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부정적인 친구는 당신의 삶에서 어두운 존재가 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친구가 가진 어떤 면들에 대해 감사할 수도 있고, 그 친구가 더 긍정적일 수 있도록 돕고 싶을 것이다. 반면에, 당신을 힘 빠지게 만들고 부정적인 세계로 끌어들일 수도 있다. 부정적인 친구를 적절하게 대하는 방법을 습득하여, 그 친구를 이해하면서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주입시키도록 하자.

방법 1
방법 1 의 3:

부정적인 태도에 대처하기

PDF 다운로드
  1. 부정적인 태도에 대해 잔소리를 하면 친구는 기분이 더 나빠져서 당신을 공격적으로 대할 수도 있다. 누구에게나 비판 받는 일은 힘들지만, 특히 부정적인 사고방식과 감정회로를 가진 사람은 더욱 그렇다. [1] 당신이 친구의 행동에 대해 솔직히 털어놓으려고 한다면, 이는 상황을 악화시키고 친구는 공격받는다는 기분이 받을 지도 모른다. 최선을 다해서 도움이 되는 환경을 만들도록 하자.
  2. 만일 부정적인 사람 때문에 당신의 행복이 좌우된다면, 결국에는 매우 불행해질 수 있다. 부정적인 사람으로부터 감정적인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당신의 행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친구의 문제에 갇혀 그것을 해결해줘야 하는 상황을 피하도록 하자. [2]
  3. 부정적인 친구 앞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두 사람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 이렇게 하면 당신의 행복을 유지하면서 친구에게 세상을 다르게 바라보고 행동하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 휴식을 취한다. 인간은 감정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변 사람들의 감정이 당신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3] 당신이 매우 긍정적인 사람일지라도 심하게 부정적인 사람이 주변에 있다면,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하기가 힘들 것이다. 때로는 부정적인 친구로부터 거리를 두고 휴식을 취하도록 하자.
    •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자신만의 감정을 지속시키는 것이다. 당신에게 영향을 주는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기 시작했다면, 그 감정을 잘 살펴보고 당신이 원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예를 들어,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친구가 식당 종업원에 대해 5분 동안 불평을 하는 바람에 화가 나는 기분이 들기 시작했어. 사실 나는 종업원에 대해 전혀 불만이 없기 때문에 이것은 나의 감정이 아니야.’ 집중한다면 긍정적인 태도를 더 잘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4]
    • 유머를 사용한다. 부정적인 경험을 유머로 승화시킨다면, 부정적인 상황에 초점을 두려고 하는 뇌의 반응에 대처할 수 있다. [5] 다음 번에 그 친구가 불평을 시작할 때 다음과 같이 유머로 상황을 전환시키도록 하자. “네 차가 고장 나서 버스를 타려고 뛰어야 했다니 정말 안타깝네. 그래도 원하던 대로 더 많이 운동할 수 있었지 않아?”
    • 친구의 부정적인 태도가 비합리적일 때 스스로에게 상기시킨다. 비합리적인 부정적 사고방식을 털어내고 자신만의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더 쉽다. 예를 들어, 친구가 3D가 아닌 2D영화를 보기 때문에 저녁시간을 망쳤다고 불평한다면, 이는 완전히 비합리적이라고 스스로에게 상기시켜야 하다. 그래도 당신은 그 영화를 볼 수 있고 즐거운 저녁시간을 보낼 수 있다. 그 친구가 가진 부정적인 사고방식의 덫으로부터 벗어나자. [6]
  4. 친구와 같이 부정적인 생각을 하고 싶은 유혹을 받을 수도 있다.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혼자서 즐거운 활동을 하기보다 친구들과 함께 재미없는 활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7] 하지만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강화하면 상황을 더 악화시킬 뿐이다. 그 친구는 자신의 태도가 괜찮다고 여길 것이고, 심지어 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될지도 모른다.
  5. 연구에 의하면 동정심은 사람을 대할 때 ‘양쪽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방법이라고 한다. [8] 스트레스에 대한 완충제 역할을 하며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하는 등, 동정심은 정신적 건강과 신체적 건강에 유익한 점들이 많다. 특히 사회적 유대감은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동정심은 다른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동정심을 가지고 한 행동이 다른 사람들의 동정심도 불러일으켜서, 무료로 나누는 일을 하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같은 행동을 하고 싶도록 만든다. 기본적으로 동정심은 당신과 주변 사람들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좋은 방법이다.
    • 예를 들어, 친구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만일 친구의 차가 고장 났다면, 당신이 태워주거나 배터리를 충전을 돕는다. 친구가 자신의 가족에 대해 불평한다면, 당신에게 털어놓을 수 있는 기회를 주자. 이러한 작은 일들이 당신과 친구의 삶에 큰 효과를 낳을 수 있다.
  6. 친구와 ‘절교’하는 것은 불편한 일이지만, 때로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친구에게 근심이 가득하지만, 그 부정적인 면을 무시하고 그 친구를 진심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멋진 일이다. 하지만 때때로 부정적인 면이 너무 지나치다면 작별인사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당신이 스스로를 잘 돌본다는 사실에 만족하자. [9]
    • 때로는 친구의 부정적인 태도 때문에 과거의 불쾌한 기억이나 트라우마가 떠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술 중독을 극복했는데, 친구가 자신의 가족이 술을 끊기 원한다고 계속해서 불평한다면, 이러한 부정적인 면이 당신 과거의 괴로운 기억들을 떠올리게 만들 수 있다. 만일 이것이 지속적으로 당신의 '화를 돋우거나' 괴롭게 한다면, 그 친구로부터 거리를 두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7. 우정을 계속 유지하고 싶은데 친구의 부정적인 태도에 대처하는 것이 힘든 경우에, 치료 전문가가 특히 도움이 될 것이다. 치료 전문가는 당신이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과 건강한 사고방식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줄 것이다.
    • 만일 친구가 자살이나 자해에 대해 이야기 하는 등 심각하게 부정적이라면, 신뢰할 수 있는 부모님, 선생님, 상담 전문가, 또는 다른 권위자에게 알려야 한다. 친구는 당신이 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 처해있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3:

부정적인 친구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PDF 다운로드
  1. 너무 비판적이거나 적대적으로 대하면 친구의 부정적인 면을 가중시킬 뿐이다. 필요 이상으로 상황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 같다고 이야기해주고 싶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을 생각해보자. [10]
    • ‘너’ 대화법 대신 ‘나’ 대화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너무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버려야 해.”라는 말보다 “나는 네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여러 가지 상황이 있는 것 같다고 느껴지는데.”라는 말이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나’ 대화법은 덜 비판적으로 들리므로,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당신이 말하는 내용에 더 귀 기울이게 만들 수 있다.
  2. 말하는 내용만이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목소리와 비언어적 단서 또한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11] 소리를 지르거나 양손을 올리는 동작을 취하면 분노를 효과적으로 가라앉히기 보다는 방 안을 더욱 부정적인 분위기로 만들 것이다.
    • 친구가 말하는 내용에 동의할 때 부드럽게 시선을 마주치고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매우 좋은 방법이다.
    • 차분한 목소리를 유지한다. 친구가 화낼 때 당신이 차분함을 유지하면 문제에 반응하는 다른 방법을 깨닫게 해줄 수 있다.
  3.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천천히 말하는 사람을 ‘배려심이 더 많고 공감을 잘한다’고 인식한다. [12] 부정적인 친구와 의사소통을 할 때 긍정적인 기운을 북돋고, 당신도 친구처럼 부정적인 상황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말하는 속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4. 부정적인 친구에게 접근할 때 동정심을 가지고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싶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자신의 주장을 굽히는 것과 차이가 있다. 때로는 부정적인 친구가 당신의 의견을 거부하려고 할지도 모른다. 자유롭게 당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다른 관점을 가질 때 확고한 입장을 나타내야 한다. 단호함은 한 사람뿐만이 아닌,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13]
    • 당신의 욕구, 바라는 것, 필요 등을 분명하게 표현한다. 직접적인 언어를 사용하자. 예를 들면, 이렇게 말할 수 있다. “나는 지금 너의 행동 때문에 불편해. 지금 가야 하지만 네가 원한다면 다음에 다시 이야기하자.”
    • 감정이입을 한다. “나는 네가 이 문제에 대해 계속 이야기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이해해. 그래도 난 이런 대화가 불편해서 지금 가봐야겠어.”
    • 제한을 둔다. “나는 네 불평을 5분 동안은 들어줄 수 있지만, 우리 둘 다 부정적인 감정에 너무 빠져들지 않도록 대화 주제를 바꿨으면 좋겠어.” [14]
  5. 만일 친구가 어떤 일에 대해 되새긴다면, 친구의 기운을 북돋울 수 있는 내용으로 대화주제를 바꾸도록 하자. [15] 긍정적인 생각을 주입시키는 것이 부정적인 생각을 없애려는 시도보다 훨씬 더 쉽고 효과적이다.
    • 예를 들어, 친구가 직장에서 힘들었던 일에 대해 불평할 때 볼링을 치거나 영화를 보고 싶은지 물어보고 비용을 대신 내주도록 하자.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3:

부정적인 태도 이해하기

PDF 다운로드
  1. 삶이 잘못된 방향으로 될 것이라는 예상이 비관주의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서 실제로 상황이 ‘나빠졌기’ 때문에 비관주의자가 된다. [16] 비관적인 사람들은 아이디어와 가능성을 차단하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보인다. 이들은 삶에서 안 좋은 일을 겪었기 때문에 그들의 관점에서 비관주의는 완전히 합리적일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 비관적인 관점을 가진 사람들은 긍정적인 사고가 ‘현실을 외면’하거나 삶의 문제를 인정하지 않는 태도라고 여긴다. 당신은 친구와 상호작용에서 건강하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보여줌으로써, 친구로 하여금 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도울 수 있다. [17]
    • 예를 들어, 비관적인 시각을 가진 친구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나는 절대로 취업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면접을 보면 안돼.” 이에 대해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은 다음과 같이 반응할 것이다. “이봐, 넌 분명히 합격할 거야! 넌 최고야!” 이 말이 긍정적으로 들리지만, 비현실적이고 친구의 염려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 긍정적이면서도 현실적으로 말하자. “좋아, 너는 그 일자리에 가장 적합한 사람이 아닐 수도 있어. 그래도 지원하지 않는다면 결과를 알 수 없잖아. 너도 많은 자격요건을 갖추고 있는데 지원해서 안 될 이유가 뭐야?”
  2. 우울증은 절망감, 기쁨을 느끼지 못함, 지나친 피로감 등의 징후가 나타나는 기분장애다. 우울증은 여러 가지 부정적인 생각의 원인이며, 그것을 이해하면 친구가 우울증을 겪고 있을 때 도움이 될 것이다. 우울증은 유전자, 가정환경, 그리고 또래 집단과의 관계 등 그 사람이 통제할 수 없는 여러 가지 다른 요소들에 의해 나타난다.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은 일하기 위한 힘을 내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이들은 피곤하고 기분이 ‘침체’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부정적이고 불행해 보인다. [18]
    •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떨쳐내지’ 못한다. 하지만, 우울증은 치료 요법과 약 복용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 우울증의 다른 증상들은 다음과 같다. 잦은 슬픔과 눈물, 감정의 폭발, 즐겁게 했던 일에 대한 흥미를 잃음, 체중, 수면 또는 식욕의 변화, 무력감 또는 죄책감, 자해나 자살에 대해 자주 생각함. [19]
  3. 우울증은 정서적인 유대감과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저해하는 심각한 질병이다. 당신이 친구가 겪고 있는 우울증을 ‘고칠' 수 없지만, 그 징후를 알아챘다면, 친구에게 이야기하는 것이 관심과 격려를 표현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20]
    • ‘나’ 메시지로 대화를 시도한다. 이렇게 말할 수 있다. “나는 최근에 네가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았어. 걱정이 되는데 같이 이야기 좀 할까?”
    • 질문을 한다. 당신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추측해서는 안 된다. 대신에 친구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해보자. “한동안 이러한 기분을 느낀 적이 있니? 이런 기분을 느끼게 만든 특별한 일이 있었어?”
    • 도움을 제공한다. 당신이 관심을 가지고 돕고자 한다는 사실을 친구에게 알려야 한다.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은 종종 자신에 대한 불만족스럽고 무기력감을 느낀다. 당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표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말해주자. “나는 우리의 우정을 정말 소중히 생각해. 지금 당장 이야기하고 싶지 않더라도, 네가 원한다면 언제든지 함께 대화할 수 있어.”
    •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은 당신이 도와주려고 할 때 화를 내거나 짜증을 부리며 대답할지도 모른다. 그것을 개인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빨리 결정하도록 강요하지도 말자. [21]
  4. 불안증은 좌절감과 과민반응을 불러일으킨다. 불안증을 겪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서 무력감을 느끼거나 다른 사람들은 겁내지 않는 일들을 두려워할 수도 있다. 이들은 두려움에 대해 염려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므로, 다른 일을 생각하고 집중하기 매우 어렵다. [22] [23] 심한 불안증을 겪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생활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표현하며 퉁명스럽고 화를 잘 낸다.
    • 만일 친구가 자신의 삶에 대해 계속해서 걱정하거나 감정을 ‘통제하지 못하는’ 것 같다면, 불안증 문제를 겪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불안증도 심각한 정신 질환이지만 치료가 가능하다. 당신이 친구의 불안증을 ‘고칠’ 수 없지만, 친구에게 관심이 있고 도와주고 싶어한다는 사실을 표현할 수는 있다.
  5. 불안증을 겪는 많은 사람들이 걱정을 통제할 수 없다는 사실에 대해 상심하고, 역설적으로 그에 따른 더 많은 걱정을 한다. 치료를 받는 것을 자신이 약하거나 ‘끝장’이라는 신호로 여길 수도 있다. 사실 치료를 받는 것은 강하고 자신을 잘 관리한다는 신호라고 알려주고 격려해야 한다. [24]
    • 친구의 불안증에 대해 이야기할 때 ‘나’ 대화법을 사용한다. “너는 불안증을 고치려고 노력해야 돼.”와 같은 말을 하며 친구의 기분을 더 상하게 해서는 안 된다. 그대신, 안심시켜줄 수 있는 친절한 말을 하자. “나는 이전에 함께 시간을 보낼 때 네가 매우 걱정하고 스트레스 받는다고 느꼈었는데, 이제 괜찮니?”
  6. 불안감 또는 무능함을 느끼는 사람들은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과 긍정적인 일에 잘 대처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25] 이는 거절당하거나 더 상처 받을까 두려워서 나타나는 자기방어적인 행동처럼 느껴질 수 있다. 잘못된 판단일 수도 있으므로, 올바르게 대처하려면 그 이면의 논리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친구의 자존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몇 가지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26]
    • 친구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해준다. 자기방어적인 태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린다. 아주 작은 발전이라도 알게 될 때마다 친구에게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말을 해주자. “나는 네가 오늘 우리와 볼링 게임을 하러 나와줘서 기분이 정말 좋아! 네가 정말 보고 싶었어.”
    • 친구를 격려한다. 부정적인 태도를 극복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고 다시 나빠질 수도 있다. 새로운 방법들을 시도하도록 계속해서 용기를 북돋아주자.
    •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준다. 상대방이 자신의 이야기를 듣지 않거나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고 느끼기 때문에, 스스로를 자존감이 낮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친구의 말을 들어주고, 걱정을 인정해주며, 함께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자. 그러면 친구는 당신과 유대감을 느끼고, 자신이 당신에게 소중한 사람이라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7. [27] 우리는 부정적인 행동을 선택이라고 여기는 경향이 있지만, 사실은 그보다 더 복잡하다. 우울증, 비관주의, 불안증 또는 다른 무엇에서 기인했든지 간에, 부정적인 태도는 아무도 통제할 수 없다. 삶에서 부정적인 면을 줄이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들이 있지만, 부정적이라는 이유로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것은 상황을 더 악화시킬 뿐이다.
    • 당신이 친구의 문제를 ‘고칠’ 수 없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하지만 도와줄 수 있으며, 당신 스스로를 잘 돌봐야 한다는 것도 잊지 말자.
    광고

