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누구나 가끔 잠을 이루기 어렵다. 이 오지 않아 고생하고 있다면 몇 가지 간단한 방법이 도움이 될 것이다. 긴장을 푸는 활동을 하고 생활습관을 바꾸면 수면 주기가 전반적으로 개선된다.

파트 1
파트 1 의 3:

잠들기

PDF 다운로드
  1. 밤에 잠이 오지 않아 고생이라면 긴장을 푸는 활동을 한다. 마음을 비우고 잠이 드는 데 도움이 된다.
    • 심호흡을 다섯 번 한다. 숨을 들이쉬었다 내쉬면 몸의 긴장이 풀린다. 손을 배에 대고 호흡할 때 배에 얹은 손이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을 따라서 숨을 쉬어본다. [1]
    •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한다. 이렇게 하면 잠드는 데 방해가 되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 있다. 다리에 닿는 침대 시트의 느낌, 방안 온도, 바깥에서 들려오는 소음, 시트나 침대의 냄새에 집중한다. 지금 이 순간에 고도로 집중하면 잠에 빠지는 데 도움이 된다. [2]
    • 발가락을 긴장시키면 실제로 긴장이 많이 풀린다. 잠을 자려고 하는데 잠이 오지 않는다면 발가락을 안쪽으로 당기고, 10까지 센다. 그 다음에 이완시키고 다시 10까지 센다. 10번 반복한다. [3]
  2. 한동안 잠을 자려고 해보았지만 잠이 오지 않는다면 방에서 나가 잠시 다른 일을 한다. 독서, 조용한 음악 듣기, 기타 긴장을 풀어주는 활동 등이 잠드는 데 도움이 된다. 방에서는 주로 잠을 자야 한다. 따라서 거실이나 집안의 다른 곳으로 가서 졸리기 시작할 때만 침대로 되돌아 온다. [4]
    • 조명을 어둡게 하고 너무 자극적인 것은 하지 않는다. 책을 읽는다면 페이지가 술술 넘어가는 서스펜스 소설은 피한다. 전기나 다소 재미없는 책을 읽는다.
  3. 내일 할 일을 생각하느라 잠을 이룰 수 없다면 할 일 리스트를 만든다. 이렇게 하면 머리 속에서 잡념을 떨쳐버릴 수 있다. 종이에 내일 해야 할 일을 모두 적는다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다. 화면의 불빛이 잠이 들도록 도와주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생성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잡념을 떨쳐버리면 더 쉽게 잠에 빠질 수 있다. [5]
  4. 방은 잠드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잠 못 들어서 고생하는 일이 잦다면 수면에 좋지 않은 환경이 그 원인일 수 있다.
    • 방 안 온도를 살펴본다. 수면에 이상적인 온도는 15-18도이다. 방이 이것보다 덥거나 추우면 히터나 에어컨을 구입한다. [6]
    • 밝은 빛은 잠 자는 데 방해가 된다. 암막 커튼이나 안대로 빛을 차단한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시계나 밝은 화면이 있는 가전제품의 밝기를 낮춘다. [7]
    • 수면과 일상 생활을 분리한다. 침실에서 일을 하지 않는다. 침실은 주로 잠을 자는 데 사용한다. 침대에서 일하는 습관이 들면 뇌가 수면 공간과 활동할 시간을 연관짓는다. 잠자리에 들면 에너지가 넘치는 느낌이 든다.
  5. 바디 스캔 명상은 다양한 신체 부위를 알아가는 명상 방법이다. 한 번에 신체의 한 부분에 고도로 집중하면 쉽게 잠에 빠질 수 있다.
    • 바디 스캔 명상은 길이가 다양하다. 10분 또는 3-5분 동안 지소고딘다. 먼저 발가락 같이 작은 신체 부위에 초점을 맞춘 다음 전체 신체 부위로 초점을 옮겨간다. 신체 부위의 감각에 주목한다. 그 다음에 특정 부위로, 상체로 옮겨간다. 예를 들면 발가락에서 시작, 발과 아랫쪽 다리로 옮겨간다. [8]
    • 바디 스캔 명상에 초점을 맞춘 유도 명상 기법이 인터넷에 많이 있다. 잠들려고 노력할 때는 5분 가량 짧게 한다. 하지만 특히 정신없고 산만할 때는 더 길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9]
  6. 잠 못 들 때 때로는 카모마일 차나 우유가 도움이 된다. 밤에 잠이 안 올 때 이런 음료를 많이 마신다.
    • 따뜻한 우유가 수면에 미치는 효과는 여전히 과학적으로 상당히 불확실하다. 우유가 신체에 미치는 효과는 제한적이지만 누군가에게는 편안해지는 효과가 있다. 따뜻한 우유의 심리적인 진정 효과 때문에 더 졸릴 수도 있다. 특히 어린 시절 잠이 잘 오라고 우유를 마신 경우 더더욱 그렇다. [10]
    • 따뜻한 우유처럼 카모마일 차 역시 수면에 미치는 효과도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카모마일 차의 효과는 신체적이라기 보다는 심리적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잠자리에 들기 전 카모마일 차를 한 잔 마시면 잠자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람들이 많다. 수면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카페인이 들어 있는 차는 피한다. [11]
  7. 잠자리에 들기 직전에 체온이 자연스럽게 떨어진다. 잠 잘 무렵에 따뜻한 물로 목욕이나 샤워를 하면 순간적으로 체온이 올라갔다가 물에서 나오면 체온이 떨어진다. 이 때 체온이 떨어지는 것이 수면에 대비하는 신체의 자연스러운 과정과 비슷하기 때문에 진정되고 졸음이 몰려온다. 잠자리에 들기 2시간 전에 샤워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다. [12]
  8. 바깥 소음이나 소란스러운 이웃 때문에 잠들기가 어렵다면 백색 소음 기계를 사용한다. 이 기계는 백색 소음이나 마음을 진정시키는 배경 소음을 발생시켜 원치않는 소리를 덮는다. 휴대전화에 백색 소음 앱을 다운로드해도 된다.
  9. 멜라토닌은 수면/기상 주기를 돕기 위해 신체에서 생성하는 호르몬이다. 멜라토닌 보충제를 복용하면 졸음이 오고 단기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보충제를 복용하기 전에 의사나 약사와 상의한다.
    • "USP 인증"이라고 표시된 보충제를 구입한다. 복용량과 성분이 포장에 정확히 기재되어 있다는 뜻이다.
  10. 10
    마그네슘을 복용한다. 연구에 따르면 마그네슘은 전체적인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13]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 매일 300-400mg 또는 조금 더 복용한다. [14] 하지만 매일 1,000mg을 초과하지 않는다. 권장 복용양에 대해서 의사와 상의하고 마그네슘 보충제를 복용해도 안전한지 확인한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수면 습관 만들기

