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대부분의 가전 기기의 뒷면이나 아랫면에는 가전 기기가 소모하는 최고치의 전력량과 함께 와트 전력량이 표기되어 있다. 실제 사용 전력량을 확인하게 위해 와트 전력량을 활용해서 킬로와트시로 전환해보자.

방법 1
방법 1 의 3:

가전기기 라벨을 읽고 킬로와트시 추정하기

PDF 다운로드
  1. 대부분의 고성능 가전기기의 경우 기기의 뒷면이나 아랫면에 에너지 출력량이 기록된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라벨에 "W"라고 표기된 와트 전력량을 확인해보자. 라벨에 기록된 와트 전력량은 기기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최대 전력량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되는 평균 전력량에 비해 높게 표기될 수 있다. [1] 아래 기록되어 있는 방법들은 와트 전력량 수치를 보고 대략적인 킬로와트시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 킬로와트시의 값은 이보다 낮을 수도 있다.
    • "200–300W"처럼 범위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250W처럼 중앙 수치를 활용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2. 와트는 사용한 동력, 에너지를 측정하는 값이다. 와트 전력량에 사용한 시간을 곱해주면 시간당 사용한 에너지가 측정되는데, 이 값을 사용해서 전기료를 추정해볼 수 있다.
    • 예시: 와트 전력량이 250W인 날개 큰 선풍기를 하루에 평균 5시간 정도 가동했다면, 선풍기의 일일 킬로와트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해볼 수 있다: (250와트) x (5시간/일) = 1250 와트/일 .
    • 냉방이나 난방 기구의 경우 계절별로 따로 계산해주어야 한다.
    • 냉장고는 사용한 시간의 ⅓ 동안만 전력을 사용한다. 냉장고 전기를 24시간 가동하고 있다면 하루에 8시간만 전력이 활용된 샘이다. [2]
  3. 킬로와트는 1,000 와트이기 때문에, 산출된 값을 킬로와트시로 바꾸는 방법을 소개한다.
    • 예시: 선풍기의 하루 전력 사용량을 계산해보니 1250와트로 측정되었다면, 킬로와트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250 와트시) ÷ (1000와트/1킬로와트) = 1.25킬로와트/일 .
  4. 매일 사용하는 기기의 킬로와트시 값을 알아냈으니, 한 달 혹은 일년에 해당하는 킬로와트시의 값도 곱해서 계산해보자.
    • 예시: 30일인 달에 선풍기 소비량은 (1.25 kWh/일) x (30일/1개월) = 37.5 kWh/개월 이다.
    • 예시: 선풍기를 1년 동안 매일 사용했다면 1년 사용량은 (1.25 kWh/일) x (365일/1년) = 456.25 kWh/년 이다.
  5. 킬로와트시 값에 전력단가를 곱하면, 대략적인 전기 요금을 계산해볼 수 있다.
    • 예시: 에너지 단가가 170원/kWh이라면, 선풍기를 사용한 전기 요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70원/kWh) x (456.25 kWh/1년) = 77,563원/1년 (소수점 반올림).
    • 이 측정값은 최대 전력량을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임을 기억하자. 실제로는 이보다 요금이 적게 나올 수 있다.
    • 현재 거주하는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의 요금을 측정해보고 싶다면, 인터넷으로 다른 지역의 전력량 요금을 찾아보자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3:

