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귀지는 이구라고도 불리며 누구에게나 있다. 귀가 꽉 막힌 것 같거나, 귀에서 고름이 나오거나, 잘 들리지 않으면 쌓여 있는 귀지를 제거해야 한다. [1] 귀지 제거 방법은 다양하다. 하지만 이어 콘(ear cone)이라고도 불리는 이어 캔들(ear candle)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장 오래되고 널리 사용하는 방법이다. 효과에 대해서 다소 논란이 있지만 대체 의학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어 캔들을 사용하는 것이 귀와 전반적인 건강을 지키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한다. [2]

방법 1
방법 1 의 2:

이어 캔들로 귀지 제거하기

PDF 다운로드
  1. 대체 의학 전문가들은 이어 캔들의 장점을 강력하게 옹호한다. 하지만 의사들은 효과가 없고 위험하다고 말한다. 위험성과 문제점을 알아두면 이어 캔들이 가장 좋은 귀지 제거 방법인지에 대해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3]
    • 이비인후과 전문의들이 한 연구에 따르면 이어 캔들은 사용 설명을 따르더라도 화상, 외이도 폐쇄, 중이염, 고막 천공 등을 야기할 수 있다고 한다. [4]
    • 의사들은 대부분 이어 캔들이 귀지 제거에 효과가 없다고 말한다. [5]
  2. 혼자서 이어 캔들을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친구나 가족에게 도와달라고 부탁한다. 이렇게 하면 귀에 화상이나 기타 외상을 입을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이어 캔들이 귀의 크기와 윤곽에 딱 맞아야 한다. 이렇게 하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6]
    • 귀에 꼭 맞도록 가위로 끝 부분을 잘라 입구가 약간 크게 만든다.
    • 입구가 뚫려 있어야 한다. 이어 캔들의 한 끝에서 다른 끝까지 막힌 것이 없어야 한다. 필요하면 날카롭고 뾰족한 물건으로 작은 끝 부분부터 막힌 것을 제거한다.
  4. 이어 캔들을 사용하기 전에 손을 씻고 귀를 닦는다. 이렇게 하면 감염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가 퍼질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순한 항균 비누를 사용한다.
    • 손은 일반 비누로 씻는다.
    • 순한 항균 비누를 사용해도 된다.
    • 젖은 천으로 귀를 닦는다.
  5. 커다란 수건에 물을 적셔 머리와 상체를 덮는다. 이렇게 하면 이어 캔들을 사용하는 동안 불꽃이나 재가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머리, 머리카락, 어깨, 상체를 덮는다.
  6. 이어 캔들을 사용하는 동안 똑바로 앉아 있는 것이 더 쉽고 안전하다. 이렇게 하면 떨어지는 재에 닿거나 화상을 입지 않는다.
    • 주의를 기울인다. 제대로 하지 않으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보통 의사들은 위험성 때문에 이어 캔들 사용을 권하지 않는다.
  7. 이어 캔들을 사용하기 전에 귀 주위와 뒷 부분을 마사지한다. 긴장이 풀리고 귀 주변 혈액 순환이 원활해진다.
    • 턱뼈 뒷 부분, 관자놀이와 두피 주변을 마사지한다.
    • 귀 주위를 30초 이상 문지른다.
  8. 종이 접시나 은박지 접시에 작게 구멍을 뚫어 귀에 놓는다. 이렇게 하면 불꽃이나 떨어지는 재에 화상을 입지 않는다.
    • 슈퍼마켓에서 구입할 수 있는 종이 접시나 은박지 접시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 구멍은 이어 캔들의 끝 부분과 크기가 같아야 한다. 이어 캔들을 구멍에 끼워 귀에 세운다.
  9. 이어 캔들의 작은 끝 부분을 종이 접시나 은박시 접시에 끼운 다음 귀에 꽂는다. 이렇게 하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어 캔들을 사용할 수 있다. [7]
  10. 도와주는 사람에게 이어 캔들의 커다란 끝 부분에 라이터나 성냥으로 불을 붙이게 한다. 이렇게 하면 귀지 제거가 시작되고 화상을 입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이어 캔들에 불을 붙일 수 있다. [9]
    • 귀와 이어 캔들의 작은 끝 부분 사이에서 연기가 나오지 않으면 이어 캔들이 제자리에 놓인 것이다.
    • 꼭 맞지 않으면 자세나 이어 캔들을 다시 바로잡는다. 꼭 맞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이 다소 걸리면 새 이어 캔들로 다시 해본다.
  11. 이어 캔들이 원하는 길이로 탈 때까지 15분 정도 걸린다. 화상의 위험이 최소화되고 귀지를 최대한 많이 제거할 수 있다. [10]
  12. 이어 캔들을 태우면서 물이 담긴 그릇에 5cm씩 자른다. 이렇게 하면 불꽃이나 재가 가까이 떨어져 화상을 입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물이 담긴 그릇에 이어 캔들을 자른다. 다 하면 귀에 다시 단단히 꽂는다.
  13. 이어 캔들이 7.5cm 가량 남을 때까지 태운 후 도와주는 사람에게 물 그릇에 넣어 불을 꺼달라고 한다. 이렇게 하면 이어 캔들에 화상을 입을 위험이 최소화된다. [11]
    • 이어 캔들이 타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 몇 분 후 도와주는 사람에게 작은 끝 부분의 입구가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해달라고 말한다. 필요하면 이쑤시개로 재빨리 입구를 뚫고 다시 귀에 이어 캔들을 꽂는다.
  14. 이어 캔들의 남은 부분을 귀에서 빼서 귀지, 잔여물, 박테리아 혼합물을 살펴본다. 귀지가 제거되었는지, 이어 캔들을 더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볼 수 있다. [12]
  15. 이어 캔들을 사용한 후 귀 바깥쪽과 귓속을 닦는다. 귀지나 잔여물을 다시 귓속에 밀어넣지 않도록 주의한다.
    • 천이나 면봉으로 귀를 깨끗이 닦는다. 면봉을 귓속 깊이 넣지 않는다. 귀지가 깊이 밀려 들어가거나 고막이 뚫린 수 있다. [14]
  16. 양쪽 귀에 귀지가 있는 경우 다른 쪽 귀에도 이어 캔들을 사용한다. 위의 설명과 포장에 적힌 제품 설명에 따라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귀에 화상이나 외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5]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2:

다른 방법으로 귀지 제거하기

PDF 다운로드
  1. 귀 바깥쪽을 천이나 종이 티슈로 닦는다. 귀 밖으로 나온 분비물이나 귀지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 [16]
    • 귀 바깥과 외이도 바깥쪽을 부드러운 천으로 닦는다. [17] 원한다면 천에 따뜻한 물을 살짝 적신다. [18]
    • 손가락에 종이 티슈를 감아 귀 바깥과 외이도 바깥쪽을 닦는다. [19]
  2. 귀지의 양이 적거나 보통인 사람들은 일반 제거제를 사용한다. 귀지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20]
    • 일반 귀지 제거제는 대부분 미네랄 오일과 과산화수소 용액이다. [21]
    • 과산화수소가 귀지를 녹이지는 않지만 귀지가 외이도를 통과하는 데 도움이 된다. [22]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경우 침대에 누워 머리를 옆으로 돌린다. 머리 아래에 수건을 깐다. 귀에 과산화수소를 조금 붓는다(또는 고무 스포이드를 사용한다). 귀가 따뜻해지기 시작하면서 부글거리는 소리가 들릴 것이다. 지극히 정상이다. 과산화수소가 나오도록 귀를 수건에 갖다댄다. 다른 쪽도 똑같이 한다. 귀에서 분비물이 나오면 즉시 병원을 찾는다.
    • 문제가 더 악화되지 않도록 포장에 적힌 설명에 따라 제품을 사용한다.
    • 고막에 구멍이 뚫렸거나 그런 것 같다면 일반 귀지 제거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23] 고막 천공의 증상으로는 피나 고름이 섞인 분비물, 청력 상실, 이명 등이 있다. [24]
    • 귀지 제거제는 약국이나 대형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다.
    • Cerumenolytics(과산화수소와 미네랄 오일)은 알레르기 반응, 외이도염, 일시적인 청력 상실, 어지럼증 등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3. 일반 귀지 제거제 외에 가정용 오일이나 글리세린으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 귀지가 부드러워져 더 쉽게 귀에서 빼낼 수 있다. [25]
    • 베이비 오일이나 미네랄 오일을 사용해도 된다. [26] 베이비 오일이나 미네랄 오일을 귀에 각각 한 방울씩 떨어뜨리고 몇 분 동안 그대로 놓아두었다가 빼낸다. [27]
    • 올리브 오일을 사용해도 된다. [28] 하지만 한 연구에 따르면 올리브 오일보다 물이 귀지 제거에 더 효과적이라고 한다. [29]
    • 오일이나 글리세린을 얼마나 자주 사용해야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없다. 하지만 일주일에 몇 번 정도가 적당하다. [30]
  4. 물로 귓속을 세척하는 것은 가장 일반적인 귀지 제거 방법이다. [31] 귀지가 많거나 잘 제거되지 않을 때는 물로 귀를 세척한다. [32]
    • 이 방법은 의료용 주사기가 필요하다. 주사기는 약국에서 구입한다. [33]
    • 주사기에 체온과 같은 온도의 물을 넣는다. 더 차갑거나 따뜻한 물을 사용하면 어지럽거나 현기증이 난다. [34]
    • 머리를 똑바로 들고 외이도가 쭉 펴지도록 부드럽게 귀 바깥쪽을 잡아당긴다. [35]
    • 귀지가 있는 외이도에 물을 주입한다. [36]
    • 머리를 기울여 물을 빼낸다. [37]
    • 귀지를 모두 제거하려면 물 세척을 몇 번 해야 한다. [38]
    • 한 연구에 따르면 세척 전에 물이나 오일을 조금 귓속에 넣으면 귀지를 더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39]
    • 절대로 치아에 사용하는 물 분사 기구를 귀 세척에 사용하지 않는다. [40]
  5. 빨아들이는 도구를 구입해서 귀지를 제거한다. 연구에 따르면 이 방법은 효과가 없지만 사람에 따라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 [41]
    • 귀지를 빨아들이는 도구는 약국이나 대형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다.
  6. 귀지를 제거한 후 귀를 꼼꼼히 말려야 한다. 이렇게 하면 감염이나 다른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42]
    • 소독용 알코올을 몇 방울 떨어뜨려 귀를 말린다. [43]
    • 헤어 드라이어를 약으로 해서 귀를 말린다. [44]
  7. 중이염을 예방하려면 어느 정도 귀지가 있어야 한다. 귀에 귀지가 적당하게 남아있도록 너무 자주, 또는 면봉 같은 도구를 이용해 귀를 파지 않는다. [45]
    • 필요할 때만 귀를 판다. 매일 귀를 파야 하거나 분비물이 지나치게 나올 때는 병원을 찾는다. [46]
    • 면봉, 헤어핀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귀지가 제거되지 않고 귓속으로 밀려들어가 염증이나 기타 질환이 생긴다. [47]
    • 도구를 사용하면 고막에 구멍이 뚫려 감염되거나 청력을 잃을 수 있다. [48]
  8. 집에서 귀지를 제거할 수 없거나 심한 청력 상실 등 다른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귀지 색전 치료 방법에 대해 의사와 상의한다. 가장 효과적이고, 가장 비침습적이며, 가장 통증이 없는 치료를 받을 수 있다.