PDF 다운로드
  1. 장기적으로 수면 습관을 개선하고 싶다면 확고한 수면 스케줄을 짠다. 신체는 생체 리듬에 따라 수면/기상 시간을 정한다. 잠들려고 노력하고 매일 같은 시간에 일어나면 더 쉽게 잠들고 일어날 수 있다.
    • 서서히 변화를 만든다. 보통 새벽 2시에 자고 아침에 늦게 일어나는 경우 바로 밤 11시에 잠자리에 들 수 없다. 원하는 시간에 잠을 자게 되기까지 매일 밤 20-30분씩 앞당겨서 잠자리에 든다. [15]
    • 주말에도 스케줄을 지긴다. 토요일에 자고 싶겠지만 그렇게 하면 생체 리듬을 흐트러진다. 그렇게 되면 일요일 밤에 자서 월요일 아침에 일어나는 것이 힘들다. [16]
  2. 잠자리에 들기 전에 신체가 긴장이 풀리고 이완되려면 최소한 한 시간이 걸린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한 시간 동안 긴장을 푸는 활동을 한다.
    • 독서, 십자말풀이, 따뜻한 물 목욕, 음악 듣기 모두 긴장을 풀어주는 활동으로 잠드는 데 도움이 된다. [17]
    • 많은 사람들이 잠자리에 들기 전에 텔레비전을 본다. 이 경우 30분 가량만 시청해서 밝은 빛에 노출되는 것을 제한한다. 심각한 프로그램보다 편안하고 유쾌한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기분이 상하는 프로그램을 보면 잠을 자기 어려울 수 있다. [18]
  3.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는 자극적이고 수면을 방해하는 "블루 라이트"를 방출한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이런 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고 컴퓨터는 f.lux, 스마트폰은 "Night Shift"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밤에 방출되는 블루 라이트를 줄이는 방법을 찾아본다. [19]
  4. 잠자리에 들기 전에 잔뜩 음식을 먹으면 위에 부담이 되서 밤에 잠을 못 이룬다. 하지만 배가 고파도 신경이 쓰인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배가 고프면 기름지거나 달콤한 간식보다는 저칼로리이고 건강에 좋은 간식을 먹는다. 건강에 좋은 간식은 배가 부르고 만족스럽게 잠에 빠질 수 있다. [20]
    • 통곡물 토스트 한 조각에 땅콩버터를 조금 바른다. 만족스러운 간식은 잠드는 데 도움이 된다. 복합 탄수화물은 신체가 수면을 유도하는 트립토판을 뇌에 전달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21]
  5. 만성적으로 잠을 못 이룬다면 침구가 원인일 수 있다. 불편한 베갯잇은 밤에 잠이 안 오는 원인이다.
    • 가급적이면 면 침구를 사용한다. 공기가 잘 통하고 통기성이 좋아 자극을 줄 가능성이 낮다. [22]
    • 자극을 주는 것을 피한다. 시트, 이불, 베개, 베갯잇의 라벨을 확인한다. 섬유에 알레르기를 일으키거나 민감한 물질이 들어 있어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 [23]
    • 베개는 시간이 지나면서 탄탄함을 잃는다. 베개가 너무 탄력이 없다면 새것으로 교체한다. [24]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생활습관 바꾸기

