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탈장은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통증이 있을 수 있다. 탈장이 생기면 한 신체 부위의 내용물이 주변 조직이나 근육으로 밀려들어가기 때문이다. 탈장은 복부, 배꼽 주위(배꼽), 사타구니 부위(대퇴부 또는 서혜부), 위 등에 생길 수 있다. 위 탈장(열공)이 있으면 위산 과다와 위산 역류를 경험하게 된다. 다행히 집에서 통증을 다스릴 수 있으며 생활 습관 변화를 통해 탈장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파트 1
파트 1 의 3:

집에서 탈장으로 인한 통증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통증이 비교적 경미하다면 탈장 부위에 아이스 팩을 10-15분 동안 올려둔다. 의사에게 허락을 받은 후 하루에 한두 번 아이스 팩을 한다. 냉찜질을 하면 부기와 염증이 가라앉는다. [1]
    • 얼음이나 아이스 팩을 직접 피부에 갖다 대지 않는다. 피부에 갖다 대기 전에 얇은 천이나 수건으로 감싼다. 이렇게 하면 피부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 탈장으로 인해 심하지 않은 통증이 있는 경우 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 등 일반 진통제로 통증을 완화한다. 반드시 제약사의 복약 지시를 따른다. [2]
    • 일주일 이상 일반 진통제에 의존했다면 의사와 상의한다. 의사가 더 강한 진통제를 처방할 수도 있다.
  3. 열공 탈장(위)이 생긴 경우 위산 역류라고 알려진 위산 과다증을 겪게 된다. 위산 분비를 줄이기 위해 일반 제산제와 약을 복용하고 프로톤 펌프 억제제 등을 처방 받는다. [3]
    • 며칠 후에도 위산 역류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병원에 가야 한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위산 역류에 식도가 심하게 손상된다. 의사에게 위산 역류를 치료하고 소화 기관을 아물게 할 약을 처방받는다.
  4. 서혜부 탈장(사타구니)이 생긴 경우 통증을 줄여주는 특수 지지대를 착용해야 한다. 보정 속옷과 비슷한 탈장대를 착용하는 것에 대해 의사와 상의한다. 또는 탈장 부위를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벨트나 하네스를 착용한다. 지지대를 착용하려면 누워서 탈장 부위에 벨트나 하네스를 꼭 맞게 감싼다.
  5. 침술은 가느다란 침으로 혈을 찔러 신체의 기를 조절하는 전통 의학이다.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혈을 자극해 탈장으로 인한 통증을 다스린다. 탈장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킨 경험이 있는 자격을 갖춘 침술사를 찾는다. [5]
    • 침으로 탈장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할 수 있지만 실제 탈장을 치료하려면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6. 탈장인 것 같거나, 복부나 사타구니가 이상하게 묵직하게 느껴지거나, 위산 과다증이나 속쓰림이 있는 경우에는 병원 예약을 잡는다. 보통 신체 검사와 검진을 통해 탈장을 진단한다. 이미 의사에게 진료를 받았지만 몇 주 후에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다시 병원 예약을 잡는다.
    • 탈장으로 인해 이상한 통증이 느껴지고 복부, 서혜부, 대퇴부 탈장으로 진단 받은 경우 주치의나 응급실에 바로 연락한다. 통증이 의학적 응급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7. 집에서 탈장으로 인한 통증을 가라앉힐 수는 있지만 탈장을 치료할 수는 없다. 수술에 대해 의사와 상의한다. 의사가 돌출된 근육을 제자리에 밀어 넣는 외과 수술을 권할 수 있다. 또는 외과 의사가 탈장 치료를 위해 작게 절개하는 덜 침습적인 시술을 할 수 있다. [6]
    • 탈장이 자주 생기지 않고 의사가 경미하다고 판단하면 의사가 수술을 권하지 않는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생활 습관 바꾸기

PDF 다운로드
  1. 열공 탈장 때문에 속쓰림을 겪는다면 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인다. 그렇게 하려면 매끼 식사량을 줄인다. 위에서 음식이 더 쉽고 빠르게 소화되도록 천천히 먹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이미 약해진 위 괄약근(하부식도괄약근)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 [7]
    • 잠자리에 들기 2-3시간 전에 먹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잘 때 음식이 위 근육을 압박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위산을 줄이기 위해 식단을 바꾼다. 고지방 음식, 초콜릿, 페퍼민트, 알코올, 양파,토마토, 감귤류 등을 피한다. [8]
  2. 위나 복부를 조이지 않는 옷을 입는다. 꽉 죄는 옷이나 벨트를 착용하지 않는다. 대신 허리가 헐렁한 상의를 고른다. 벨트를 착용할 때는 허리를 너무 꽉 죄지 않게 조절한다. [9]
    • 위나 복부를 꽉 죄면 탈장이 재발하고 위산 과다증이 악화될 수 있다. 위산이 식도로 다시 넘어올 수 있다.
  3. 과체중인 경우 위와 복부 근육에 더 압력이 가해진다. 이 압력 때문에 탈장이 재발할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위산이 식도로 다시 넘어올 수 있다. 이는 위산 역류와 위산 과다를 야기한다. [10] [11]
    • 천천히 체중을 감량한다. 일주일에 0.5-1kg 정도 감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식단과 운동 계획 조절에 대해 의사와 상의한다.
  4.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부담을 주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근육을 단련하고 지지하는 운동을 한다. 똑바로 누워서 다음과 같이 스트레칭을 한다.
    • 다리가 약간 구부러지게 무릎을 굽힌다. 다리 사이에 베개를 끼고 허벅지 근육으로 베개를 쥐어 짠다. 근육을 이완시킨다. 이 스트레칭을 10번 반복한다.
    • 옆구리에 손을 대고 무릎을 땅에서 공중으로 들어올린다. 두 다리로 공중에서 자전거를 타는 동작을 한다. 복부 근육이 당길 때까지 계속한다.
    • 다리가 약간 구부러지게 무릎을 굽힌다. 머리 뒤쪽에 손을 대고 몸통을 약 30도 위로 구부린다. 몸통이 무릎에 더 가까워져야 한다. 이 자세를 유지하다가 조심스럽게 눕는다. 15번 반복한다.
  5. 위산 역류가 있다면 담배를 끊는다. 흡연은 위산을 증가시켜 위산 역류가 악화된다. 그리고 탈장 수술을 할 계획이라면 의사가 수술을 할 때까지 몇 달간 금연을 할 것을 권한다. [12]
    • 흡연을 하면 수술 후 몸이 잘 회복되지 않고 수술 중에 혈압이 올라갈 수 있다. 또한 탈장이 재발하고 수술 후 감염이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허브 사용하기

