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콧물을 다루는 일은 짜증나고, 거슬리고, 걸리적거립니다. 계절이 변하거나 알레르기 때문에 콧물이 생기기도 하지만, 때로는 감기나 축농증, 혹은 독감과 같은 더 깊은 질병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집에서 하는 간단한 치료법이나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약으로 시작해서, 특정한 원인을 가리키는 다른 증상들을 잘 관찰해보세요. 증상이 지속되거나 더 악화되면, 병원에 가세요. 충분한 휴식과 수분 보충 그리고 올바른 팁과 요령으로 코를 깨끗하게 만들어서 다시 자유롭게 숨을 쉴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방법 1
방법 1 의 3:

집에서 하는 자연적인 치료법

PDF 다운로드
  1. 코 주변을 지압함으로써 콧물로부터 오는 코막힘이나 두통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1]

    코의 양 쪽 옆부분을 10번씩 눌러주세요, 아주 가벼운 압력을 이용하세요. 눈 바로 위 부분도 똑같이 해주세요. 부비강 완화를 위한 이 지압법은 ‘하루에 2-3번씩’ 해주세요.

  2. 코에서 점액을 빼내주는 것은 콧물이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니 필요할 때 부드럽게 코를 휴지에 푸세요. 만약 콧물이 너무 과하게 흐른다면, 휴지를 반으로 찢어서 2개의 작은 공모양으로 말아서 콧구멍에 각각 넣으세요. 평상시처럼 숨을 쉬거나 입으로 숨을 쉬세요. [2]

    가능하다면, 촉촉한 티슈에 코를 풀어서 코 아랫부분의 민감한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게 하세요. 만약 피부가 자극이 된다면, 수분 크림을 조금 발라주세요.
    휴지에 풀 수 없는 점액이 목 뒷부분에서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콧물이 흐르는 느낌이나 막혀있는 느낌을 없애기 위해서 콧물을 삼켜보세요.

  3. 코에 압력을 완화시키고 콧물이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서, 따뜻한 목욕이나 샤워를 하고 방에 김이 차도록 하세요. 머리 위에 수건을 쓰고 뜨거운 물을 담아 놓은 그릇이나 냄비 위에 몸을 기울이는 것도 방법입니다. 혹은 샤워기에 뜨거운 물이 흐르도록 켜놓은 다음, 샤워를 하러 들어가지 않고 그냥 욕실에 앉아만 있으세요. 매일 2-4번씩 하세요. [3]
    • 증발기나 가습기를 사용해서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추가적인 효과를 위해서, 유칼립투스 오일, 캄파(장뇌) 오일, 혹은 페퍼민트 오일을 더해보세요. 뜨거운 물을 담아놓은 그릇에 조금 넣거나 샤워기를 틀기 전에 샤워기 주변에 살짝 뿌려보세요.
  4. 수건을 따뜻한 물에 적시거나 젖을 때까지 세면대에서 들고 있습니다. 물기를 짜주고 얼굴 위에 2-3분 동안 올려놓으세요. [4]
    • 수건을 적셔서 전자레인지에 30-45초 동안 혹은 수건이 따뜻해질 때까지 돌려도 됩니다.
  5. 콧물과 같이 몸이 짜증스러운 증상과 싸우고 있을 때는 휴식을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쉬기 위해서 누울 때, 코에 있는 액체가 자연스럽게 빠질 수 있도록 배게 몇 개를 쌓아서 머리에 받쳐주세요. [5]
    • 이 자세는 더 쉽게 숨을 쉴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합니다.
  6. 몸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은 콧물이 흐르지 않도록 코의 액체를 빠져나가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매 시간 마다 한잔의 물을 마시고, 허브 티나 스프같이 따뜻한 액체를 마셔서 코를 더 진정시켜주세요. [6]
  7. 1 cup (240 ml) 의 따뜻한 물과 소금 ½ 티스푼 (3 g), 그리고 약간의 베이킹 소다를 섞으세요. 주사기, 작은 스프레이 용기 혹은 네티팟을 사용해서 매일 3-4번씩 소금물 스프레이를 코 안에 뿌려주세요. [7]
    • 소금물 스프레이는 콧물을 더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너무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3:

약으로 콧물 처리하기

PDF 다운로드
  1. 코 스프레이나 세척액은 약국에서 살 수 있고, 콧물이 흐르게 만드는 점액을 제거해주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코막힘이나 콧물을 위한 순한 제품으로 골라서 설명서를 잘 따라 매일 3-4번씩 사용해주세요. [8]
    • 코 스프레이는 코막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하루에 5번 이상은 사용하지 마세요.
  2. 코를 깨끗하게 만들고 코막힘을 풀어줄 수 있는 코 밴드를 약국에서 찾아보세요. 감기나 코막힘을 위해서 만들어진 코 밴드 제품을 사용해봅시다. 제품 박스에 적혀있는 설명서를 따라 콧날에 코 밴드를 착용합니다. [9]
    • 코 밴드는 주로 밤에 사용하지만, 만약 콧물이 너무 많이 난다면, 낮에도 써도 됩니다.
  3. 코 막힘 완화제를 약국에서 찾아보세요. 주로 알약으로 되어 있어서, 이 알약이 줄어들면서 비강을 건조하게 만들어줍니다. 막힌 코나 콧물을 제거해줄 때 쓰면 아주 좋습니다. 약을 얼마나 자주 먹어야 하는지 제품 박스를 참고하세요. [10]
    • 코 막힘 완화제는 하루에 2-3번만 쓰세요.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코 막힘 완화제가 오히려 코막힘을 더 악화시켜 나타나게 할 수 있습니다.
  4. 콧물이 알레르기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 약국에서 항히스타민 제품을 구입하세요. 제품 박스에 적혀있는 대로 복용하고, 부작용도 주의해서 읽으세요 — 어떤 항히스타민제는 나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1]
    • 흔한 항히스타민제로는 베나드릴(Benadryl), 지르텍(Zyrtec), 알레그라(Allegra)가 있습니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3:

기저 원인 치료하기

PDF 다운로드
  1. 만약 두통이 있거나 부어오르는 압력이 느껴진다면, 축농증을 치료하세요. 축농증이 때로는 콧물을 흐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나 만약 점액이 끈적거리고 누르스름하거나 푸르스름하다면 축농증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다른 증상은 코 막힘, 목 뒤로 콧물이 흐르는 것, 눈, 볼, 코, 이마 주변의 통증과 부기가 해당됩니다. 축농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음 방법을 시도해보세요: [12]
    • 집에서 하는 따뜻한 증기 치료법을 해보거나 따뜻한 수건을 얼굴에 놓아보세요.
    • 식염 코 스프레이나 비강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해서 염증을 치료해보세요.
    • 2-3일 동안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코 막힘 완화제를 복용해보세요.
    •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타이레놀), 이부프로펜 (아드빌)을 복용해보세요.
    • 일주일 가량 지났을 때도 염증이 치유되지 않는다면 병원을 방문하세요.
  2. 만약 알레르기 라면, 코를 자극하는 물질은 피하도록 하세요. 콧물은 알레르기의 흔한 증상입니다. 알레르기는 꽃가루, 애완동물 비듬, 진드기, 혹은 음식 등 다양한 자극물에 의해서 생길 수 있습니다. 특정한 물질 주변에 있을 때 콧물이 나는지 잘 관찰해보고, 이 물질들을 피할 수 있는 한 피하도록 하거나 증상을 약화시키기 위해서 알레르기 약을 복용하세요. [13]
    • 다른 알레르기 증상에는 재채기, 얼굴 주변의 가려움증, 빨갛거나 부은 눈 등도 포함됩니다.
    • 식염 코 세척요법을 사용해서 알레르기로 인한 콧물을 없앨 수 있고, 자주 청소기를 돌리고 침구류나 인형들을 따뜻한 물에 빠는 방법으로 알레르기에 대한 노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콧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일반적인 감기입니다. 감기 증상들은 비교적 골라내기 쉽습니다. 감기 증상들에는 인후염, 기침, 재채기, 몸살 등이 포함됩니다. 감기를 치료하기 위해서, 다음을 시도해보세요: [14]
    •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과 같은 진통제 복용
    • 코 막힘 완화 액이나 스프레이 5일동안 사용
    • 인후염이나 기침을 완화하기 위해서 기침 시럽 복용
  4. 만약 독감 같은 증상 을 보인다면 병원에 가세요. 독감은 처음에는 콧물을 포함한 일반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감기보다는 갑자기 온다는 점에서 차이를 지닙니다. 다른 증상으로는 100.4 °F (38.0 °C)가 넘는 열, 근육통, 오한 및 식은땀, 두통, 코 막힘 등이 있습니다. 만약 독감인 것 같다면 최대한 빨리 병원에 가고, 손을 씻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코와 입을 가리고,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 다음을 참고하세요: [15]
    • 휴식을 취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
    • 의사가 처방해준다면, 항바이러스성 약 복용
    • 아세트아미노펜 (타이레놀) 혹은 이부프로펜 (아드빌) 과 같은 진통제 복용으로 통증 완화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2,311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