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자동차의 에어컨이 시원하지 않다면, 냉매제가 누수로 손실된 것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자동차가 r134a 냉매를 사용하고 있다면 충전 키트와 냉매를 마련해서 에어컨 시스템을 충전해보자. [1] 가장 먼저 누수가 있는지 확인한 후, 냉매 압력과 에어컨 시스템을 점검한다. 마지막으로 냉매를 추가해서 충전을 완료한다. 하이브리드 혹은 전기 자동차라면, 냉매 충전을 직접 시도했을 때 목숨에 위험한 전하에 노출될 수 있다.

파트 1
파트 1 의 5:

누수 수리하기

PDF 다운로드
  1. 주방 세제와 수돗물을 사용해보자. 에어컨 시스템 전체를 놓치는 곳이 없이 분사해준다. 누수되는 곳이 있다면, 누수 자리 근처에서 거품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2]
    • 스프레이 병은 주변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 온라인이나 가까운 자동차 용품점에서 누수 탐지 키트를 구매해서 사용 설명에 따라 활용한다.
  2. 누수되는 곳이 비눗물과 반응해서 거품을 생성한다. 거품이 많이 보이지 않거나 한참 후에 거품이 생겼다면, 누수 부위가 매우 작은 것일 수 있다. 하지만, 거품이 심하게 일어났다면 유출 부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3]
    • 누수 부위가 큰 경우 전문적으로 수리를 받아야 한다.
  3. 누수 부위가 작더라도 누수 부위를 찾고 수리하는데 100만원 이상의 비용이 들 수 있기 때문에, 밀폐제라 포함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누수 부위를 막아주면 냉매가 더 오래 유지되고 빠르게 누수되지 않는다.
    • 밀폐제가 컨디셔너 형태로 되어 있는 제품을 찾아야 파이프가 막히지 않는다. 끈적끈적한 밀폐제를 사용하면, 파이프가 막힐 수 있다. [4]
  4. 누수 부위가 크다면 스스로 수리를 시도했다가 시스템 전체가 손상될 수 있으며, 자동차 안에 있었던 위험한 화학 성분이 바닥으로 흘러들어가는 사고도 발생할 수 있으니 전문 수리를 받아보자. [5]
    • 누수 부위가 크게 났음에도 냉매를 충전하는 것은 시간과 돈 낭비밖에 되지 않으니, 전문적으로 수리를 받아보자.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5:

압력 확인하기

PDF 다운로드
  1. 냉매는 위험한 성분이며 피부 동상과 같은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게다가 눈에 들어가면 시력이 손상된다. [6]
    • 냉매 라벨에 적혀있는 지시 사항을 잘 따른다. 권고되는 보호 장비도 꼭 착용하도록 하자.
  2. 에어컨에 2개의 포트가 있다. 압력이 높은 포트가 아니라 낮은 포트에 냉매를 더해준다. 저압력 튜브는 고압력 튜브에 비해 크기가 크기 때문에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7]
    • 가끔 고압력 포트에는 “H”, 저압력 포트에는 “L”이라고 마킹이 된 경우도 있다. 자동차에 따라 저압력 포트가 고압력 포트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 대부분의 키트는 저압력 포트에만 맞기 때문에, 올바른 포트를 찾는 것이 쉬운 편이다.
  3. 밸브를 막고 있는 작은 플라스틱 뚜껑을 열어준 후, 잊어버리지 않게 잘 보관한다. [8]
  4. 간단하게 게이지 연결 부위를 포트 위에 끼워주고, 살짝 흔들어서 잘 끼워졌는지 확인해보자. [9]
    • 헐렁거리거나 호스가 떨어졌다면, 다시 연결해준다.
    • 압력 게이지가 포함되어 있는 냉매 키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다. 압력 게이지가 있다면 에어컨에 무리가 가지 않게 냉매를 쉽게 충전할 수 있다. [10]
  5. 측정값은 프사이(psi)로 측정된다. 색깔별로 범위 처리가 되어있어서 안전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초록색은 좋은 값을 의미하지만, 초록색 영역의 낮은 언저리에 있더라도 자동차를 시원하게 하는데 충분할 수 있다. [11]
    • 이상적인 압력 값은 실외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상 압력 값은 뒷부분의 충전 과정에서 다시 한 번 살펴보자.
  6. 0 은 에어컨에 냉매제가 전혀 남아있지 않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수리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충전 키트로 에어컨을 충전해보자. [12]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5:

시스템 점검하기

PDF 다운로드
  1. 모든 부품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보자. 이때는 에어컨에서 뜨겁거나 따뜻한 바람이 나와도 괜찮다. [13]
    • 이때 보닛은 열어둔다.
  2. 컴프레서 클러치는 원형 모양으로, 시스템의 작동 상태와 냉매제가 시스템 안에 들어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회전 속도가 결정된다.
    • 클러치가 회전하지 않는다면, 냉매 캔의 반 정도의 양을 넣고 다시 확인해보자. 여전히 회전하지 않을 경우, 전문적으로 수리를 받아보자. [14]
  3. 게이지는 충전 완료 후 권장 냉매 압력 수치를 나타낸다. 에어컨에 냉매를 충전하면서 압력 게이지의 압력을 잘 관찰해보자.
    • 2-3도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은 괜찮다. [15]
  4. 현재 압력 수치가 설정한 온도 게이지 측정값을 기반으로 산정된 권장 값보다 낮을 것이다. 압력 게이지가 권장 값을 넘어섰거나 빨간 영역을 가리킨다면, 어디에 문제가 있는 것이니 전문 수리를 맡겨야 한다. [16]
    • 수치가 너무 낮을 때 냉매를 더 추가하면 자동차가 손상될 수 있다.
  5. 시스템 점검을 마친 후, 냉매 키트의 설명이 다르게 나타나있지 않은 이상 시동을 꺼준다.
    • 충전 키트의 설명을 따라야만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광고
파트 4
파트 4 의 5:

냉매 더해주기

PDF 다운로드
  1. 사용할 준비가 되면 방아쇠가 작용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안쪽 뚜껑을 제거하고 다시 방아쇠를 돌려서 끼워준다. [17]
    • 안쪽 뚜껑은 폐기한다.
  2. 방아쇠 안에 금속 핀이 있는데, 방아쇠를 입구에 돌려서 끼워줄 때 세게 눌러주면, 금속 핀이 캔의 상단부분에 구멍을 내준다. 캔 안의 압력이 완화되는 소리가 들리면, 캔을 사용해도 좋다. [18]
    • 트리거 핀이 캔을 뚫지 못했다면, 냉매를 사용할 수 없다. 이런 드문 경우가 발생했다면, 방아쇠를 빼서 다시 한 번 세게 눌러주어보자.
  3. 위아래로 캔을 격하게 흔들어야, 내용물이 잘 섞여서 균일하게 분사된다. [19]
    • 내용물이 잘 섞이지 않으면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4. 커넥터의 가장자리를 살짝 당겨야 포트에 잘 들어갈 수 있다. 냉매 키트가 완전히 포트에 끼워질 때까지 눌러준다. 그리고 조심스럽게 흔들어서 냉매가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20]
    • 흔들었을 때 헐렁함이 느껴지거나 빠졌다면, 다시 끼워준다.
  5. 냉매가 에어컨 안으로 배출된다. 이때 캔이 움직이지 않도록 꼭 잡고 있는다. [21]
    • 캔에 방아쇠 대신에 노브가 있다면, 호스로 냉매가 배출될 때까지 노브를 돌려준다. 소리로 배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6. 내용물이 잘 섞일 수 있도록 가볍게 움직여준다. 너무 세게 움직이면 연결이 분리될 수 있다. [22]
  7. 방아쇠 잡아당김을 멈추고 압력 게이지를 살펴보자. 에어컨으로 냉매제를 너무 많이 넣어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23]
    • 트리거 대신에 노브가 있다면, 배출을 시작한 지 10초 후 노브를 돌려서 밸브를 닫아준다.
    • 원하는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냉매를 여러 번 더해주어야 할 수 있다. 천천히 여유를 가지고 하되, 너무 많이 채워주지 않도록 하자. 냉매를 필요 이상으로 더해주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시스템이 오히려 손상될 수 있다.
  8. 한 번에 10초 동안만 방아쇠를 당겨준다. 에어컨을 충전할 때 조심스럽게 캔을 앞뒤로 움직여주고, 자주 압력 게이지를 확인하는 것을 잊지 말자. [24]
    광고
파트 5
파트 5 의 5:

충전 완료하기

PDF 다운로드
  1. 커넥터 주변의 이음고리를 잡아당겨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넥터를 분리한 후, 냉매 키트를 안전한 장소에 보관한다. [25]
    • 방아쇠 대신에 노브가 있다면, 노브를 돌려서 꽉 잠가준 후 커넥터를 분리한다.
    • 예를 들어, 열이 잘 들지 않는 차고의 시원한 공간에 냉매 키트를 보관해보자.
  2. 왼쪽 압력 포트 위에 뚜껑을 돌려서 닫아주면, 파이프 안으로 먼지나 찌꺼기가 들어가지 않는다. [26]
    • 이 뚜껑은 가장 처음에 분리해서 안전한 곳에 보관해두었던 그 뚜껑이다.
  3. 차가운 바람이 나오는지 확인해보자. 온도 게이지를 사용해서 정확한 온도를 체크해볼 수도 있다. 온도가 3 - 7 °C 정도 되어야 한다. [27]
    • 아직도 해결이 되지 않았다면, 전문 수리를 맡겨보자.
    광고

필요한 것

  • 눈 보호제
  • 장갑
  • 충전 키트
  • 냉매 캔(키트 안에 들어있을 수 있음)
  • 압력 게이지(키트 안에 들어있을 수 있음)

  • 자동차 용품점에서 R12에서 R134a로 변환하는 키트를 구매할 수 있지만, 전문가의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장 좋다.
  • 1993년 이후에 제작된 대부분의 자동차는 R134a 냉매를 사용하고 있으며, 필요할 경우 자동차 시스템을 변환해주어도 좋다.
  • 어떤 냉매를 사용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면, 자동차 매뉴얼이나 보닛 아래의 스티커를 참조한다. [28]
  • 압력 게이지가 포함되어 있는 키트를 구매해보자. 문제 분석과 충전 과정이 더 수월해진다.
  • 이 과정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임을 알아두자.
광고

경고

  • R-12 냉매는 배출되었을 때 환경에 해로운 CFC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오래된 R-12를 찾았더라도, 사용이 불법일 수 있으니 사용하지 않는다.
  •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직접 냉매 충전을 하지 않는다. 잘못된 제품을 사용했을 때 목숨에 위험한 전류가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문 정비사의 서비스를 받아보자. [29]
  • 냉매는 제대로 다루지 않았을 때 동상 등의 부상 위험이 있다. [30]
  • 누수를 수리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환경에 해롭다. [31]
광고
  1.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8
  2. http://www.readersdigest.ca/cars/maintenance/how-recharge-your-ac/view-all/
  3. http://www.readersdigest.ca/cars/maintenance/how-recharge-your-ac/view-all/
  4. http://www.readersdigest.ca/cars/maintenance/how-recharge-your-ac/view-all/
  5. https://www.familyhandyman.com/automotive/how-to-recharge-your-ac/view-all/
  6.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237
  7.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385
  8.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357
  9.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357
  10.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367
  11.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369
  12.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401
  13.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401
  14.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401
  15.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401
  16.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436
  17.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436
  18.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450
  19. https://www.youtube.com/watch?v=SHg2xRMnM38&feature=youtu.be&t=32
  20. http://www.readersdigest.ca/cars/maintenance/how-recharge-your-ac/view-all/
  21. http://www.readersdigest.ca/cars/maintenance/how-recharge-your-ac/view-all/
  22. https://www.epa.gov/mvac/options-recharging-your-air-conditioner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96,412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