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슬픔을 참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많은 경우 사람들은 슬픔을 잊기 위해 무슨 짓이든 하려고 한다. 이 말은 슬픔이란 필요한 감정으로 인식되고 있지 않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슬픔이란 삶의 어려운 순간이나 누군가와 헤어졌을 때 느끼는 소중하고 당연한 감정이다. 슬픔을 느낀다는 것은 자신이 뭔가를 잃어 버렸다는 의미이며, 스트레스를 주는 뭔가를 찾아 변화를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슬픔을 피하려 하지 말자. 그 대신 인식하고 넘어 서려고 하자. [1]

파트 1
파트 1 의 2:

자신의 슬픔에 대해 이해하기

PDF 다운로드
  1. 슬픔이란 부정적이거나 원하지 않았던 결과를 포함하는 모든 상실에 대한 자연적인 반응이다. 여기에서 상실이란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자신의 정체성이나 소유했던 물건을 잃어 버리는 것 등이 포함한다. 슬픔은 이러한 상실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다.
    • 예를 들어, 동료가 이직을 하면 슬플 수 있는데, 우정을 나누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 원하던 대학에 가지 못했을 때에도 슬퍼질 수 있다. 원하는 결과나 미래를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2]
  2. 슬픔만이 지금 겪고 있는 감정의 뿌리일 수 있다. 감정의 뿌리는 현재 겪고 있는 감정의 원인이 무엇인지 나타낸다. 흔한 예로는 화를 내고 있지만 사실은 슬픔에 잠겨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다른 감정의 예로는 남 탓하기, 부끄러움, 질투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감정들은 슬픔을 불러일으키는 상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3]
    • 예를 들어, 상실감 때문에 다른 사람을 탓할 수 있다. 자신의 탓이라면 부끄러움을 느낄 수도 있다. 지금 슬픔을 느끼고 있다면, 책망하거나 부끄러움을 느끼는 감정들은 꼭 해결해야 할 감정의 뿌리일 것이다.
  3. 슬픔이 우울증의 증상이긴 하지만, 슬픔과 우울증은 다르다. 이 두 단어가 자주 잘못 사용되기 때문에 핵심적인 차이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다음은 두 단어의 의미와 증상이다. [4] [5] [6]
    • 우울증: 우울증은 슬픔 같은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에 대해 심신을 약화시키는 정상적이지 않은 반응을 의미한다. 슬픔보다 증상이 훨씬 더 심각한데, 한 때 좋아했던 것들에 대해 관심을 잃거나, 짜증, 불안, 성욕 감퇴, 집중력 저하, 수면 패턴 변화, 만성 피로와 같은 증상이 있다. 우울증은 몇 달 동안 지속될 수 있다. [7] 또한 우울증은 치료가 필요하다. 가만 놔 두면 더 악화되기 때문이다.
    • 슬픔: 슬픔은 잠깐 있을 수도 있고,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지속된다. 헤어짐, 실직 또는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등으로 인해 생기는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슬픔을 느낀다 해도 괜찮다. 우리의 목표는 자신의 슬픔을 인식하고 거기에서 멈추지 않는 것이다.
  4. 상실로 인해 비탄에 빠지는 등, 크게 괴롭게 느껴질 수 있다. 이러한 괴로움은 단순한 슬픔보다 오랜 시간 지속되며, 일상 생활에 감정적, 인지적 영향을 끼친다. [8] 또한 슬픔으로 인한 괴로움은 상실감을 이겨내고 잃어 버린 것을 잊고 새 삶에 적응하는 과정이다. 이런 반응은 사람마다 다르며 슬픔 이전에 일어난다. 상실을 겪은 후, 부정, 고립, 분노, 기대, 슬픔, 수용 같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된다. [9] 사람마다 슬픔으로 인한 고통과 괴로움을 겪는 방법은 다르다. 따라서 자신의 감정이 유효한 반응인지 인식해야 한다.
    • 슬픔으로 인한 고통은 누군가의 죽음으로부터만 오는 것이 아니다. 실직, 손실,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 버리는 것, 미래의 불확실함 등을 통해서도 온다. [10]
  5. 둘 사이에는 (축 처진 감정, 슬픔, 사회 활동을 피하는 것 같은) 공통적인 증상이 있지만, 매우 중요한 차이가 있다. 우울증의 경우 자존감에 영향을 끼치며 슬픔이 지속된다는 것이다. 슬픔으로 인한 고통을 겪는 경우에는 자신이 쓸모 없다거나 상황과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슬픈 감정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적으로 줄어든다. 슬픔으로 괴로워한다고 해도 자살을 생각한다거나, 불면증이 온다거나, 불안감이 증가한다거나, 무기력한 것 같은 우울증의 흔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슬픔으로 괴로워하는 사람도 (상실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 같은) 행복을 경험할 수 있지만, 우울증을 겪는 사람은 그런 것이 불가능하다. [11] [12]
    • 연구에 따르면, 슬픔으로 인한 고통을 겪기 전에 우울증을 앓은 사람은, 상실을 경험한 후에 1년이 지난 후에도 훨씬 더 심한 우울증의 증상을 보인다고 한다. 이 말은 우울한 상황 때문에 고통 받는다는 것이 아니라 우울증이 슬픔으로 인한 고통 때문에 심화되었다는 뜻이다. [13]
  6. 슬픔은 뭔가를 잃어버렸을 때 발현하기 때문에,결국 좋은 것들에 감사할 수 있게 해준다. 슬픔은 또한 가족이나 친구들로부터 도움을 받게 해 줄 수 있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누군가가 슬퍼한다면 그의 친구나 가족은 지원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하자. 슬픔은 인생의 목표나 가치를 다시 검토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하고, 좀 더 인생을 즐길 수 있게 되기도 한다. [14] [15] [16] [17]
    • 예를 들어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다면, 단연 슬플 것이다. 하지만 그 사람과 보낸 행복한 시간을 기억하게 될 것이다.
    광고
파트 2
파트 2 의 2:

