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삼각형의 둘레라는 것은 삼각형을 구성하는 세 변의 길이의 합을 의미한다. [1]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생각했을 때는 세 변의 길이를 다 더하면 되겠지만 사실 문제에서 세 변의 길이를 주고 둘레를 구하라고는 하지 않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가장 먼저 세 변의 길이를 모두 알고 있을 때 쉽고 간단하게 둘레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배울 것이다. 그 다음에는 직각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를 알 때 둘레 길이를 구하는 방법을 배울 것이며, 마지막으로 두 변의 길이와 그 사이각을 알 때 코사인 법칙을 이용해 둘레 길이를 구하는 법을 알아볼 것이다.

방법 1
방법 1 의 3:

세 변의 길이를 다 알고 있을 때 둘레 구하기

PDF 다운로드
  1.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각각 a , b , c 라고 하면 둘레 P 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P = a + b + c .
    • 이 공식을 간단히 말로 풀어보자면 둘레 길이가 세 변의 길이의 합이라는 뜻이다.
  2. 이 예시에서는 변 a 의 길이 = 5 , 변 b 의 길이 = 5 , 변 c 의 길이 = 5 로 가정하고 문제를 풀 것이다.
    • 즉, 이 예시에서 사용하는 삼각형은 정삼각형이다. 세 변의 길이가 같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삼각형이 아니더라도 위 공식은 동일하다는 점을 기억하도록 하자.
  3. 이 예시에서는 5 + 5 + 5 = 15 이 될 것이다. 즉, P = 15 이다.
    • 다른 예시를 살펴보자. 여기서는 a = 4 , b = 3 , c=5 이다. 따라서 둘레의 길이는 P = 3 + 4 + 5 , 또는 12 가 된다.
  4. 삼각형의 단위가 cm로 나와있었다면 둘레 길이도 cm로 적어야 한다.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해 쓰인 단위랑 동일하게 둘레 길이의 단위를 적도록 하자.
    • 이 예시에서 각 변의 길이를 5cm라고 했다면 올바른 답안은 둘레길이 = 15cm가 될 것이다.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3:

직각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를 알 때 둘레 길이 구하기

PDF 다운로드
  1. 직각 삼각형은 삼각형의 각도 하나가 90도인 삼각형을 의미한다. 그리고 90도인 각도와 마주보는 변은 항상 삼각형의 세 변 중 가장 긴 변이다. 이를 빗변이라고 부른다. 직각 삼각형은 수학 시험에도 자주 나오며 쉽게 공식을 사용해 모르는 변의 길이를 구해볼 수 있다.
  2. 피타고라스의 공식은 직각 삼각형의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를 a와 b라고 했을 때 빗변의 길이 c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 2 + b 2 = c 2 . [2]
  3. 가장 긴 변이 빗변 c라는 점을 기억하도록 하자. 빗변은 직각을 마주보는 변이다. 나머지 두 변은 대충 a , b 라고 적으면 된다. 사실 a와 b는 바뀌어도 상관이 없다. 결과는 어차피 똑같게 나올 것이다.
  4. 공식 a 2 + b 2 = c 2 에 위에서 정한 a, b의 길이를 넣도록 하자.
    • 예를 들어 a = 3 이고 b = 4 라면 이를 공식에 넣었을 때 다음처럼 될 것이다: 3 2 + 4 2 = c 2 .
    • 만약 a = 6 이고 c = 10 이라면 이를 공식에 대입해 다음처럼 쓸 수 있을 것이다: 6 2 + b 2 = 10 2 .
  5. 먼저 알고 있는 변의 길이를 제곱해야 한다. 제곱이라는 것은 같은 숫자를 곱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3 2 = 3 * 3 = 9가 된다). 빗변을 구하려고 한다면 제곱한 두 값을 더한 뒤 그 값의 제곱근을 구하면 된다. 그리고 직각을 낀 한 변의 길이를 모른다면 간단한 뺄셈을 한 뒤 제곱근을 구하면 된다.
    • 일단 첫 번째 예시에서는 3 2 + 4 2 = c 2 를 계산해 25= c 2 가 나오게 된다. 이제 25에 루트를 씌워 제곱근을 찾으면 된다. 그러면 c = 5 가 된다.
    • 두 번째 예시에서는 6 2 + b 2 = 10 2 를 계산해 36 + b 2 = 100 를 얻었을 것이다. 이제 양변에서 36을 빼 식을 정리하면 b 2 = 64 가 될 것이고 64의 제곱근을 구하면 다음처럼 계산이 끝난다: b = 8 .
  6. 둘레 길이 공식이 P = a + b + c 라는 점은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이제 막 구한 세 변의 길이 a , b , c 를 더하기만 하면 된다.
    • 첫 번째 예시의 둘레 길이는 P = 3 + 4 + 5 또는 12 가 된다.
    • 두 번째 예시의 둘레 길이는 P = 6 + 8 + 10 또는 24 가 된다.
    광고
방법 3
방법 3 의 3:

코사인 법칙을 사용해 삼각형의 둘레 구하기

PDF 다운로드
  1. 코사인 법칙은 두 변의 길이와 그 사이각을 알 때 삼각형에 대한 나머지 정보를 알게 해주는 아주 유용한 공식이다. 코사인 법칙에서는 변 a , b , c 와 그 변을 마주보는 각인 A , B , C 를 가진 삼각형에 대해 다음 공식이 성립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c 2 = a 2 + b 2 - 2ab cos (C) . [3] [4]
  2. 길이를 아는 첫 번째 변을 a 로 지정했다면 그 변을 마주보는 각도는 A 가 된다. 그러면 길이를 아는 두 번째 변은 b 가 되고 그 변을 마주보는 각도는 B 가 된다. 이제 마지막으로 알고 있는 각이 C 가 될 것이며, 길이를 모르는 변이 c 가 된다.
    • 예를 들어 두 변의 길이가 각각 10과 12이며 그 변의 사이각이 97도인 삼각형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다음처럼 문자를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 a = 10 , b = 12 , C = 97°.
  3. 먼저 a와 b의 제곱을 구해 더하도록 한다. 이후 각도 C의 코사인값을 계산기로 구하면 된다. 계산은 인터넷이나 컴퓨터, 핸드폰, 계산기 등 다양한 도구를 쓰면 된다. [5] 이제 구한 코사인값 cos (C) 2ab 를 곱하고 아까 앞에서 계산한 a 2 + b 2 값을 빼도록 한다. 그러면 c 2 가 나올 것이다. 이제 이 값의 제곱근을 구하면 변 c 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예시를 살펴보자:
    • c 2 = 10 2 + 12 2 - 2 × 10 × 12 × cos (97) .
    • c 2 = 100 + 144 – (240 × -0.12187) (코사인값을 소수점 다섯째 자리로 반올림한다.)
    • c 2 = 244 – (-29.25)
    • c 2 = 244 + 29.25 (코사인값이 음수라면 - 부호를 제대로 붙여주도록 한다)
    • c 2 = 273.25
    • c = 16.53
  4. 삼각형의 둘레는 P = a + b + c 이다. 따라서 구한 값 c 를 이미 아는 값 a , b 와 합치기만 하면 된다.
    • 우리 예시에서는: 10 + 12 + 16.53 = 38.53 로 둘레값이 나올 것이다.
    광고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34,984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