    • 의사가 전문적인 치료나 물약, 세척 등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을 권할 것이다. [49]
    광고

  •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이어 캔들을 사용하면 화상이나 화재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광고

경고

  • 귀에 이식 수술을 한 물건(튜브, 보청기 등)이 있다면 이어 캔들 사용을 자제한다.
광고

필요한 것

  • 이어 캔들
  • 면봉
  • 가위
  • 성냥 또는 라이터
  • 작은 젖은 수건
  • 도와줄 사람


  1.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231549/
  2. https://www.insider.com/ear-candling-remove-earwax-2018-6
  3.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231549/
  4.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231549/
  5.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231549/
  6.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231549/
  7.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8.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9.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10.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11. http://american-hearing.org/disorders/ear-wax/
  12. http://american-hearing.org/disorders/ear-wax/
  13. http://american-hearing.org/disorders/ear-wax/
  14. http://american-hearing.org/disorders/ear-wax/
  15.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ruptured-eardrum/basics/definition/con-20023778
  16. http://american-hearing.org/disorders/ear-wax/
  17.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18.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19.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20.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21.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22. http://american-hearing.org/disorders/ear-wax/
  23. http://american-hearing.org/disorders/ear-wax/
  24.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25.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26.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27.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28.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29.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30. http://american-hearing.org/disorders/ear-wax/
  31.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32. http://my.clevelandclinic.org/services/head-neck/diseases-conditions/hic-cerumen-impaction-earwax-buildup-and-blockage
  33.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34.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35.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36. http://american-hearing.org/disorders/ear-wax/
  37.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38.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39. http://american-hearing.org/disorders/ear-wax/
  40.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979.htm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32,550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