슬픔을 넘어서는 법

PDF 다운로드
  1. 내 안의 슬픔을 허락하자. 그것을 꼭 넘어서야 한다고 생각하지 말자. 그러면 슬픔을 피하려고만 하게 되고, 다른 경험, 감정, 기회 등을 겪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슬픔을 두려워만 한다면, 실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연극의 배역을 맡거나 새로운 직장에 면접 보러 가는 것을 시도조차 하지 않을 것이다. 슬픔에는 뭔가를 잃어 버렸거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목적이 있음을 잊지 말자. [18]
    • 슬퍼하지 않으려면 한다면 다음과 같이 써보고 크게 말해 보자.
      • 나는 ~~할 때 슬프다. 하지만 그래도 괜찮다.
      • ~~ 때문에 슬퍼도 괜찮다.
  2.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억누르거나 다른 사람이 그것을 억누르게 하지 말자. 슬퍼해도 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다른 사람이 위로해줄 때 그것이 위로가 되지 않고 오히려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게 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19] [20] 그렇다고 다른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결정하게 하지 말자.
    • 예를 들어, "실직했으니, 이제는 자유 시간을 즐길 수 있겠네"처럼 다른 사람이 슬픈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부분을 지적할 수 있다. 이 때에는 "내 기분을 좋게 해 주려는 것은 알아. 하지만 이 직장은 무척 중요한 곳이었어. 자유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지 생각하기 전에 우선은 잃어버린 직장에 대해 생각해 볼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 처럼 차분히 친구에게 그 말이 잘못되었다고 이야기해 주자.
  3. 자신의 슬픈 이야기를 털어 놓을 친구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전화를 하자. 그냥 자기 말을 들어 주거나, 다른 이야기를 해서 그 일을 잊게 해 주는 것을 통해 친구로부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있으면, 기분이 나아질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친구나 동료, 그리고 가족에게 지금 슬프고 슬퍼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해보자.
    • 개중에는 왜 슬퍼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지만, 그것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어할 것이다.
  4. 자신의 감정을 밖으로 드러내자. 울고 났더니 기분이 좋아졌던 적이 있었는가? 울음은 감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연구에 따르면 눈물을 통해 스트레스 호르몬이 배출된다고 한다. [21] 우는 것 외에도 슬픔을 발산시킬 다른 방법들이 있다.
    • 슬픈 음악 듣기. 연구에 따르면 슬플 때 슬픈 음악을 들으면 도움이 된다고 한다. 슬픈 음악이 감정과 결합이 되어서 그 감정을 배출할 출구가 된다고 한다. 자신의 감정을 다룰 준비가 되지 않았다면, 감정을 처리할 수 있는 준비가 될 때까지 음악을 통해 머리를 식혀보는 것으로 도움을 얻을 수 있다. [22] [23]
    • 이야기 써 보기. 슬픔으로 인한 고통이나 상실 때문에 슬퍼하고 있다면, 이야기를 써보거나 사랑하는 사람에 집중하여 예술 작품을 만들어 보자. 자신이 보는 것, 냄새 맡는 것, 만지는 것, 맛 보는 것에 대한 상세한 부분을 담으면 좋다. 그리고 나서 자신의 상실감에 대한 생각이 들 때 이러한 감각들에 집중해보자. [24]
  5. 자신의 감정과 관련이 있거나 그것을 묘사하는 단어 세 개를 적고 시작한다. 그리고 기록을 마칠 때 지금 느끼는 감정 세 개를 적고 끝낸다. 기록 할 때에는 감정, 생각, 의식을 두서 없이 적어도 된다. 시간을 정해 매일 적도록 하자. 5, 10, 15분 시간을 정해 놓고 적자. (단, 15분을 넘기지 말자.) [25]
    • 자신의 감정을 발산시키려고 노력했음에도 계속 슬프다면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해결해야 할 상황이나 내적 갈등이 있을 지 모른다. 기록을 하면 이런 문제를 기록하고 해결할 수 있게 된다.
    • 자신에게 맞는 기록장을 찾는다. 종이로 된 것도 좋고, 프로그램이나 앱도 좋다. 또는 플래너에 적어도 된다.
  6. 사람마다 자신의 감정을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고 이해한다. 감정적으로 압도된 것 같다면, 정리를 하자. 자신의 감정, 기억, 창의적인 생각, 꿈 등 슬픈 감정을 처리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것들을 목록으로 적는다. 그리고 하루를 마치면서 끝난 것들을 지운다. 몇 분 정도 투자를 해서 희망, 기쁨, 성공, 행복 등을 자신의 결심과 함께 적어 보자. [26]
    • 할일 목록을 작성하거나, 달력에 일정을 정리하는 것, 다음 날의 계획을 적어보는 것 등을 통해 감정을 관리 하고 처리할 수 있다.
  7. 슬프거나 부정적인 감정에 압도당했을 때는 행복, 편안함, 흥분, 즐거움, 의욕적임 같은 긍정적인 감정에 대해 잊기 쉽다. 1분 정도 투자해서 행복하거나 편안했던 기억을 적어 보자. 가끔은 긍정적인 기분을 다시 불러 오기 위해서 뭔가 다른 것을 느껴 본 적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필요가 있다. [27]
    • 행복한 기억에 초점을 맞출 수도 있지만, 슬픔을 잊을 수 있는 장소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다. 영화관에 가거나 친구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자. 이를 통해 슬픔을 잊게 될 것이고 아직 즐길 것이 많다는 것을 기억하게 될 것이다.
    광고

