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투자나 대출을 분석할 때 실제 비용 또는 실제 수익률을 정확히 알기가 어렵다. 대출 이자율이나 수익률을 설명하는 용어는 연 수익률, 연이율, 실효금리, 명목금리 등 매우 다양하다. 이 중에서도 대출의 실제 비용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에 가장 유용한 개념은 실효금리이다. 대출의 실효금리를 계산하려면 대출 조건을 이해한 후 간단한 계산을 거치면 된다.

파트 1
파트 1 의 2:

필요한 정보 수집

PDF 다운로드
  1. 실효금리는 대출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담아내려는 개념이다. 실효금리는 명목금리 혹은 표면금리에서는 고려하지 않는 복리 효과를 포함한다. [1]
    • 예를 들어, 매달 10% 복리인 대출이라면 매달 이자가 쌓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10%보다 높은 금리를 가지고 있다.
    • 융자수수료와 같은 일회성 수수료는 실효금리 계산 시에 포함되지 않는다. 단, 연이율 계산 시에는 일회성 수수료가 포함된다.
  2. 표면금리(명목금리)는 % 단위로 표기된다. [2]
    • 표면금리는 일반적으로 “헤드라인” 금리를 말한다. 보통 대출 기관이 지급할 이자율로서 명시해 놓은 금리를 지칭한다.
  3. 3
    대출의 복리 기간 수를 파악한다. 복리 기간에는 월 복리, 분기 복리, 연 복리 또는 연속 복리 등이 있으며, 이자가 얼마나 자주 적용되는지를 의미한다.
    • 일반적으로는 월 복리가 적용된다. 확실히 하려면 대출 기관에 문의해보는 것도 좋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실효금리 계산하기

PDF 다운로드
  1. 실효금리는 다음과 같이 매우 간단한 공식을 통해서 도출된다. r = (1 + i/n)^n - 1.
    • 이 공식에서 r은 실효금리, i는 표면금리, n은 연간 복리 기간의 수를 의미한다.
  2. 표면금리가 매달 5% 복리인 대출을 공식에 대입하면 실효금리는 r = (1 + 0.05/12)^12 – 1, 즉 5.12%가 도출된다. 동일한 대출이 일 복리인 경우라면 r = (1 + 0.05/365)^365 - 1, 즉 5.13%가 도출된다. 실효금리는 언제나 명목금리보다 높다는 점을 기억하자.
  3. 연속 복리가 적용된다면 실효금리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r = e^i – 1 라는 공식을 이용한다. 여기서 r은 실효금리, i는 표면금리, e는 상수 2.718이다.
  4. 예를 들어 명목금리 9%를 연속 복리로 대출 받았다면 공식에 따라 r = 2.718^0.09 – 1, 즉 9.417%가 도출된다.
    광고

  • 실효금리를 빠른 속도로 계산해주는 온라인 계산기들이 많다. 또한 엑셀의 EFFECT 함수를 이용해도 명목금리와 복리 기간 수에 맞추어 실효금리를 계산할 수 있다.
광고

필요한 것

  • 연필
  • 종이
  • 계산기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16,019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