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분수는 정수의 일정 부분을 나타내는 수입니다. 만약에 분수의 분자가 분모가 클 경우 ‘가분수’라고 부릅니다. 가분수는 정수와 분수로 이뤄진 대분수로 나타낼 수 있지만 가분수를 항상 대분수로 나타낼 필요는 없습니다. 사실 수학문제를 풀다보면 대분수 대신 가분수로 나타내서 계산하는 게 더 쉬운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에 일상생활에서는 가분수보다 대분수를 더 자주 사용합니다. [1] 그래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는 법을 알고 있으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방법 1
방법 1 의 2:

그림을 이용하기

PDF 다운로드
  1. 분자가 분모보다 큰 분수를 가분수라고 부릅니다. [2]
    • 예를 들어서 같은 경우, 10이 4보다 크기 때문에 가분수입니다.
  2. 분모는 분수의 가로선 아래에 있는 숫자입니다. 분모값과 같은 갯수대로 정수를 나눠야 합니다.
    • 의 분모는 4입니다. 그러므로 정수를 4등분해야 합니다.
  3. 분자는 분수의 가로선 위에 있는 숫자입니다. 분자는 몇 조각을 가졌는지를 보여줍니다.
    • 의 분자는 10입니다. 10조각을 가졌다는 의미입니다.
  4. 각각의 동그라미를 분모와 같은 숫자로 나누세요.
    • 이번 예시의 경우 분모가 4입니다. 각각의 동그라미를 4등분하세요.
  5. 분자와 같은 숫자만큼 색칠해야 합니다.
    • 같은 경우, 10조각을 색칠해야 합니다.
  6. 이제 가분수를 정수와 분수로 이뤄진 대분수로 바꾸세요. 조각들을 전부 색칠한 동그라미의 갯수가 대분수를 이루는 정수가 됩니다. 종이에 따로 적어놓으세요.
    • 같은 경우, 전부 색칠한 동그라미가 2개입니다. 그러므로 대분수를 이루는 정수는 2입니다.
  7. 전부 색칠하지 않은 동그라미에 있는 조각들 중에서 색칠한 조각의 갯수가 대분수를 이루는 분수의 분자가 됩니다. 정수의 오른쪽에 새로 구한 분자를 적은 후 그 아래에 분모를 적으면 대분수가 됩니다.
    • 같은 경우, 동그라미 중 하나를 만큼 색칠해야 합니다. 그리고 대분수를 이루는 분수는 가 됩니다. 이를 통해서 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8. 약분이 가능한 대분수도 있습니다. 만약 약분이 가능하면 약분하세요. [3]
    • 예를 들어서 로 약분할 수 있습니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2:

나눗셈을 활용하기

PDF 다운로드
  1. 분자가 분모보다 큰 분수를 가분수라고 부릅니다. [4]
    • 예를 들어서 같은 경우, 이므로 가분수입니다.
  2. 분수의 가로선은 나눗셈 기호와 같은 개념입니다. [5] 가분수를 정수와 분수로 이뤄진 대분수로 바꿀 때 나눗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분모를 분자로 나눠서 구한 몫은 대분수를 이루는 정수가 됩니다. 나눗셈의 몫과 나머지를 종이에 각각 적으세요.
    • 분모가 분자로 딱 나눠지지 않을 경우 나눗셈의 나머지는 대분수를 이루는 분수의 분자가 됩니다.
    • 예를 들어서 또는 같은 경우 몫과 나머지가 각각 입니다. 그러므로 대분수를 이루는 정수는 입니다.
  3. 원래의 가분수 분모 위에 나머지를 적으세요. 이 분수와 앞서 구한 정수를 합쳐서 대분수를 만드세요.
    • 앞서 언급했듯이 같은 경우 몫과 나머지가 각각 입니다. 그래서 대분수를 이루는 분수는 가 됩니다. 이를 통해서 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4. 약분이 가능한 대분수도 있습니다. 만약 약분이 가능하면 약분하세요. [6]
    • 예를 들어서 로 약분할 수 있습니다.
    광고

  • 대분수를 가분수로 나타낼 때는 정수와 분모를 곱한 값과 분자를 더하면 됩니다.
  • 분모는 여전히 똑같습니다. 같은 경우, 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처럼 정수로 약분되는 가분수도 있습니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5,275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