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세상에 울지 않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남성보다 여성이 더 자주 운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1] 실제로 우는 여성과 조우했을 때 당신이 취할 수 있는 방법은 상대방과의 관계(배우자, 애인, 단순한 친구, 직장동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결국 상대방의 기분을 더 좋게 만들어주고자 하는 공통점이 존재하게 된다. 게다가 우는 사람을 달래는 것은 상대방과의 유대감을 쌓게 도와주기도 하며 상대방 뿐만이 아닌 당신의 기분까지 좋게 만들어줄 수 있다. [2]

방법 1
방법 1 의 2:

연인 또는 가까운 친구일 때

PDF 다운로드
  1. 여성이 우는 이유는 무수히 많을 수 있다. 누군가를 잃어 슬퍼하고 있을 수도 있고, 스트레스를 받았을 수도 있으며, 아프거나 기쁨에 겨워 울고 있을 수도 있다. [3] 일단 달래는 과정으로 넘어가기 전에 상황을 이해하고 당신이 그녀를 달래는 것이 적절할지 평가해보도록 한다. 어쩌면 당신이 상대방을 달래기에 적합한 사람이 아닐 수도 있다:
    • 당신이 그녀와 같은 상황에 영향을 받아 감정적으로 변한 상태일 수도 있다. 당신이 그녀를 울린 그 상황에 충격을 받았거나, 상처를 입었거나,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면 그녀를 도울 수 있는 입장이 아닐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당신과 그녀 양쪽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을 찾아보는 것이 좋다. [4]
    • 그녀가 기쁨에 겨워 울고 있을 수도 있다. 기쁠 때 사람이 우는 이유에 대해 아직 과학자들이 이유를 명확히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어떤 사람이 행복으로 충반했을 때는 스스로의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고 울기 시작할 수도 있다. 이는 슬플 때 또는 무서울 때와 마찬가지라 볼 수 있다. [5] 이런 경우에는 연인이나 친구에게 축하의 말을 전하는 것이 달래는 것보다 적절할 것이다.
    • 이제 그녀가 당신과 싸워서 울고 있는 경우를 알아보도록 하자. 이런 경우에는 그녀를 달래기 전에 스스로를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 다시 말다툼을 시작하고 싶지는 않을 것 아닌가.
  2. 당신에게 그녀를 위로하지 않아도 될 아주 좋은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여성이 울고 있을 때 달래주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울고 있는 사람을 방치하거나 무시하는 것은 상대방의 정신적 건강 및 행복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6] 게다가 상대방을 위로하기로 결정했다는 것 자체가 상대방에게 눈물로부터 빨리 회복할 수 있는 힘을 주기도 하며, 그녀와 당신과의 관계를 더 굳건하게 만들어줄 수도 있다. [7]
  3. 상대방의 말을 듣는 것의 중요성은 지나치게 강조해도 모자라지 않다. 눈물은 소통의 중요한 한 부분이다. 따라서 그녀가 눈물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8] 우는 상대방이 말하는 것을 언어로 재확인시키는 것과 상대방의 말을 방해하지 않는 방법들을 동원해서 적극적으로 듣는 자세를 취해보도록 하자. [9]
    • 특히 조심할 것은 대화의 주체를 당신 자신으로 되돌리지 않는 것이다. 당신은 현재 우는 상대방을 달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당신에 대한 것은 잊도록 하라. 그녀가 당신처럼 행동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녀가 위로를 받을 가치가 없다는 것이 아니다. 그녀도 당신과 같은 사람이고 슬퍼할 권리가 있다. [10]
    • 피해야 할 대사를 몇 가지 알아보도록 하자: "내가 네 입장이었다면...", "혹시 이건 시도해봤어?", "내가 그 일을 겪었을 때는 너처럼 큰 문제로 끌고 가지 않았어."
  4. 눈물은 고통스러운 일에 의해 나오기 시작했다 하더라도 긍정적이거나 좋은 행동이 될 수 있다. 우는 행위는 슬프거나 스트레스를 받은 사람에게 감정적, 물리적인 배출구가 되어준다. [11] 감정을 쌓아두는 것은 회복할 여지를 막아버린다. 따라서 불편한 기분을 느끼더라도 그녀가 충분히 울 수 있도록 시간을 주도록 하자. 아마 그녀도 울고 나면 어느 정도 기분이 나아질 것이다.
    • 일반적으로 우는 상대를 향해 명령하거나 부정적인 언어 사용, 요구조의 표현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울지 마", "슬플 필요가 없어", "그것도 나쁘지는 않잖아"와 같은 식의 말은 지양하도록 한다.
    • 예외적으로 우울증이나 심각한 불안 장애 등의 정신 질환을 겪는 사람들은 울고 나서 더 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 [12] 만약 상대방이 정신적인 문제로 울고 있다고 한다면 먼저 그녀를 격려하면서 위로해주도록 한다. 동시에 병원에 가서 필요한 치료를 받아보자고 제안해야 할 것이다. [13]
  5. 그녀의 고통을 인정하고 동정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당신 역시 그녀의 아픔을 이해한다는 뜻을 전달하도록 하라. [14] 다음과 같은 문장을 말해보도록 하자:
    • "정말 화났겠다... 이런 일이 일어나다니 내가 다 미안해..."
    • "정말 마음이 아프겠구나. 나도 이해해."
    • "진짜 답답하겠다. 미안해."
    • "너가 화난 게 당연하네. 정말 힘든 상황이었구나."
    • "그런 일이 일어났다니 정말 미안해."
  6. 울고 있는 사람은 언어적 소통보다 비언어적 신호를 통해 더 쉽게 위로의 뜻을 받아들이곤 한다. 상대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거나, 시선을 마주치거나, 적절한 표정을 보이거나, 앞으로 몸을 기울이는 등의 행동은 당신이 그녀를 걱정하고 있으며 그녀를 소중히 생각한다는 의미를 전달하게 도와준다. [15]