전류와 전압 값으로 킬로와트시 계산하기

PDF 다운로드
  1. 와트 전력량이 표시되지 않은 가전기기도 있다. 그럴 경우 "A"라고 표시된 전류값을 찾아보자.
    • 노트북 컴퓨터나 휴대폰 충전기에는 두 가지의 전류값이 나와있을 수 있다. 이 중 하나의 값만 활용한다. [3]
  2.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서 표준전압(볼트 값)에 차이가 있다. 미국의 일반 가정의 표준전압은 120V이다. 유럽과 기타 지역은 220 – 240V이며, 대한민국의 표준전압은 220V이다. [4]
    • 세탁기와 같은 가전기기에 특별한 240V 회로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전자 제품 라벨에 적혀있는 정격전압을 활인해보자 (라벨에는 사용이 권장되는 전압 값이 기재가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전문가가 설비한 기기라면 전압값 이 사용 권장 전압 값을 부응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3. 전류와 전압의 값을 곱해주면 와트 전력량이 계산된다.
    • 예시: 전류값이 6.5 A로 기록되어 있는 전자레인지를 220 V 전압 콘센트에 꽂아서 사용했다면 사용 전력량은 6.5 A x 220 V = 1,430 와트 이다.
  4. 와트 전력량은 전자기기가 작동 중일 때 소모한 에너지의 측정값이다. 와트 전력량에 하루 동안 사용한 평균 시간을 곱해보자.
    • 예시: 전자레인지가 하루에 평균 30분 동안 가동되었다면 1,430 W x 0.5 시간 / 일 = 715 와트시/일 이 산출된다.
  5. 1,000으로 나눠주면 킬로와트시가 측정된다.
    • 예시: 715와트시/일 ÷ 1000 와트/1킬로와트 = 0.75 킬로와트시/일 .
  6. 예를 들어서 31일 동안 사용한 전기 요금을 알아보기 위해서 사용한 일수인 31일에 킬로와트시 측정값을 곱해준다.
    • 예시: 0.75 킬로와트시/일 x 31일 = 23.25 킬로와트시 .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3:

전력 미터 활용하기

PDF 다운로드
  1. 와트미터 혹은 킬로와트 미터라고도 불리는 이 기기는 전자기기가 소모한 실제 전력량을 측정해준다. 전자기기의 라벨 정보를 활용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전기와 관련된 도구 사용이 익숙하다면 전력 미터 대신 멀티미터를 사용해보자. 멀티미터를 사용하려면 전자기기가 작동 중일 때 기기의 배선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잘 모르는 상태에서 절대 기기를 분해하지 않는다.
  2. 전력 미터의 플러그를 벽의 콘센트에 꽂아주고,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전력 미터에 꽂아준다.
  3. 킬로와트시로 설정한 후 전력 미터로 측정해보자. 전력 미터가 잘 연결되어 있다면 미터기에 연결된 전자기기가 소비한 총 킬로와트시가 표시된다.
    • 전력 미터 수치가 와트로 측정된다면, 위에서 소개한 전환법을 활용해서 킬로와트시로 전환해보자.
    • 설정값을 변경하는 법을 잘 모른다면 전력 미터기의 설명서를 잘 읽고 사용한다.
  4. 더 오랫동안 전자기기를 전력 미터기에 꽂아둘수록 정확한 값이 측정된다.
  5. 미터기로 측정한 킬로와트시의 값은 전자기기가 미터기에 꽂아져있는 동안 사용한 전력값을 나타낸다. 측정된 값을 사용해서 장시간 동안 사용한 킬로와트시의 값을 구해보자.
    • 예를 들어, 전력 미터기로 5일 동안 전자기기의 사용량을 측정했다면, 30일 동안의 사용 값도 예상 가능하다. 30에서 5를 나눈 값은 6이다. 그러므로 미터기로 측정한 킬로와트시의 값에 6을 곱해보자.
    광고

  • 라벨에 와트 전력량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면, 매뉴얼을 살펴보자. 전자기기를 구매하면 대부분의 경우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안내 지침서가 들어있다. 지침서에 1년 평균 킬로와트시의 값이 표기되어있는지 찾아보자.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하는 평균값이기 때문에, 직접 계산한 것보다 더 정확할 수 있다. [5] [6] [7]
  • 다양한 전력량이 기록되어 있다면, 다양한 설정에 따른 전력 소비량이거나 최대 설정값으로 사용할 때 소모되는 전력 소비량일 가능성이 높다. [8]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62,288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