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일반적으로 말하는 목소리를 개선하거나, 연극 또는 음악 공연을 위한 목소리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 시도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들이 있다. 다양한 연습을 통해서 목소리를 개선하고, 말하는 음성을 바꿔서 더 좋은 인상을 주거나, 더 높은 음을 낼 수 있도록 노래하는 방식을 교정할 수 있다. 규칙적으로 연습하고 약간의 교정을 한다면 목소리 개선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다.

방법 1
방법 1 의 4:

말하는 목소리 개선하기

PDF 다운로드
  1. 자신의 말하는 음성을 녹음하거나 친구에게 목소리를 듣고 평가해달라고 부탁한다. 목소리 크기, 높낮이, 발음, 음질, 속도를 평가해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결정한다. [1]
    • 목소리가 너무 크거나 작은가?
    • 목소리가 날카롭거나 굵고, 높낮이가 단조롭거나 변화가 있는가?
    • 음질에 비음이 있거나 울림이 있는가? 숨소리가 섞여있는가, 아니면 깨끗한가? 힘이 없는가, 아니면 열정적인가?
    • 발음이 알아듣기 어려운가, 아니면 명료한가?
    • 말하는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빠른가? 망설이는 것처럼 들리는가, 아니면 신중하게 들리는가?
  2. 방 안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들을 수 있도록 충분히 큰 소리를 말해야 한다. 하지만, 목소리를 높이거나 낮춰서 필요한 부분을 강조하거나 친밀감을 더할 수 있다. [2]
    • 중요한 점을 전달할 때 더 큰 소리로 말한다.
    • 여담을 할 때는 목소리를 낮춘다.
  3. 목소리가 단조로우면 사람들이 잘 듣지 않을 것이다. 높낮이에 변화를 주면 단조로움이 사라지고 사람들이 당신의 말에 더욱 귀를 기울일 것이다. 말하는 동안 계속해서 높낮이에 변화를 주도록 한다. 높낮이를 활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3]
    • 질문을 할 때는 높은 톤으로 마친다.
    • 진술할 때는 낮은 톤으로 마친다.
  4. 템포는 말하는 속도이다. 템포를 늦추면 특정한 단어와 문구를 더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말하는 속도가 빠른 편이라면 템포를 늦춰서 사람들이 더 쉽게 알아듣게 할 수 있다 [4]
    • 중요한 부분을 말한 후에는 듣는 사람이 그것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잠시 멈춘다.
  5. 연설하고 있는 사람이 강렬한 감정을 느끼며 목소리가 떨리는 것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연설이나 연극을 하는 상황에서는 이 기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강한 감정을 표현하고자 할 때 그러한 정서적 특징을 목소리에 표현한다. [5]
    • 예를 들어, 슬픔을 느끼는 내용을 말할 때 자연스럽게 목소리가 떨릴 수 있다. 하지만, 떨리는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 애쓰면 안 된다.
  6. 청중 앞에서 연설을 하기 전에, 방해 없이 혼자 연습하는 것이 좋다. 다양한 억양, 속도, 크기, 높낮이 등을 시험해본다. 녹음해서 잘 되는 부분과 되지 않는 부분을 확인한다. [6]
    • 다른 버전의 연설을 여러 번 연습한다. 시도한 각 연설을 모두 녹음하고 비교해본다.
    • 많은 사람들이 녹음된 자신의 목소리 듣는 것을 불편해한다. 머리에서 울리는 목소리와 다르게 들릴 수 있지만, 녹음된 목소리가 실제 다른 사람들에게 들리는 목소리에 더 가깝다.
  7. 장시간 동안, 혹은 큰 소리를 말할 때는 목과 성대가 촉촉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커피, 탄산음료, 술과 같이 수분을 빼앗을 수 있는 음료는 피한다.대신 물을 마신다.
    • 꿀이나 사과 사이다 식초를 물에 넣어서 마시면 목을 푸는데 도움이 된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4:

노래하는 목소리 개선하기

PDF 다운로드
  1. 얼굴 양쪽의 턱뼈 아래에 약지와 검지를 놓는다. 턱을 아래쪽으로 5센티미터 당긴다. 턱을 그 상태로 고정하고 5개의 모음 ‘아 에 이 오 우’를 노래한다. [7]
    • 턱을 고정하기 위해서 어금니 사이에 코르크 마개나 페트병 뚜껑을 놓는다.
    • 근육이 기억해서 턱을 고정할 필요가 없을 때까지 이 연습을 계속한다.
  2. 목소리가 높아질수록 더 많은 힘을 얻기 위해서 턱을 들어올리고 싶을 것이다. 턱을 들어올리면 잠시 동안 힘있는 목소리를 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노래할 때 턱을 낮추는 것이 좋다. [8]
    • 거울 앞에서 발성 연습을 한다. 시작하기 전에 턱을 약간 아래로 기울이고, 음정이 높아지더라도 턱의 위치를 아래로 유지하는데 집중한다.
    • 턱을 낮추면 목소리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힘과 통제력은 향상된다.
  3. 비브라토는 아름답지만 때로는 소리내기 어렵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기법을 연습하면 비브라토를 구사하여 노래하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 [9]
    • 양손으로 가슴을 누르고 평소보다 가슴을 들어올린다.
    • 숨을 들이쉰 다음, 가슴을 움직이지 않고 숨을 내쉰다.
    • 숨을 내쉴 때 한 음정으로 ‘아’라고 소리낸다. 가능한 한 오랫동안 그 음정을 유지한다.
    • 그 음을 내는 도중에 공기가 입 안에서 회전하는 상상을 하면서 가슴을 누른다.
  4. 키보드의 음을 따라 노래하면서 음역대를 찾을 수 있다. 키보드에서 가온 다(Middle C)를 친다. 건반 가운데의 두 개의 검정색 건반의 왼쪽에 있는 흰색 건반이다. 왼쪽으로 건반을 하나씩 이동하면서 음정에 맞게 ‘라’ 소리를 낸다. 건반을 아래로 계속 내리면서 긴장감을 느끼거나 음을 낼 수 없을 때까지 건반 음표에 맞는 소리를 낸다. 마지막 건반을 기록한다. 이것이 당신의 최저음 음역대이다. [10]
    • 최고음 음역대를 찾기 위해서 건반을 거꾸로 올라가면서 음을 낸다.
  5. 당신의 음역을 찾았으면, 최고음과 최저음에 음을 하나씩 더 추가해서 편안하게 소리 낼 수 있도록 한다. 처음에는 추가한 음을 내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지만, 음역대에서 새로 추가한 음을 편안하게 낼 수 있을 때까지 8~10회 정도 연습에 집중한다. [11]
    • 새로 추가한 음을 오랫동안 충분히 낼 수 있게 되면, 높은 음과 낮은 음을 하나씩 더 추가해서 음역을 넓혀나갈 수 있다.
    • 이 과정에서 서두르지 말고 인내심을 가지자. 소리를 통제하면서 일관성 있게 음을 내는 것이 가장 좋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4:

연기를 위한 목소리 개선하기

PDF 다운로드
  1. 무대 연기자들에게 있어서 큰 목소리로 명확하게 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사를 전달할 때 극장 뒤쪽에 앉은 청중들도 당신이 말하는 내용을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소리로 말한다. 하지만, 소리를 지르기 보다는 횡격막을 사용해서 발성해야 한다. 소리를 지르면 목이 아프고 목소리가 안 나올 수 있다. [12]
    • 횡격막을 내려서 숨을 깊게 들이마신 다음, 숨을 내쉬면서 동시에 ‘하’라고 말하는 연습을 한다. 이 연습을 하면 자신의 횡격막을 느끼는 데에 도움이 된다. ‘하’라고 말할 때 복부로 숨을 들이쉬고 입으로 숨을 내 쉬는 것이 느껴져야 한다. 이 방법을 터득한 후에는 횡격막 호흡으로 대사를 말해보자.
  2. 연기할 때 좋은 목소리를 내려면 대사를 명확하게 발음하는 것도 중요하다. 사람들이 당신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도록 대사의 모든 단어를 정확히 발음해야 한다. 명확하게 말하려면 말할 때 입을 최대한 크게 벌리는 것이 좋다. 그러면 대사를 정확히 발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13]
  3. 감정 표현 또한 대사 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감정을 잘 표현하려면 등장인물의 감정이 어떨지 생각해본다.
    • 예를 들어, 등장인물이 슬픔을 느끼는 말을 한다면, 대사를 약간 느린 속도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약간 떨리는 목소리로 말을 해서 슬픈 감정을 더욱 극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 등장인물의 대사마다 알맞은 감정을 고려해서 어떤 목소리로 말해야 할지 결정한다.
    광고
방법 4
방법 4 의 4:

최상의 음질을 위한 목소리 훈련하기

PDF 다운로드
  1. 횡격막으로 호흡하는 연습을 한다 . 배우 및 가수들에게 있어서 말하고 노래할 때 횡격막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횡격막은 흉골(갈비뼈가 만나는 곳) 바로 아래쪽에 있다. 횡격막으로 호흡하고 노래할 때 이 방법을 사용 하면 목소리에 더 힘이 생길 것이다. [14] 가슴 대신 횡격막으로 호흡하면 성대에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
    • 횡격막 호흡법을 연습하기 위해서, 복부로 숨을 쉰다. 숨을 들이마시면서 복부가 팽창하는 것이 느껴져야 한다. 그리고 나서, 후 소리를 내며 천천히 숨을 쉰다. 호흡하면서 어깨와 목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한다. [15]
    • 숨을 들이마시면서 복부 위에 양 손을 올려놓아도 된다. 숨을 들이쉴 때 손이 위로 들리면 복부로 호흡하고 있는 것이다.
  2. 턱의 긴장을 풀면 말하거나 노래할 때 입을 더 크게 벌릴 수 있어서 선명한 목소리를 낼 수 있다. 긴장을 풀기 위해서는 턱선 바로 아래쪽에서 양 손바닥으로 뺨을 누른다. 손을 턱까지 끌어당긴 다음, 턱의 근육을 마사지 하면서 다시 처음 위치로 돌아간다. [16]
    • 손을 아래쪽으로 끌어당기면서 입을 약간 벌린다.
  3. 음역 연습은 노래하는 목소리를 개선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입술 사이에 빨대를 넣고 저음으로 ‘우’ 소리를 내면서 음역을 연습한다. 천천히 ‘우’ 소리의 피치를 높이기 시작한다. 가장 낮은 음역에서부터 가장 높은 음역으로 이동한다. [17]
    • 빨대를 통과하지 못한 공기는 성대를 아래로 누른다.
    • 이 연습은 성대 부종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이 된다.
  4. 입술 떨기 연습도 더 선명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입술을 부드럽게 닫은 상태에서 ‘어’ 소리를 내면서 공기를 내뱉는다. 공기가 통과하면서 입술이 함께 진동할 것이다. [18]
    • 입 안에 갇힌 공기로 인해서 성대가 부드럽게 닫히게 된다. [19]
  5. 허밍은 목소리를 가다듬을 수 있고, 장시간 공연을 마친 후에는 목소리를 진정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허밍을 시작하려면, 먼저 입술을 닫고 턱의 긴장을 푼다.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허밍을 하며 숨을 내쉰다. ‘음’하고 콧소리를 내며 시작한 다음, 더 낮은 음역으로 이동한다. [20]
    • 이 연습은 순치와 안면골에서 진동을 활성화시킨다.
  6. 무대 배우에게 있어서 단어를 정확하게 발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혀 스트레칭을 통해서 더 쉽게 할 수 있다. 혀 스트레칭을 하기 위해서는 입천장에 대고 입 밖으로 밀어낸다. 한쪽 뺨으로 혀를 밀었다가 방향을 바꿔서 반대편으로도 한다. 혀끝을 아랫입술 뒤에 놓고 혀의 나머지 부분을 말아서 바깥쪽으로 내민다. 그런 다음, 혀끝이 입천장에 닿은 채로 혀를 뒤쪽으로 만다. [21]
    • 이 연습을 10회 연속 반복한다.
  7. 텅 트위스터를 하면 발음을 연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하게 말하는 능력도 향상될 것이다. 텅 트위스터는 입술, 얼굴, 혀의 근육을 단련해서 목소리에도 도움이 된다. 텅 트위스터를 할 때는 각 단어의 소리를 과장해서 내야 한다.
    • 문구를 천천히 읽기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속도를 높인다.
    • “Peter Piper picked a peck of piquant peppers.”라는 문구를 낭송하면서 알파벳 ‘P’로 시작하는 단어를 연습한다.
    • ‘N’과 ‘U’소리가 나는 단어를 연습하려면, 이렇게 말해보자. “You know New York. You need New York. You know you need unique New York.”
    • “Red leather, yellow leather”라는 문구를 여러 번 반복하면서 혀를 단련한다.
  8. ”라는 문구를 말하면서 목소리의 긴장을 푼다. “Hooty Gees.”라는 문구를 말하면 후두를 이완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노래하는 목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억양와 음의 높낮이를 주면서 “기-이-스”라고 소리내보자. 그러면 후두가 내려가는 것 같은 느낌이 들 것이다. 후두를 낮은 위치에 두면 성대를 잘 조절할 수 있어서, 이 연습을 한 후에는 높은 음을 내는 것이 더 쉬워진다. [22]
    • 이 연습을 몇 번 반복한다.
  9. 이러한 모음을 소리 내면 입 위치가 다른 노래를 연습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나의 모음으로 시작한 다음, ‘우, 오, 어, 아’까지 다른 소리들로 전환하여 연습한다. 이렇게 하면 높은 음을 더 쉽게 낼 수 있고, 노래하면서 안정적인 목소리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23]
    • 이 연습을 하루에 몇 번 반복한다.
  10. 무대에서 말하는 목소리와 노래하는 목소리를 개선하려면, 정기적으로 연습이 필요하다. 목소리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전에 풀어줘야 하지만, 가장 좋은 결과를 위해서는 하루에 두 번 발성 연습도 해야 한다.
    • 잠에서 깨면 발성 연습을 할 수 있도록 15분을 따로 떼어두거나, 출근 또는 등교 준비를 하는 동안 연습하자. 그리고 나서, 저녁식사 준비 또는 목욕하는 시간과 같이 잠자리에 들기 전에 한 번 더 연습한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3,636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