    • 울고 있는 상대방에게 티슈를 건네는 것과 같은 행동 역시 하나의 배려하는 제스처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하지만 상대방에게 그만 울었으면 좋겠다는 뜻을 전달하는 신호가 될 수도 있다. [16] 따라서 상대방이 휴지나 티슈를 필요로 하는 것이 느껴질 때만 건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7. 어떤 사람들은 물리적 접촉에 의해 편안함을 느끼고 위로를 받는다. 그리고 또 어떤 사람들은 타인과의 접촉에서 불안감과 초조함을 느낀다. [17] 따라서 상대방이 포옹과 같은 가벼운 스킨십을 받아들일 것을 알고 있다면 이를 제안해볼 수 있다. 포옹은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한다. [18] 포옹 이외의 다른 적절한 신체적 접촉은 어깨나 손을 어루만지거나, 머리카락을 쓸어주는 것, 이마에 키스를 하는 등의 행위가 있다. 하지만 상대방의 선호도, 그리고 상대방과 맺고 있는 관계의 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항상 상대방의 신호에 맞춰서 적절한 행동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그녀가 당신에게 하지 말라고 부탁하면 그대로 따르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한다.
    • 먼저 상대방의 보디 랭귀지를 유심히 관찰해서 위로를 위한 신체적 접촉이 괜찮을지 판단하도록 한다. 만약 상대방이 팔장을 끼거나, 다리를 꼬았거나, 시선을 회피하거나, 주먹을 꽉 쥐고 있다면 방어적인 보디 랭귀지로 인식하고 신체적 접촉을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다. [19]
  8. 이 문제와 관련해서는 상대방이 주도권을 쥐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보통 상대방을 위로하는 과정에서는 당신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상황을 이끌려고 하기가 쉽다. 하지만 그러면 상황만 악화된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상대 여성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고방식보다는 그녀의 고통과 슬픔을 소화하기 위해 도와줄 수 있는 점을 생각하는 사고방식을 취하라. [20]
    • 당신이 그녀를 도와주기 위해 같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하되 강제적으로 밀어붙이지 않는다. 그녀 입장에서는 도움이라는 것을 슬플 때 단순히 같이 얘기를 나눠주는 정도로 인식할 수도 있다. 실제로 누군가를 달랠 때는 상대방의 말을 가만히 들어주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 경우가 많다. [21]
    • 그녀를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에 대한 열린 질문을 해보도록 한다. 예를 들면 "내가 도와줄 수 있는 게 있을까?" 혹은 "정말 돕고 싶은데, 혹시 지금 상황을 풀기 위해서 생각나는 방법이 있니?"와 같은 방식의 질문을 하면 처음에 어떤 도움을 주는 것에서부터 시작할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 몇몇 경우에는 상대방이 너무 흥분했거나 감정적인 상태라서 어떤 도움이 적절할지 제시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때는 당신이 먼저 그녀를 달랠 수 있을 법한 몇 가지 안을 제시해보도록 한다.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을 같이 먹으러 나가자고 하거나, 나중에 같이 영화를 보자고 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제안을 한 뒤에 당신의 제안을 그녀가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지 확인해보도록 한다. [22]
  9.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녀를 돕고자 하는 것이 처음의 목적이 아닐지라도 그녀의 고통을 경감시켜주기 위해 할 수 있는 구체적이거나 분명한 몇 가지 일들이 존재할 수는 있다. [23] 만약 당신이 그녀의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다면 --또는 그녀가 당신의 그런 도움을 원한다면-- 그녀에게 먼저 나서서 제안을 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24]
    • 예를 들어 그녀가 직장에서 받은 스트레스로 울고 있다면 집안일을 도와주거나 그녀가 스스로의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는 것과 같은 도움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그녀가 친구와 싸워서 울고 있다면, 그 관계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의논해볼 수 있을 것이다. 각 상황에 맞는 여러 방법들을 폭넓게 고려해보도록 한다.
  10. 그녀가 운 뒤에는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그녀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살펴보면서 괜찮은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다만 너무 사생활을 침해하려 해서는 안될 것이다. 단순히 커피를 마시자고 하거나, 요즘 어떻게 지내냐고 물어보는 것, 또는 평소보다 자주 전화하는 것 등의 행위가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25] 아마 이런 도움을 통해 그녀가 빨리 회복할 수 있게 도울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래도 슬픔을 완전히 극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그녀에게 꾸준히 격려하고 아끼는 모습을 보이도록 하자.
  11.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그로 인해 당신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우울해질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상대방을 위로하면서도 자신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26]
    광고
방법 2
방법 2 의 2:

지인이나 직장 동료 위로하기

PDF 다운로드
  1.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모르는 사람, 직장 동료, 지인의 앞이 아닌 친하고 이미 잘 알고 있는 사람 앞에서 우는 것을 선호한다. [27] 만약 당신이 상대방 여성과 그다지 친하지 않은데도 그녀가 당신 앞에서 울고 있다면, 상당한 스트레스 및 고통을 받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동정심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 최대한 상대의 공포, 공황 상태, 짜증이 아닌 근본적인 감정 및 원인에 공감대를 형성해보도록 하자. [28]
  2. 그녀가 우는 동안 당신이 주변에 있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그 소원을 들어주도록 하라. 그녀에게 "그만 울라"고 강제하거나 제안하지 않도록 한다. 우는 것은 기본적으로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신체적 반응이다. 또한 우는 것을 통해 사람은 스트레스와 고통을 완화할 수 있다. [29]
    • 직장에서 눈물을 보인다고 해서 비전문적인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로 울곤 한다. [30]
    • 그녀가 부끄러워하는 것 같다면 "울어도 괜찮아요" 또는 "세상에 안 우는 사람도 없는데 울어도 괜찮아요. 전혀 부끄러운 게 아니에요!"와 같은 문장으로 괜찮다는 뜻을 전달하도록 하자.
  3. 그녀가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잘 모르고 있다면, 굳이 당신에 대해 자세히 알려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당신이 그녀의 말을 잘 들어줄 수 있는 사람이라는 점을 알려주는 것은 양측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녀가 괜찮아 한다면 언제든 이야기를 들어줄 수 있는 준비가 되어있음을 몸짓과 질문으로 보여주자. [31]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말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 "제가 그냥 직장 동료인 건 알지만, 말할 사람이 없다면 기꺼이 얘기를 들어줄 수는 있어요. 혹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려줄래요?"
    • "뭔가 어렵고 힘든 일이 있으면 언제든지 와서 알려주세요."
    • "혹시 도와줄 수 있는 일이 있나요? 꼭 일 문제가 아니더라도 괜찮아요. 도움이 된다면 기쁘게 들을게요."
  4. 그녀가 당신에게 문제를 털어놓기로 결심했다면 그에 부응해 적극적으로 그녀의 이야기를 들어주도록 하자.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으니 참고한다: 제안을 하거나 상대방의 이야기에 끼어들지 않기, 그녀가 말한 내용을 이해했다는 확신이 들면 질문하기, 시선 마주치기, 산만해지지 않기. [32]
  5. 공감을 표함으로써 인간미를 보여주는 대신 직장 동료라는 선을 넘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한다. 이 사건이 지나간 뒤에도 그녀와 동료인 관계를 이어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 예를 들어 그녀가 부탁하지도 않았는데 포옹을 해도 괜찮냐고 물어보는 것과 같은 행위는 피하도록 한다. 또한 회사 밖에서 그녀의 상태를 확인하고 싶다면, 먼저 그녀에게 그래도 괜찮겠냐고 물어보는 것이 적절하다.
  6. 어쩌면 당신의 직장 동료는 회사에서 받는 스트레스로 인해 울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혹은 그녀가 일에 집중하기 힘들게 만드는 개인적인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이 두 경우에 당신이 전문적으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입장에 있다면, 그녀가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33]
    • 예를 들어 그녀가 어려운 업무를 해결할 수 있게 계획을 세우도록 도와주거나, 휴가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들을 생각해볼 수 있겠다.
    • 그녀가 원할 때만 행동하도록 한다. 그녀를 돕는 과정에서 당신의 기준으로 최선책이라 생각되는 것을 해결안으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 그녀가 당신의 도움을 바라지 않거나, 당신이 생각하는 것과 다른 형태의 도움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하자. 이런 상황에서 도움을 주는 것은 상태를 악화시키기만 할 것이다.
    • 개인적인 일을 너무 깊게 파고들지 않도록 한다. 당신이 직장 동료의 사생활까지 침해하면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당신이 그녀를 잘 모르는데 어떻게 그녀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 수 있겠는가? 그냥 그녀 옆에서 이야기를 들어주면서 위로하도록 하라. 또한 직장 동료라는 선을 지키도록 노력하라.
    • 그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없다면, 사과를 하고 그녀에게 도움을 주기 힘들 것 같다고 말하도록 하자. 그리고 그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을 알고 있다면, 그녀에게 연락처를 제공하고 가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말해보도록 한다.
    광고