  • 친구가 자신의 감정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치료 전문가를 만나는 것을 권하도록 하자.
광고

경고

  • 친구의 험담을 해서는 안 된다. 이는 불친절하며 도움이 되지 않는 행동이다.
  • 만일 친구가 자해나 자살충동을 언급한다면, 긴급 구조대에 전화하거나, 친구로 하여금 생명의 전화(1588-9191)에 연락하게 하자.
광고
  1.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the-moment-youth/201303/negativity-is-second-hand-smoke
  2.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the-moment-youth/201303/negativity-is-second-hand-smoke
  3.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words-can-change-your-brain/201207/the-8-key-elements-highly-effective-speech
  4. http://www.cci.health.wa.gov.au/docs/Assertmodule%204.pdf
  5. http://www.forbes.com/sites/travisbradberry/2014/10/21/how-successful-people-handle-toxic-people/2/
  6.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wander-woman/201104/what-do-about-negative-conversations
  7. http://www.thepositivepsychologypeople.com/optimism-vs-pessimism/
  8. http://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stress-management/in-depth/positive-thinking/art-20043950
  9.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depression/basics/definition/con-20032977
  10.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depression/basics/symptoms/con-20032977
  11. http://www.helpguide.org/articles/depression/helping-a-depressed-person.htm
  12. http://www.helpguide.org/articles/depression/helping-a-depressed-person.htm
  13. http://psychcentral.com/disorders/generalized-anxiety-disorder-symptoms/
  14.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anxiety/basics/symptoms/con-20026282
  15. http://www.adaa.org/finding-help/helping-others/friends-and-relatives
  16. http://www.rebeccapropstphd.com/low-self-esteem-and-insecurity/
  17. https://mitalk.umich.edu/article/95
  18.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happiness-in-world/201110/how-reduce-negativity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3,795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