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단순포진은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크게 헤르페스 1형(HSV-1)과 헤르페스 2형(HSV-2)의 두 종류가 있다. 1형은 보통 단순포진이나 구순포진(구강 병변)을 유발하며 가끔은 성기 주변에 병변이 나타나는 성기포진을 일으키기도 한다. 2형은 성기포진을 뜻하며 특히 미국에서 가장 흔한 바이러스성 성병으로 피부와 점막 조직, 항문, 눈, 중추 신경계의 감염을 유발한다. 단순포진은 치료가 불가능하며 한 번 걸리면 평생 안고가야 하는 성병이다. [1] 만약 당신이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 같다면 이 글의 몇 가지 간단한 방법을 통해 이를 확인해보도록 하자.

파트 1
파트 1 의 3:

단순포진의 징후 알기

PDF 다운로드
  1. 성기포진이 있는지 아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성기 주변에 나타나는 병변을 확인하는 것이다. 보통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6일 전후로 이 병변이 나타난다. 만약 헤르페스 1형에 감염되었다면 입과 입술 주위에 병변이 나타날 것이며 2형에 감염되었다면 엉덩이, 허벅지, 항문, 회음부를 중심으로 병변이 생길 것이다. 여성의 경우에는 외음부, 음순, 질, 자궁경부 등의 장소에 나타날 수 있으며 남성은 음경 전체와 요도가 범위에 들어간다.
    • 처음에는 해당 부위에 붉은색의 병변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것처럼 보일 가능성이 높다. [2] 그리고 한 시간에서 며칠이 지나면서 점차 병변에서 소양증, 작열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3] .
  2. 병변이 나기 시작했다면 다른 신체적 증상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 어쩌면 두통, 피로감, 발열, 성기 주변 림프절의 붓기 등을 겪을 수도 있다(성기 바로 위와 양 옆에 있다). [4] 또한 현대 몸이 단순포진 바이러스와 대항하고 있어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바이러스성 질환을 앓게 될 수도 있다. [5] .
    • 단순포진과 같이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을 보면 독감에 걸렸을 때랑 비슷하다. 발열, 몸살, 전반적인 통증과 불편함 등이 여기 포함된다. [6]
  3. 가렵고 뜨거운 병변은 한 시간에서 며칠이 경과하면 점차 삼출성 병변으로 변화하기 시작한다(개인차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병변은 형태가 반처럼 바뀌며 고름과 비슷한 체액이 흘러나오게 된다.
    • 이때 흘러나오는 액체는 황토색에 가까우며 혈액을 미량 포함하고 있다. [7] .
  4. 시간이 더 지나면 수포가 점차 딱지지기 시작하고 그 다음으로는 병변 주변 피부가 회복하면서 새로운 피부가 돋아나게 된다. 보통 흉터도 남지 않는다. 회복까지의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포진이 얼마나 심하게 났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 여기서 설명한 증상들은 감염되고 난 후 처음 포진이 나타날 때의 것이며 이후에 발생할 것들에 비교하면 가장 심하다고 볼 수 있다. 초기 발병은 감염 후 2~6주 사이이며 이후에는 평균 한 주 주기로 병변이 나타날 수 있다. [8]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3:

의학적 진단 받기

PDF 다운로드
  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르페스로 여겨지는 바이러스의 종류에는 두 가지가 있다. 구순포진의 원인이며 종종 성기포진을 유발하는 헤르페스 1형과 [9] 주로 성기포진을 일으키는 헤르페스 2형이 그것이다. 보통 2형보다는 1형의 감염 사례가 더 많으며 미국의 경우 헤르페스 감염자의 65%가 아이 때 감염된 1형 감염자라는 통계가 있다. [10] 사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신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도 모른다. 따로 병변이 나는 것 이외의 증상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 연유로 미국에서는 매년 새로운 감염자가 수 십만 명씩 보고되고 있다. 또한 2형에 감염된 사람의 80%가 아무런 증상을 겪지 않는다고 한다. [11]
    • 단순포진은 병변 또는 바이러스로 오염된 병변 삼출액과의 접촉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전염된다. 하지만 병변이 나타나기 전의 감염되지 않은 것 같은 피부와의 접톡을 통해서도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12] 다행인 것은 피부나 점막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증상이 초기 감염 이후 10년 동안 점차 70%까지 줄어든다는 것이다. [13]
  2. 만약 단순포진으로 인한 병변이 나타난 것 같다면 바로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 정확히 진단을 받도록 하자. 일반적으로 단순포진 바이러스 검사에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검사가 쓰인다. 이 검사에서는 혈액 샘플(또는 병변이나 척수액)에서 추출한 DNA를 복제해 어떤 HSV(헤르페스 단순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를 확인한다. [14]
    • 어쩌면 바이러스 배양 검사를 받을 수도 있다. [15] 이 검사를 받게 되면 의사가 면봉으로 병변의 샘플을 채취해 페트리 접시의 배지에 바이러스를 묻히게 된다. 그리고 시간잉 지나서 바이러스가 번식하고 자라나면 의사가 이를 보고 어떤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인지를 진단내리게 된다. [16] [17] 다만 이 검사는 시간도 더 많이 걸리고 PCR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진다. [18]
    광고
파트 3
파트 3 의 3:

단순포진 다스리기

PDF 다운로드
  1.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포진을 완벽히 치료할 수 있는 약은 없다. 하지만 증상이 빨리 나을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는 있다. 단순포진이 나올 것 같다는 느낌을 받으면 바로 병원에 가서 약을 처방받도록 하자. 공식적인 진단을 한 뒤에는 의사가 바로 치료를 시작할 수 있도록 처방전을 줄 것이다. 보통 발라시클로버를 많이 처방받게 된다. [19] 만약 이번에 처음 발병한 것이라면 증상이 나타난 후 48시간 내에 약을 복용해야 하며 10일 동안 계속해서 먹어야 한다. 복용량은 증상과 환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꼭 병원에 가서 처방을 받고 의사의 지시를 잘 기억해두도록 하자. [20]
    • 일반적으로는 증상이 나타난 후 10일 동안 하루에 두 번 1,000mg을 복용하게 된다. 이후에 발생하는 증상에 대해서는 3일 동안 하루에 두 번 500mg를 복용하면 된다.
    • 1년에 9번 이상으로 단순포진이 자주 나타나는 경우에는 발라시클로버를 억제 요법의 일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발병의 징후가 나타나면 바로 약을 써서 증상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의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좋다. 이 경우에는 매일 하루에 두 번 500mg를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포진이 나타나기 전의 징후로는 해당 부위가 가렵고 따가운 것이 있다. 이 상태에서 몇 시간 또는 며칠을 방치하면 수포가 생기기 시작한다. 따라서 처음의 따갑고 뜨겁고 가려운 상태에서 약을 복용하기 시작하도록 하자. [21]
  2. [22] 비록 단순포진 증상 완화에 발라시클로버가 가장 많이 쓰이긴 하지만 그래도 이전 세대에 쓰였던 약이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이제 이 약이 자주 쓰이지 않는 이유는 복용을 비교적 자주 해야 해서 환자가 이를 지키기 힘들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시클로버는 발라시클로버보다 더 싸기 때문에 시도해볼 가치는 있다. 그리고 위와 마찬가지로 복용량이 환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의사의 도움을 받도록 하자. [23]
    • 만약 초기 발병 시에 이 약을 처방받았다면 10일 동안 하루에 5번 200mg를 경구투여하게 된다. 그리고 증상이 재발한 경우에는 5일 동안(길게는 1년까지) 하루에 2~5번 200mg를 마찬가지로 경구투여한다.
    • 아시클로버는 연고 형태로도 판매되나 경구제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니 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만 구순포진이 난 경우에는 병변 회복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연고는 일주일 동안 3시간 간격으로 발라주는 것이 좋다. [24]
  3. 팜시클로버는 다른 단순포진 증상 완화제와 마찬가지로 증상이 시작된 후 48시간 내에 처방전을 받아 복용해야 효과가 가장 좋다. [25] 복용량 역시 환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의사의 지시 사항을 잘 기억하고 이를 철저히 따르도록 하자. [26]
    • 일반적으로는 증상이 나타났을 때 하루 동안 1,000mg를 하루에 두 번 복용하면 된다. 증상의 재발을 억제하는 용도로는 하루에서 길게는 1년까지 하루에 두 번 250mg를 복용한다.
    • 일반적으로는 하루에 알약을 2회 복용하는 것으로 재발을 방지한다. 그리고 재발이 얼마나 잦냐에 따라 의사가 하루에서 길게는 1년까지 약의 복용을 권장할 수도 있다. [27]
  4. 단순포진 증상을 다스리기 위해 시도해볼 수 있는 가정 요법은 다양하게 있다. 특히 라이신이라는 아미노산의 사용이 구순포진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복용은 하루에 3번 1,000mg를 먹으면 된다. 라이신은 생선, 계란, 감자, 닭고기와 같이 라이신 함량이 높은 음식을 통해서도 추가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28]
    • 아니면 아스피린을 복용해봐도 좋다. 하지만 이를 시작하기 전에는 꼭 의사와 상의하도록 하자. 아스피린의 유효 성분 중 하나인 버드나무 껍질(willow bark)은 바이러스의 활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하루에 한 번 325mg를 복용하도록 하자.
    • 레몬밤을 병변에 직접적으로 발라볼 수도 있다. 이를 병변이 회복되기 시작할 때까지 하루에 4번씩 바르면 증상을 어느 정도 완화시켜줄 것이다. [29]
    • 조비락스 연고과 비슷한 효과를 내는 국소 아연 연고를 발라볼 수도 있다. 산화 아연 연고를 단순포진에 바르면 치유를 돕는다고 한다. 아니면 알로에 베라 젤을 병변에 발라서 회복을 가속시키고 새 피부의 성장을 촉진하자. [30]
    광고

