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눈에 눈물이 많고 염증이 생기면 누관이 막혔을 수 있다. 누관이 막히는 원인은 감염이나 더 심각하게는 종양일 수 있다. 보통 마사지로 막힌 누관을 뚫을 수 있다. 하지만 치료가 더 필요하면 의사가 항생제를 처방하거나 막힌 누관을 뚫는 수술을 권유한다.

파트 1
파트 1 의 3:

막힌 누관 진단하기

PDF 다운로드
  1. 눈과 코를 연결하는 통로가 막히거나 누관이 열리지 않으면 누관이 막힌다(일명 누낭염). 대개 신생아에게 생기며 감염, 부상, 종양으로 인해 성인에게도 생긴다.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신생아에게 자주 발생하는 선천성 누낭염
    • 나이에 따른 변화
    • 눈의 감염
    • 얼굴 외상
    • 종양
    • 암 치료
  2.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눈에 눈물이 많이 고인다. 눈물이 얼굴로 흘러내린다. 누관이 막혔다면 눈물이 평소보다 약간 더 끈끈하고 마르면서 딱딱한 층이 생긴다. 다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눈의 염증이나 감염 재발.
    • 시력 저하.
    • 눈꺼풀에 점액이나 고름 같은 분비물
    • 혈루.
    • 발열.
  3. 누관이 막혔는지 알아보려면 의료인에게 진찰을 받아야 한다. 단순한 염증 때문에 누관이 막히기도 하지만 종양, 기타 심각한 질환이 원인일 수도 있으므로 병원에 가야 한다.
    • 의사가 검사를 위해 맛이 가미된 특수 용액으로 눈을 씻는다. 후두에서 맛이 느껴지지 않으면 누관이 막힌 것이다. [1]
    • 다른 검사로는 X-레이, 누관 CT 스캔(일명 누낭조영상) 등이 있다.
    • 의사가 증상을 설명해보라고 할 것이다. 환자의 설명을 통해 선천성 결막염, 녹내장 등 다른 눈 질환을 가려내는 데 도움이 되므로 임상적 가치가 크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막힌 누관 자가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깨끗한 수건과 따뜻한 물로 배출된 눈물을 하루에 몇 번씩 닦는다. 다른 눈으로 번질 수 있는 감염이 눈물 배출의 원인인 경우 특히 중요하다.
  2. 온습포로 막힌 누관을 뚫고 눈물이 더 쉽게 나오게 한다. 막힌 누관이 뚫릴 때까지 하루에 다섯 번씩 3-5분 동안 온습포를 한다.
    • 따뜻한 젖은 수건이나 따뜻한 물이나 카모마일 차(진정 성분이 있음)에 담근 화장솜으로 온습포를 한다.
    • 온습포는 너무 뜨거우면 안 된다. 발적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3. 누낭 마사지로 막힌 누관을 뚫고 눈물을 배출시킨다. 의사가 본인이나 아기에게 마사지를 해서 막힌 누관을 뚫는 방법을 알려줄 것이다. 마사지를 하려면 눈 안쪽, 즉 코 옆 가까이 검지 손가락을 갖다 댄다.
    • 이 곳을 몇 초 동안 눌렀다가 손가락을 뗀다. 하루에 3-5번 반복한다.
    • 세균이 눈에 들어가 감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반드시 손을 씻은 다음에 누낭 마사지를 한다.
  4. 이 방법은 누관이 막힌 아기에게 도움이 된다. 하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증거가 미미하다. 모유에는 항균 성분이 있어 막힌 누관에 생긴 감염을 퇴치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눈이 뻑뻑하지 않고 자극을 최소화한다. [2]
    • 검지에 모유를 몇 방울 묻혀 아기의 눈에 떨어뜨린다. 하루에 6번 모유를 눈에 넣어준다.
    • 아기의 눈에 세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손을 잘 씻은 다음에 해야 한다.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병원 치료받기