PDF 다운로드
  1. 잡초로 여겨지는 냉이는 전통적으로 부기와 통증 완화에 사용되었다. 냉이 에센셜 오일을 탈장 때문에 통증이 느껴지는 곳에 바른다. 또는 냉이 보충제를 복용한다. 항상 제조업체의 복약 지시에 따른다. [13]
  2. 탈장 때문에 메스꺼움, 구토, 위산 역류가 생기면 생강차를 마신다. 생강은 소염 효과가 있으며 위를 진정시킨다. 생강 티백을 우리거나 생강을 잘라 1티스푼 사용한다. 생강을 끓는 물에 5분 동안 우린다. 음식을 먹기 30분 전에 생강차를 마시면 특히 도움이 된다. 임신이나 수유 중인 여성에게도 안전하다. [15]
    • 위를 진정시키고 위산을 줄이려면 회향차를 마신다. 회향 씨 1티스푼을 으깨 끓는 물에 5분 간 우린다. 하루에 2-3컵을 마신다.
    • 겨자를 물에 타서 마시거나 카모마일 차를 마신다. 모두 소염 효과가 있으며 위산을 줄여 위를 진정시킨다. [16]
  3. 씹을 수 있는 감초 정제(글리시리진을 제거한 감초)를 찾는다. 감초는 위산 과다를 조절하여 위를 낫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체의 복약 지시에 따른다. 보통 4-6시간 간격으로 정제를 2-3개 복용한다. [17]
    • 감초는 체내에 칼륨 부족을 일으켜 부정맥이 생길 수 있다. 감초를 다량으로 섭취하거나 2주 이상 사용하는 경우 의사와 상의한다.
    • 느릅나무 껍질은 음료나 정제로 먹을 수 있는 허브 보충제이다. 염즘이 생긴 조직을 보호하고 진정시키며 임신 중에 사용해도 안전하다. [18]
  4. 위산 역류가 심하면 사과 사이다 식초를 마신다. 일부는 여분의 산에게 당신의 몸을 줄이는 자체 생산 프로세스에서라는 의견을 저해하지만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피드백 억제라고 해서 여분의 산에 위산 분비가 줄어든다는 의견이 있다. 유기농 사과 사이다 식초 1테이블스푼과 물 177ml를 섞어 마신다. [19] 원한다면 맛이 더 좋아지도록 꿀을 조금 넣는다.
    • 이 방법을 약간 응용해서 레모네이드나 라임에이드를 만든다. 순수 레몬즙 또는 라임즙 몇 티스푼과 물을 섞는다. 원한다면 꿀을 조금 넣는다. 식전, 식사 도중, 식후에 마신다.
  5. 유기농 알로에 베라 주스(젤이 아님)를 1/2컵 마신다. 하루 종일 조금씩 마셔도 되지만 하루에 1-2컵만 마셔야 한다. 이는 알로에 베라가 완화제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20]
    광고


  1. http://www.med.umich.edu/1libr/Surgery/GenSurgery/HerniaObesity.pdf
  2.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gerd/basics/lifestyle-home-remedies/con-20025201
  3. https://www.nhs.uk/conditions/hiatus-hernia/
  4. http://www.home-remedies-for-you.com/remedy/Hernia.html
  5.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51821/
  6. Willetts, K. E., Ekangaki, A. and Eden, J. A. (2003), Effect of a ginger extract on pregnancy-induced nausea: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43: 139–144.
  7. Vemulapall, R. Diet and Lifestyle Modifications in the Manage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Nutr Clin Pract June 2008 vol. 23 no. 3 293-298.
  8. Glick, L., Deglycyrrhizinated liquorice for peptic ulcer. Lancet. 1982 Oct 9;2(8302):817.
  9. Petry JJ, Hadley SK. Medicinal herbs: answers and advice, Part 2.Hosp Pract (1995). 2001 Aug 15;36(8):55-9.
  10. Petry JJ, Hadley SK. Medicinal herbs: answers and advice, Part 2.Hosp Pract (1995). 2001 Aug 15;36(8):55-9.
  11. http://www.mayoclinic.org/drugs-supplements/aloe/evidence/hrb-20058665
  12. http://www.ncbi.nlm.nih.gov/pubmed/26742306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6,62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