으로 교환한다. 이렇게 하면 수포가 생긴 화상을 보호하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13]
    • 화상이나 수포에 들러붙어 있는 붕대를 깨끗하고 시원한 물이나 식염수에 담근다. [14]
  3. 손가락을 무언가에 부딪치거나, 만지거나, 마찰과 압력을 가하면 수포가 터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회복이 더뎌지고 감염이 생긴다. 반대편 손이나 손가락을 사용하고 화상 부위를 압박하는 것은 어느 것도 착용하지 않는다. [15]
  4. 수포가 생긴 화상은 파상풍 등에 감염될 수 있다. 10년 내에 파상풍 주사를 맞은 적이 없다면 병원에 가서 맞는다. 이렇게 하면 화상으로 인해 파상풍에 걸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16]
  5. 화상은 나으려면 시간이 좀 걸린다. 감염이 생길 수 있다. 화상은 쉽게 감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가락이 움직이지 않는 등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화상 부위에 다음과 같은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치료를 받는다. [17]
    • 흐르는 고름
    • 심해지는 통증, 발적, 부기
    • 발열 [18]
    광고

필요한 것

  • 시원한 물
  • 멸균 거즈 또는 붕대
  • 의료용 테이프
  • 연고
  • 의사 처방이 필요없는 일반 진통제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52,520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