PDF 다운로드
  1. 운동을 하면 수면 주기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매일 10분만 유산소 운동을 하면 수면의 질이 높아진다. 수면 무호흡증, 하지 불안 증후군 등 수면 장애의 위험성을 낮춘다.
    • 운동은 수면에 도움이 되고,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며,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이 된다. 일주일에 몇 번 조깅, 자전거 타기 등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면 더 빨리 잠들 수 있다. [25]
    • 운동이 수면에 영향을 미치려면 타이밍이 중요하다. 너무 늦은 시간에 운동을 하면 에너지가 증가하여 잠에 빠지거나 계속 잠들기가 어렵다.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 운동을 한다. [26]
  2. 니코틴과 카페인은 체내에 장시간 머무르는 자극제이다. 밤늦게 담배를 피우거나 커피를 마시면 잠들기 어렵다. 이른 오후가 지나서 커피를 마시는 것을 피하고 흡연자는 담배를 끊어본다 . 담배는 수면 장애 외에도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알코올은 졸리게 만들지만 술을 먹고 자면 수면의 질이 떨어진다. 수면의 질을 높이고 싶다면 밤에 술을 한두 잔 이상 마시지 않는다. 알코올은 REM 수면을 방해한다. [27]
  3. 스트레스를 관리한다 . 삶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밤에 깨어있게 된다. 수면의 질을 높이고 싶다면 전반적으로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어야 한다.
  4. 잠들기 어려우면 병원에 간다 수면 장애는 건강에 여러 가지 기저 질환이 있음을 뜻할 수 있다. 심각한 질환을 의증하려면 의학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의사가 수면장애 치료약을 처방할 수도 있다. [31]
    광고
  1. http://www.nytimes.com/2007/09/04/health/04real.html?_r=0
  2. http://slumberwise.com/science/does-chamomile-tea-really-make-you-sleepy/
  3. http://www.health.com/health/condition-article/0,,20189095,00.html
  4. https://www.ncbi.nlm.nih.gov/pubmed/23853635
  5. https://ods.od.nih.gov/factsheets/Magnesium-HealthProfessional/
  6. https://sleep.org/articles/get-sleep-schedule/
  7. https://sleep.org/articles/get-sleep-schedule/
  8. https://sleepfoundation.org/sleep-tools-tips/healthy-sleep-tips
  9. https://sleepfoundation.org/sleep-tools-tips/healthy-sleep-tips
  10. https://sleepfoundation.org/sleep-tools-tips/healthy-sleep-tips
  11. https://sleepfoundation.org/sleep-tools-tips/healthy-sleep-tips
  12.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minding-the-body/201212/foods-soothe-you-sleep
  13. https://sleep.org/articles/design-the-perfect-bedroom/
  14. https://sleep.org/articles/design-the-perfect-bedroom/
  15. https://sleep.org/articles/design-the-perfect-bedroom/
  16. https://sleep.org/articles/exercise-affects-sleep/
  17. https://sleep.org/articles/exercise-affects-sleep/
  18. https://sleepfoundation.org/sleep-tools-tips/healthy-sleep-tips
  19.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adult-health/in-depth/sleep/art-20048379?pg=2
  20.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adult-health/in-depth/sleep/art-20048379?pg=2
  21.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adult-health/in-depth/sleep/art-20048379?pg=2
  22.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adult-health/in-depth/sleep/art-20048379?pg=2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64,304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