PDF 다운로드
  1. 보통 누관이 막히면 먼저 안약과 연고가 처방된다. 처방을 받으려면 병원에 가야 한다.
    • 안약은 병을 잘 흔들어 머리를 뒤로 젖힌 후 권장량만큼 눈에 넣는다. 안약이 흡수되도록 30초-1분 동안 눈을 감는다.
    • 눈에 세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반드시 손을 씻은 후 안약을 사용한다. 안약을 눈에 넣은 후 손을 다시 씻는다.
    • 어린이도 똑같은 방법으로 안약을 사용한다. 하지만 어린이가 움직이지 않게 잡아줄 성인이 필요하다.
  2. 감염 때문에 누관이 막힌 경우 경구 항생제가 처방된다. 항생제는 특정 신체 부위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한다. 막힌 누관을 뚫어주는 것은 아니지만 감염 치료에 도움이 된다.
    • 보통 눈이 임균과 클라미디아에 감염되었을 때 경구 항생제가 좋다.
    • 세균성 결막염에 보통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한다. [3]
  3. 확장술, 프로브, 세척 또한 막힌 누관을 뚫는 최소 침습적 치료 방법이다. 성인에게 정말 쉽게 할 수 있는 외래 시술이다. 아기는 보통 전신 마취를 하고 시술한다. 시술은 30분 가량 걸린다. [4]
    • 작은 금속 확장 도구로 누점(눈꺼풀에 있는 두 개의 작은 구멍)을 확장한다. 그 다음에 프로브를 통로를 통해 코까지 삽입한다. 프로브가 코에 닿으면 통로를 살균액으로 세척한다.
    • 본인(또는 자녀)가 이 시술을 받는 경우 시술 2주 전에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기타 일반 비스테로이드 소염제의 복용을 중단한다. 출혈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시술 전에 복용 중인 모든 약과 보충제에 대해 의사와 상의한다.
  4. 삽관은 최소 침습적 치료이다. 프로브와 세척과 마찬가지로 목표는 막힌 누관을 뚫는 것이다. 전신 마취를 해서 환자를 재운다.
    • 얇은 튜브를 눈 모서리에 있는 누낭을 통해 코까지 삽입한다. 그 다음에 눈물이 배출되고 누관이 다시 막히지 않도록 튜브를 3-4개월 동안 그대로 놓아둔다.
    • 튜브 자체는 거의 눈에 띄지 않지만 수술 후 감염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튜브가 움직이거나 망가질 경우를 대비하여 눈을 비비면 안 되며 눈을 만지기 전에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5. 수술은 최후의 치료 방법이다. 막힌 누관을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뚫을 수 없다면 누낭비강문합술이라는 시술을 통해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 누낭비강문합술을 통해 누관과 코 사이에 눈물이 배출될 수 있는 우회로를 만든다.
    • 레이저 누낭비강문합술은 신체 조직을 절개할 수 있는 레이저가 있는 내시경을 사용한다. 레이저로 코뼈에 구멍을 뚫어 누관과 비강을 연결한다. [5]
    • 누출관이 누관에 삽입되어 눈물의 통로 역할을 한다.
    광고

  • 아기들 중 3분의 1이 누낭염(누관이 막힌 것)을 가지고 태어난다. 하지만 누관 배출 시스템이 발달하면서 몇 달 후 저절로 좋아진다. [6]
광고

출처

  1. https://www.aao.org/eye-health/diseases/blocked-tear-duct-diagnosis
  2. http://www.parenting.com/article/blocked-tear-duct-infants
  3.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191730-medication
  4.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blocked-tear-duct/diagnosis-treatment/treatment/txc-20183611
  5. http://www.webmd.com/eye-health/tc/blocked-tear-ducts-endoscopic-and-laser-dacryocystorhinostomy-topic
  6. http://m.kidshealth.org/en/parents/tear-duct-obstruct-surgery.html&sa=D&ust=1503600440812000&usg=AFQjCNH5_g4LXNYMfly_nvNeP9CNChOycg
  7. Cohen NA, et al.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acrimal duct injury. Otolaryng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2010;43:781.
  8. Davis H, Mant D, Scott C et al.; Relative impact of clinical evidence and over-the-counter prescribing on topical antibiotic use for acute infective conjunctivitis.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Volume 59, Number 569, December 2009.
  9. Kanski J. Clinical Ophthalmology, A Systematic Approach, 5th Ed, 2003, Butterworth Heinemann
  1. Kunimoto DY, Kanitkar KD, Makar MS; The Wills Eye Manual, 4th Edition, 2004,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American Association for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https://aapos.org/glossary/nasolacrimal-duct-obstruction .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6,663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