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자신의 잘못을 깨달았을 때 성숙 하고 책임 있는 행동은 먼저 나서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결과를 받아들이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잘못한 지점을 인지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진다. 상대방에게 잘못을 시인하고 사과한다. 그 다음에 실수를 극복하고 다음에는 더 잘 한다.

파트 1
파트 1 의 3:

실수 인정하기

PDF 다운로드
  1. 비판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해야 한다. 자신의 말과 행동을 되돌아보고 형편없거나 잘못 처리한 일을 파악한다. 그 일과 왜 그렇게 처리했는지를 확실하게 파악한다. [1]
    • 잘못을 인정하는 것이 약함이나 무능함을 뜻하지 않는다. 사실 자신의 실수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으려면 엄청난 용기와 자각을 필요로 한다. 이는 성숙함의 표시이다.
    • 드라이 클리닝한 옷을 찾아오겠다고 했는데 그러지 않았다면 변명을 하지 않는다. 그냥 자신의 말을 지키지 않은 것에 대해 책임을 진다.
  2. 자신에게 초점을 맞춘다. 나만 잘못한 것이 아니고 다른 사람도 말과 행동을 실수했더라도 자신의 잘못에만 초점을 맞춘다. 비판을 받아들인다고 해서 다른 사람을 나무라도 좋다는 뜻은 아니다.
    • 내 잘못을 인정한다고 다른 사람도 자신의 잘못을 인정한다는 법은 없다. 설령 그렇더라도 내 잘못을 인정함으로써 옳은 일을 한 것이다. 내 행동만 통제할 수 있을 뿐 다른 사람의 행동은 내가 통제할 수 없다.
    • 프로젝트가 마무리되지 않았고 거기에 일정 부분 내 책임이 있다면 내 책임을 인정한다. 다른 사람들을 비난하지 않는다. 설령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더라도 비난하지 않는다.
  3. 일이 어떻게 되어가는지 지켜보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니다. 상황이 좋지 않게 되자마자 자신의 책임을 인정한다. 문제가 빨리 확인될수록 해결책이 빨리 나올 수 있고 피해가 최소화된다. [2]
    • 누군가를 실망시킬 것 같다면 되도록 빨리 말해주고 자신의 생각을 알린다. “행사에 가려고 했지만 못 가게 됐어. 내 잘못이야” 라고 말한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상대방에게 말하기

PDF 다운로드
  1.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것은 자신의 불완전성과 실수를 기꺼이 받아들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면 사람들에게 자신이 한 일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3]
    • “어제 네게 소리 지른 것은 내가 잘못했어. 화가 났어도 소리 지르면 안 되는데” 라고 말한다.
  2. 사과하기 . 상황이 정당하다면 진정으로 사과한다. 잘못을 인정하고 그 잘못으로 인해 피해를 입히거나 문제를 일으켜서 미안하다고 확실히 말한다. 정중하게 사과하고 자신의 잘못을 기꺼이 인정한다. [4]
    • “프로젝트를 망쳐서 미안합니다. 제 잘못이고 그에 대한 책임을 지겠습니다”라고 말한다.
  3. 상대방이 화를 내도 이해한다. 상대방의 감정과 느낌을 살핀다. 상대방의 말이나 감정을 공감하는 것으로 시작해서 상대방의 기분을 이해하고 있음을 알린다. [5]
    • “실망했구나. 나라도 그럴거야” 라고 말한다.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실수를 극복하기

PDF 다운로드
  1. 비판을 받아들이고 책임을 지는 과정에는 실수를 만회하는 것이 포함된다.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는 해결책을 몇 가지 내놓는다. 초과 근무를 하거나 다음에 더 잘하겠다고 약속한다. 어느 쪽이건 더 좋은 방향으로 바꾸려고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잘못을 바로잡는 것은 공정성과 공평성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6]
    • 직장에서 비판을 받을 경우에는 더 오래 일하면서 실수를 수습하겠다고 제안한다.
    • 가족이나 친구들을 실망시킨 경우, 다음 번에는 잘 하겠다고 말한다.
  2.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은 겁나는 일이다. 결과를 알 때는 더더욱 그렇다. 결과를 최대한 용기있게 받아들인다. 그렇게 하면 정말로 끝난다. 잘못을 인정하고 수습하는 과정에서 배움을 얻었고 개인적인 진정성을 지켰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성장하도록 노력하고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다.
    • 잘못을 솔직히 인정하면 직장이나 학교에서 책임을 물을 수도 있다. 나의 고백에 가족이나 파트너가 화를 낼 수도 있다. 반발이 있을 수 있지만 옳은 일을 한다.
  3.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실수를 하게 된 원인을 생각해본다. 스트레스를 받은 나머지 누군가에게 화풀이를 했을 수도 있다. 기분이 나쁠 때는 엉뚱한 사람에게 화풀이 하기가 쉽다. 예단을 해서 잘못된 결론을 내렸을 수도 있다. 무슨 실수를 했건 실수를 되돌아보고 그 결과 필요한 변화를 만들어내도록 노력한다.
    • 서두르는 바람에 무언가를 잊어버렸다면 속도를 늦추거나 시간을 더 갖는다.
  4. 나의 말이나 행동에 책임을 지도록 도와주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불러낼 친구가 있거나 책임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눌 사람을 만난다. 책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누군가가 있다면 문제에 보다 잘,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7]
    • 그러한 누군가를 매주 만나서 잘하고 있는 점과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잘못을 책임져야 할 일이 생기면 서로 알려준다.
  5. 완벽한 사람은 없고 누구나 실수를 한다. 실수에 얽매이거나 손해를 끼친 사람에게 계속 보상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실수를 인정하고 시정 한 후 극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커다란 실수를 저질렀더라도 오래오래 죄책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 실수를 받아들이고, 교훈을 얻고, 극복한다. [8]
    •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모두 했다면 죄책감이나 창피함을 갖지 않는다. 실수를 극복한다.
    • 자신의 실수에 대한 죄책감 때문에 너무 괴롭거나 실수를 극복할 수 없을 것처럼 느껴지는 경우에는 상담사를 만나면 헤쳐나가는 데 도움이 된다.
    광고

  • 소소한 일을 큰 일로 만들 필요는 없다. 사소한 실수는 “아, 내 실수야. 미안해”라고 말하면 쉽게 해결된다.
  • 내가 실수를 하면 상사, 부모님, 배우자, 선생님이 나를 좋지 않게 생각할 것이라고 단정짓지 않는다. 빨리 실수를 인정하면 이들로부터 존경을 받을 수 있다. 실수를 인정한다고 하찮게 여기지 않는다.
  • 직접 사과하기가 부끄럽다면 문자나 편지를 보낸다. 편지를 보낼 때 스티커 같은 작은 선물을 동봉하면 받는 사람이 더 쉽게 사과를 받아줄 것이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6,19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