출처

  1. A Wald, Genital HSV-1 Infections,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2005 June, 82( 3), 189-190
  2.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genital-herpes/basics/symptoms/con-20020893
  3. Beauman, John G. and MC Maj, Genital Herpes: A Review. Am Fam Physician. 2005 Oct 15, 72(8): 1527-1534
  4.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imagepages/9000.htm
  5. Beauman, John G. and MC Maj, Genital Herpes: A Review. Am Fam Physician. 2005 Oct 15, 72(8): 1527-1534
  6. http://www.healthgrades.com/conditions/viral-diseases
  7. Beauman, John G. and MC Maj, Genital Herpes: A Review. Am Fam Physician. 2005 Oct 15, 72(8): 1527-1534
  8. Beauman, John G. and MC Maj, Genital Herpes: A Review. Am Fam Physician. 2005 Oct 15, 72(8): 1527-1534
  9. http://www.cdc.gov/std/herpes/stdfact-herpes-detailed.htm
  1. http://www.ncbi.nlm.nih.gov/books/NBK47447/
  2.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821875_3
  3. http://www.cdc.gov/std/herpes/stdfact-herpes-detailed.htm
  4.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821875_3
  5.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genital-herpes/basics/tests-diagnosis/con-20020893
  6. http://www.cdc.gov/std/herpes/stdfact-herpes-detailed.htm
  7. Beauman, John G. and MC Maj, Genital Herpes: A Review. Am Fam Physician. 2005 Oct 15, 72(8): 1527-1534
  8. http://www.cdc.gov/std/herpes/stdfact-herpes-detailed.htm
  9. http://www.cdc.gov/std/herpes/stdfact-herpes-detailed.htm
  10.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genital-herpes/basics/treatment/con-20020893
  11. http://www.mayoclinic.org/drugs-supplements/valacyclovir-oral-route/proper-use/drg-20066635
  12. Simmons, Anthon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Considerations of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02 186, Sup 1, S71- S77
  13.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genital-herpes/basics/treatment/con-20020893
  14. http://www.mayoclinic.org/drugs-supplements/acyclovir-oral-route-intravenous-route/proper-use/drg-20068393
  15. Simmons, Anthon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Considerations of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02 186, Sup 1, S71- S77
  16.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genital-herpes/basics/treatment/con-20020893
  17. http://www.mayoclinic.org/drugs-supplements/famciclovir-oral-route/proper-use/drg-20063776
  18. http://www.nlm.nih.gov/medlineplus/druginfo/meds/a694038.html
  19. http://umm.edu/health/medical/altmed/condition/herpes-simplex-virus
  20. http://umm.edu/health/medical/altmed/condition/herpes-simplex-virus
  21. Beauman, John G. and MC Maj, Genital Herpes: A Review. Am Fam Physician. 2005 Oct 15, 72(8): 1527-1534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4,902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