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요리를 하거나 운동을 하다가 손가락을 다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손가락 상처는 흔히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별다른 응급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상처가 깊어서 출혈이 멈추지 않거나, 잘린 상처에 이물질(유리나 금속 조각 등)이 들어갔다면, 바로 응급조치를 취해야 한다. [1]

파트 1
파트 1 의 2:

상처를 깨끗하게 씻어주기

PDF 다운로드
  1. 이렇게 하면 손을 통해 상처로 균 감염이 발생하는 위험률을 줄일 수 있다. [2]
    • 일회용 의료 장갑이 있다면, 상처를 입지 않은 손에 착용해서 상처에 박테리아가 침입하는 것을 막아보자.
  2. 깨끗한 흐르는 물에 상처를 헹궈준다. 깨끗한 천을 적셔서 비누를 묻힌 후 상처 주변을 닦아주되, 상처에 비누 성분이 닿으면 자극이 일어날 수 있으니 비누가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깨끗한 천으로 상처 부위를 닦고 물기를 제거한다. [3] [4]
    • 상처를 헹궈준 후에 이물질이 남았다면, 핀셋 등을 사용해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소독용 알코올을 사용해서 핀셋을 먼저 살균한 후 사용한다.
    • 과산화수소나 소독용 알코올, 요오드, 요오드가 주 성분인 클렌저를 상처에 사용하면 오히려 손상된 조직에 자극이 될 수 있으니, 이런 성분들을 사용한 필요는 없다.
    • 상처에 이물질이 남아있거나 제거가 어렵다면,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서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보자.
  3. 상처에서 피가 뿜어져 나오면 동맥이 잘려서 스스로 출혈을 막을 수 없을 가능성이 높으니 즉시 병원을 찾는다. 깨끗한 행주나 수건, 살균 거즈로 상처를 지압한 후 응급실을 찾아보자. 상처 부위에 지혈대를 착용하지 않는다.
    • 혈액이 상처 막으로 흘러나오면 정맥 손상을 의미한다. 정맥이 잘리면 10분 정도 후 스스로 출혈이 멈춘다/ 이런 경우 제대로 관리만 한다면 집에서도 충분히 치료 가능하다. [5] 다른 심한 출혈의 지혈법처럼 살균 거즈나 드레싱을 상처 위에 올려두고 눌러준다.
  4. 상처가 깊으면 피부가 열리고 안의 지방이나 근육이 노출되며, 상처를 꿰매야 한다. 상처를 꿰매야 할 정도로 깊은 상처라면 바로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상처가 피부 표면 수준에서 그치고 출혈이 심하지 않다면, 집에서 치료한다. [6]
    • 몇 시간 안에 깊은 상처를 제대로 꿰매주면, 상처가 크게 나지 않고, 감염의 위험도 줄어든다.
    • 일반적으로 길이가 3 cm 미만, 그리고 깊이가 0.5 cm 미만이고 피부 속의 근육이나 힘줄 등이 보이지 않는다면, 미미한 상처로 간주되기 때문에 꿰매지 않아도 된다.
  5. 심각하지 않은 상처라면 몇 분 후 스스로 출혈이 멈춘다. 하지만 베인 상처에서 혈액이 흘러나온다면, 깨끗한 천이나 살균 붕대를 감아서 가볍게 지압을 해준다. [7]
    • 머리 위와 심장 위로 손가락 위치를 높여준다. 그리고 상처 위에 드레싱을 올려둔 상태로 두어보자.
  6. 출혈이 멈추고 나면 상처 위에 항생 연고를 얇게 한 겹 발라서 상처 표면을 촉촉하게 유지해준다. 연고를 바르면 상처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염증을 예방해서 자연스러운 치유 과정이 촉진된다. [8]
    • 연고의 성분으로 인한 발진을 경험하는 사람들도 있으니, 발진이 나타났다면 연고 사용을 중지한다.
  7. 상처에 반창고를 발라서 해로운 균이 상처에 침입하는 것을 막아보자. [9]
    • 방수 반창고를 사용하면 샤워 후 반창고가 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반창고가 너무 젖으면, 제거했다가 상처를 자연건조한 후 다시 연고를 바르고 반창고를 덮어준다.
  8. 상처 통증이 심하면 이부프로펜을 복용해서 통증을 다스려보자. 복용 권장량을 꼭 준수한다. [10]
    • 심하지 않은 상처라면, 며칠 안으로 상처가 낫는다.
    • 아스피린의 경우, 혈액이 희석되어 상처 출혈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 복용하지 않는다. [11]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상처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PDF 다운로드
  1. 반창고가 젖거나 더러워지면 드레싱을 교체한다. [12]
    • 상처가 충분히 치유되어서 딱지가 생겼다면, 반창고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공기에 노출되면 치유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
  2. 감염의 증상일 수 있으니, 이런 증상들이 나타났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보자. [13]
    • 손을 움직일 수 없거나 손가락에 마비된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면, 더 심각한 감염일 수 있으니 바로 병원을 찾아보자. [14]
    • 상처 주변으로 나타나는 붉은색의 기다란 자국은 매우 극심한 감염의 증상이기 때문에, 즉시 의료진의 치료가 필요하다.
    • 동물이나 사람에게 물려서 생긴 상처라면, 바로 의사의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특히 너구리나 다람쥐와 같은 야생 동물에게 물렸다면 광견병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5] 집에서 함께 하는 반려동물이나 사람에게 물렸더라도 입의 균이 피부와 닿아서 염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3. 병원에서 상처를 깨끗하게 마무리하고, 깊은 상처를 꿰맸더라도 염증을 예방하기 위한 파상풍 주사를 고려해보자. [16]
    • 지난 5년간 파상풍 주사를 맞지 않았고 상처가 심한 편이라면, 최대한 빨리 파상풍 주사를 맞는 것이 좋다.
    광고

필요한 것

  • 깨끗한 수건
  • 흐르는 물
  • 핀셋
  • 소독용 알코올
  • 항균 연고
  • 반창고
  • 상처가 깊을 때 꿰맬 수 있는 도구
  • 거즈 (지혈용)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7,459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