  • 특정한 증상, 슬픔의 강도, 고통의 정도, 사회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우울증이 있는지 판별한다. 이런 검사를 통해 "평범한" 사람보다 훨씬 더 심한 슬픔과 고통 느끼는 사람들이 정신 건강 전문가의 치료를 받을 수 있다. [28]
광고
  1. http://www.emotionalcompetency.com/sadness.htm
  2. Preston, J. D. (2010). Depression 101: A practical guide to treatments, self-help strategies and prevention relapse.
  3.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691160/
  4.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691160/
  5. http://greatergood.berkeley.edu/article/item/four_ways_sadness_may_be_good_for_you
  6. http://www.emotionalcompetency.com/sadness.htm
  7. http://greatergood.berkeley.edu/article/item/virtue_of_sadness
  8.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happiness-in-world/201203/the-benefit-sadness
  9.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insight-is-2020/201103/psychological-purposemeaning-sadness-depression-coping
  10. http://blogs.psychcentral.com/weightless/2012/06/10-ways-to-cope-with-sadness/
  11.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broken-hearts/200910/why-won-t-anyone-let-me-feel-sad
  12. http://blogs.psychcentral.com/weightless/2012/06/10-ways-to-cope-with-sadness/
  13. http://blogs.psychcentral.com/weightless/2012/06/10-ways-to-cope-with-sadness/
  14. https://www.psychologytoday.com/blog/why-music-moves-us/201409/4-reasons-we-listen-sad-music-when-were-sad
  15. http://journaltherapy.com/wp-content/uploads/2011/01/Article-KA-Managing-Grief-through-Journal-Writing.pdf
  16. http://journaltherapy.com/wp-content/uploads/2011/01/Article-KA-Managing-Grief-through-Journal-Writing.pdf
  17. http://journaltherapy.com/wp-content/uploads/2011/01/Article-KA-Managing-Grief-through-Journal-Writing.pdf
  18. http://psychcentral.com/blog/archives/2012/05/02/4-journaling-exercises-to-help-you-manage-your-emotions/
  19. http://psychcentral.com/blog/archives/2013/05/31/how-the-dsm-5-got-grief-bereavement-right/

이 위키하우에 대하여

이 문서는 41,011 번 조회 되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광고