  • 어떤 상황이든, 우는 여성을 달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공감을 보이고 상대의 말을 경청하는 것이다. 물론 저녁을 사거나, 커피를 사거나, 영화를 보러 가는 것과 같은 다른 행동들이 더 뛰어난 효과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래도 당신의 관심과 존재감이 상대방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이 된다는 사실을 잊지 않도록 한다.
  • 우는 것은 고쳐야 할 문제가 아니라 들어줘야 할 소통의 한 가지 방식이다. [34]
  • 상대방의 울음이 주변 사람들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도 상대방에게 필요한 사랑과 관심을 주어서 그 불편함을 해결해나가는 방법을 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광고

경고

  • 우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우 건강한 행동이지만, 불안 장애, 공포증, 우울증 등 심각한 정신 질환의 신호일 가능성도 있다. 만약 그녀가 위로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계속해서 울기만 한다면 전문 상담사에게 가서 말해볼 것을 제안해보자. [35]
  • 우는 사람을 달래는 것은 매우 긍정적이고 건강하며 배려심 넘치는 행동이다. 다만 가끔은 그 대가가 되돌아올 수도 있다. 만약 당신이 누군가를 위로하는 것에서 불편함이나 고통을 느낀다면, 당신을 사랑하는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를 관리하도록 하자. [36]
광고
  1. http://www.prevention.com/sex/friendship/be-better-friend-these-tips-offering-comfort
  2.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035568/
  3. http://www.webmd.com/balance/features/why-we-cry-the-truth-about-tearing-up?page=3
  4. http://www.depressionalliance.org/information/day-day-support
  5. http://www.helpguide.org/articles/grief-loss/supporting-a-grieving-person.htm
  6. http://positivepsychologynews.com/news/denise-clegg/200910214134
  7. http://elderflowergroup.com/2014/10/29/do-you-hand-people-tissues-when-they-cry-you-shouldnt/
  8. http://www.redcross.org.uk/What-we-do/Teaching-resources/Teacher-briefings/Emotional-support
  9. http://www.huffingtonpost.com/2013/01/25/hugging-health-valentines-day_n_2545226.html
  10. http://www.improveyoursocialskills.com/body-language/discomfort-field-guide
  11. http://caps.ucsc.edu/pdf/responding-to-distress.pdf
  12. http://articles.latimes.com/2013/apr/07/opinion/la-oe-0407-silk-ring-theory-20130407
  13. http://www.womansday.com/relationships/family-friends/tips/a8666/comfort-a-grieving-friend/
  14. https://nvl002.nivel.nl/postprint/PPpp4923.pdf
  15. https://www.st-andrews.ac.uk/staff/wellbeing/support/difficultsituations/distress/
  16. http://www.depressionalliance.org/information/advice-family-and-friends
  17. https://www.st-andrews.ac.uk/staff/wellbeing/support/difficultsituations/distress/
  18. https://nvl002.nivel.nl/postprint/PPpp4923.pdf
  19. https://hbr.org/2015/05/why-people-cry-at-work
  20. http://www.huffingtonpost.com/brooke-siler/stress-relief-why-crying_b_629309.html
  21. https://hbr.org/2013/06/what-to-do-when-an-employee-cries-at-work
  22. https://hbr.org/2013/06/what-to-do-when-an-employee-cries-at-work
  23. http://psychcentral.com/lib/become-a-better-listener-active-listening/
  24. https://hbr.org/2013/06/what-to-do-when-an-employee-cries-at-work
  25. http://www.apa.org/monitor/2014/02/cry.aspx
  26. http://www.depressionalliance.org/information/day-day-support
  27. https://www.st-andrews.ac.uk/staff/wellbeing/support/difficultsituations/distress/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26,851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